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급성신부전증에 대한 이해
급성신부전증이란 신장 기능이 수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급격하게 저하되는 질환이다. 신장 기능 저하의 결과로 신체 내에 질소 노폐물이 축적되어 혈액 내에 고질소혈증이 일어나고, 체액 및 전해질 균형에 이상이 생기게 된다. 급성신부전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 첫째는 신장으로 가는 혈액이 부족한 경우, 둘째는 신장 자체에 이상이 있어 소변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경우, 셋째는 소변이 배설되는 요도 및 방광이 막힌 경우이다.
급성신부전의 가장 흔한 증상은 하루 소변량이 400cc 미만으로 줄어드는 핍뇨 증상이지만, 때에 따라 소변량이 줄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전신 증상이 나타나는데, 특히 감염증은 사망의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다. 진단은 임상 경과 평가와 혈액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혈중 크레아티닌과 요소질소 수치를 측정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한다. 급성신부전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시행되며, 체액 및 전해질 균형 유지와 합병증 예방이 중요하다. 중한 경우 투석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1.2. 간호과정 적용의 필요성
간호과정 적용의 필요성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간호과정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사정하고 간호진단을 내린 후 목표를 설정하고 간호중재를 계획하여 수행하며 그 결과를 평가하는 체계적인 문제해결방법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맞춘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간호사의 전문성 향상과 양질의 간호 실무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간호과정의 적용은 대상자의 자가간호능력을 향상시키고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과정의 적용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사정하고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며, 간호의 질적 향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대상자 사정
2.1. 일반적 특성
성 명: 나이: 성별:
입원일자: 입원경로: 입원방법:
키: 체중: 혈액형:
흡연력: 음주력:
의학적진단명:
입원동기:
주증상:
과거력:
수술력:
가족력:
알레르기:
병에 대한 인식:
최근투약:
나이는 51세이다. 성별은 남자이다. 입원일자는 2021년 3월 17일이다. 입원경로는 응급실이고, 입원방법은 누운 채로 이송되었다. 키는 174cm이고, 체중은 55kg이며, 혈액형은 A형 양성이다. 흡연력과 음주력은 없다. 의학적진단명은 급성신부전증이다. 입원동기는 3일 전부터 시작된 호흡곤란, 부종, 구역감 때문이다. 과거력으로는 고혈압이 있다. 수술력은 없다. 가족력에서 특이사항은 없다. 알레르기 반응도 없다. 병에 대한 인식은 있는 편이며, 최근 투약 이력이 있다.
2.2. 의학적 진단명 및 과거력
본 대상자의 의학적 진단명은 급성신부전증(Acute Renal Failure, ARF), 간경변(Alcholic liver chirrhosis), 간세포암(Hapatocellular Carcinoma, HCC)이다. 대상자는 고혈압을 20년째 진단받고 있으며, 당뇨도 5년 전부터 관리 중이다. 또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