icu 급성호흡부전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icu 급성호흡부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현병력 및 입원 경과

3. 급성호흡부전의 병인론

4. 급성호흡부전의 임상증상

5. 급성호흡부전의 치료

6. 급성호흡부전 환자의 간호

7. 대상자 사정 및 간호과정
7.1. 초기사정 자료
7.2. 간호과정
7.2.1. 기도 내 분비물 과다 및 객담배출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7.2.2. 장기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8. 투약

9. 특수치료

10.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급성호흡부전은 폐와 폐모세혈관 사이에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교환장애가 급성으로 발생한 질환이다. 이는 환기부전, 산소화부전, 환기와 산소화부전의 혼합으로 분류되며, 대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약 7%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호흡부전의 주요 원인은 저산소혈성 호흡부전, 고탄산혈성 호흡부전, 그리고 신경계 장애에 의한 것이다. 이에 따른 임상증상으로는 호흡곤란, 빈호흡, 청색증, 불안, 혼돈, 지남력 상실, 저혈압, 서맥 등이 나타난다. 급성호흡부전의 치료는 저산소혈증과 호흡산증을 교정하고 원인질환을 확인하여 치료하는 것이 목표이다. 산소요법, 동맥혈 가스분석, 기계환기 등의 방법을 사용하며, 간호사는 호흡 상태 모니터링, 기도 개방 유지, 호흡운동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한다.


2. 현병력 및 입원 경과

상기 대상자는 내원 5일 전부터 호흡곤란 증상이 있어 본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외래를 통해 입원 치료를 위해 COVID-19 검사를 시행한 후 선제격리병실에 입실하였다. 입원 중 asphyxia로 인한 급성호흡부전이 발생하여 HHFT(Humidified High Flow therapy)를 적용하였으나 hypercapnia가 확인되어 MICU에 입실하여 ventilator care를 시행하였다. Ventilator weaning 시도를 하였으나 tachypnea, laboured breathing이 확인되어 fail하여 tracheostomy를 시행하였다. Ventilator weaning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11월 24일 home vent를 apply하였고, 이후 일반병실로 전동되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PaCO2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11월 13일 MICU에 재입실하여 ventilator care를 받게 되었다. 이후 ventilator 적용 후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계속해서 home vent apply와 일반병실 전동을 기획하고 있다. []


3. 급성호흡부전의 병인론

급성호흡부전은 저산소혈증과 과탄산혈증이 빠르게 진행되는 증후군이다. 이는 산소결핍으로 인하여 중요 장기의 기능 부전을 초래한다. 급성 호흡부전의 기준은 PaO₂가 60mmHg 이하이면서 PaCO₂는 45mmHg 이상이다. 만성 호흡부전 환자의 경우에는 원래의 PaCO₂수치보다 5mmHg 정도만 증가되어도 급성 호흡부전으로 간주한다.

호흡부전은 크게 폐병변이나 심박출량 저하로 산소가 혈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저산소혈증성 호흡부전과 환기부전으로 CO2 제거가 부적절한 과탄산혈증성 호흡부전으로 분류된다. 환기부전은 혈류공급은 정상이나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환기-관류 불균형이다. 환기부전은 폐나 흉벽의 구조장애, 뇌의 호흡조절중추 결함, 호흡근의 기능장애 등으로 인해 폐로 공기가 들어가고 나가도록 하는 흉곽내압이 적절하게 변화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그 결과 폐포에 들어오는 산소가 충분하지 못하고, 이산화탄소는 남아 있게 된다. 산소화부전은 흉곽압은 ...


참고 자료

서울성모병원 건강증진센터 [internet]. [cited 2023 10 18]. Acailable from: https://www.cmcseoul.or.kr/healthcare/bbs/view.do?idx=57&engWord=&curPage=9&keyword=&word2=&searchFields=&word3=&word=&type=A
황옥남 등. 성인간호학 상권. 제 7판. 서울: 현문사; 2019.581 p.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약학정보원 [internet]. [cited 2023 10 18]. Acailable from: https://www.health.kr/main.asp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internet]. [cited 2023 10 18]. Acailable from: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김금순 외 (2017). 성인간호학 1. 파주: 수문사.
김조자 외 (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파주: 수문사
양선희 외 (2017). 기본간호학. 서울: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