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TACE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상자의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1. 정의
1.2. 병태생리 및 원인
1.3. 임상증상
1.4. 진단검사
1.5. 치료 및 간호
2. 간호대상자 사정
2.1. 일반적 사항, 간호력, 치료 및 경과
2.2. 신체사정
2.3. 투약
2.4. 진단적 검사 및 결과
3. 간호과정 적용
3.1. 침습적 시술(TACE)과 관련된 급성통증
3.2. 질병 관련된 불안
3.3. 혈소판 감소와 침습적 시술(TACE)에 근거한 출혈의 위험
3.4. 시술(TACE)과 관련된 고체온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대상자의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1. 정의
간암이란 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간 세포에서 기원하는 악성 종양을 말한다. 넓은 의미로는 간에 생기는 모든 종류의 악성 종양(예를 들면 간내 담관암)이나 다른 기관의 암이 간에 전이되어 발생하는 전이성 간암까지도 포함하지만, 간세포암종이 간암 중 가장 흔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간 세포에서 발생하는 간세포암종만을 의미한다. 간암의 가장 흔한 원인은 만성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 지속적인 과량의 음주, 간경변 등이다. 이러한 바이러스 감염이나 알코올에 의해 간의 파괴와 재생이 지속될 경우 간암의 발생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간암의 발생원인은 간경변증 즉, 흔히 말하는 간경화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간세포암 환자의 80%가 간경화를 가지고 있는 환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B형 간염 환자에서의 간암 발생빈도가 높은데 간암 환자의 약 79%정도에서 간염의 병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간암은 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간 세포에서 기원하는 악성 종양으로, 주된 원인으로는 만성 B형 간염, C형 간염, 장기적인 과량의 음주, 간경변증 등이 있다.
1.2. 병태생리 및 원인
간암의 가장 흔한 원인은 만성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 지속적인 과량의 음주, 간경변 등이다. 이러한 바이러스 감염이나 알코올에 의해 간의 파괴와 재생이 지속될 경우 간암의 발생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간암의 발생원인은 간경변증 즉, 흔히 말하는 간경화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간세포암 환자의 80%가 간경화를 가지고 있는 환자이다. 이 간경변 환자에서 거대 결절성 재생결절이 여러 단계의 변화를 거쳐 간암이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라 약 25% 정도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B형 간염 환자에서의 간암 발생빈도가 높은데 간암 환자의 약 79%정도에서 간염의 병력을 가지고 있다. B형 간염표지항원(HBsAg)의 보유율이 높은 지역에서 간암 발생률이 높다. 간암 환자에서는 HBV 감염의 혈청학적 빈도가 높다.
1.3. 임상증상
간세포암의 임상증상이다.
간암은 초기 증상이 모호하며, 암이 크게 자라기 전에는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첫째, 식욕부진, 체온상승, 우상복부의 불편감, 압통, 복부팽만, 설사, 변비, 오심 등의 위장관 증상이 나타난다. 둘째, 복수, 간비대, 말초부종, 덩어리, 마찰음, 잡음, 황달, 빈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종양이 진행되면 횡격막을 상승시켜 호흡기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처럼 간암의 임상증상은 초기에는 비특이적이지만, 진행될수록 다양한 증상이 발현되며 점점 악화된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진과 주의 깊은 관찰을 통해 조기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진단검사
조직검사는 간세포암이 확진되는 절대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종양 주변을 잘못 찌르게 되면 정상 조직만 뜯어내어 위음성이 나올 수 있고, 천자 과정 자체에도 위험이 있어 영상학적 검사와 종양표지자 등을 이용한 임상적 진단이 선호된다. 약 1%의 경우 간을 천자하는 과정에서 암세포가 간 밖으로 퍼질 위험도 있다.
간세포암의 대표적인 종양표지자는 알파태아단백(AFP)이다. 혈액검사로 측정하지만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다른 검사 결과와 함께 해석해야 한다. 알파태아단백이 400 이상으로 증가하면 간세포암을 강력하게 의심할 수 있다.
복부 초음파는 민감도 61~67%로 주로 스크리닝 목적으로 사용된다. 조영 CT는 복부 초음파보다 더 정확하며 민감도는 68~91%이다. CT상 경계가 불분명하고 불균등하게 조영 증강되는 불규칙한 종괴로 관찰된다. 조영 MRI는 보통 CT를 찍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민감도가 81~100%에 이른다. 혈관 조영술은 종양의 혈관 침범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할 수 있다.
1.5. 치료 및 간호
간동맥화학색전술(TACE)은 간암의 치료에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시술이다. 이는 간 종양에 영양을 공급하는 동맥을 찾아 항암제를 투여한 다음 혈관을 막아주는 치료법이다. 이를 통해 정상 간 조직은 크게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종양만을 선택적으로 괴사시킬 수 있다.
TACE 시술은 서혜부의 대퇴동맥을 통해 간동맥으로 접근한다. 먼저 혈관 조영제를 주사하여 종양의 위치, 크기, 혈액 공급 정도를 파악한 후, 가는 카테터를 이용해 항암제와 색전 물질을 직접 주입한다. 이를 통해 종양으로 가는 혈류를 차단하여 종양을 괴사시킨다.
TACE 시술 전 간호로는 동의서 작성, 금식, 항응고제 복용 확인, 감염 예방을 위한 피부 준비, 정맥 주사로 확보, 심장약과 혈압약 투여 등이 이루어진다. 시술 후에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천자 부위 압박, 출혈 및 합병증 관찰, 수액 공급, 금식 해제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TACE 시...
참고 자료
간암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A%B0%84%EC%95%94#toc) , 2019.02.15
간암 화학색전술 ,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A%B0%84%EC%95%94_%ED%99%94%ED%95%99%EC%83%89%EC%A0%84%EC%88%A0).
멸균생리식염수 ,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41809&cid=51000&categoryId=51000).
써스펜8시간이랑서방정 ,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55312&cid=51000&categoryId=51000).
데노간주 ,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55312&cid=51000&categoryId=51000).
크리젤주(백) ,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33608&cid=51000&categoryId=51000).
일동아드리아마이신알디에르주10mg ,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33946&cid=51000&categoryId=51000).
릭시아나정60mg ,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50123&cid=51000&categoryId=51000).
유리체 절제술 ,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B%A6%AC%EC%B2%B4_%EC%A0%88%EC%A0%9C%EC%88%A0).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상 , 제4판, 2005, 현문사 p585-591
최신임상간호 매뉴얼1 , 제7판, 2006, 현문사 p949-951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 아산병원 의약품 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20, p461-464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국가간호진단협회,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학지사메디컬, 2022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2019
정세나, 선제인, & 김광성. (2017).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간암 환자의 통증관리와 통증 영향요인. , 17(2), 107-115.
윤은자 외(2020년).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윤은자 외(2020년).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손정태 외(2019년).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구글 이미지 https://www.google.co.kr/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http://www.samsunghospita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