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저귀발진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신생아기의 정의
2.2. 출생 직후 적응
2.3. 다른 기관의 생리적 상태
2.4.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
2.5. 신생아의 반사 사정
2.6. 신생아의 간호
2.7. 기저귀 피부염의 정의
2.8. 기저귀 피부염의 원인
2.9. 기저귀 피부염의 병태생리
2.10. 기저귀 피부염의 증상
2.11. 기저귀 피부염의 치료
2.12. 기저귀 피부염의 간호중재
2.13.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3. 간호과정
4. 결론 및 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기저귀 피부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기저귀 피부염은 생후 1년 이내에 흔히 발생하는 가장 흔한 피부염이다. 기저귀 착용으로 인하여 직접적,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피부질환 중 하나이다. 정상 신생아의 기저귀 피부염 발생 시 문제점과 이후 문제가 될 수 있는 사항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간호 사례를 통하여 적절한 간호과정을 계획하고, 이에 따른 적합한 간호 수행을 실시함으로써 기저귀 피부염 간호의 내용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신생아기의 정의
신생아는 생후 4주일까지를 말한다. 이 기간에 신생아는 모체의 태 안에서 자동적으로 산소나 영양을 받고 있던 상태에서 자력으로 호흡이나 영양 섭취를 하게 되는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이에 따라서 초기의 체온의 강하, 생리적 체중의 감소, 피부의 낙설(落屑), 신생아황달, 제대단단(臍帶斷端)의 탈락 등의 여러 현상이 일어난다. 감각 면에서는 영양 섭취를 위한 흡인 반사는 잘 발달되어 있으나, 미각은 대강의 맛의 판별, 후각은 강한 악취에 대한 반응, 시각은 명암을 판별하는 정도이며, 청각은 생후 1주일경까지는 거의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다.
2.2. 출생 직후 적응
태아는 자궁 내 환경에서 자동적으로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고 있었으나, 출생 후에는 자력으로 호흡과 영양 섭취를 해야 한다. 따라서 출생 직후에는 이와 관련된 급격한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호흡 시작을 돕는 자극은 화학적 요인(낮은 산소, 높은 이산화탄소, 낮은 pH), 온도 자극(따뜻한 자궁에서 차가운 공기로 노출되면서 오한으로 인한 감각자극), 촉각적 자극(호흡 시작 도움) 등이 있으며, 폐포의 표면장력은 표면활성제에 의해 감소한다. 이를 통해 출생 직후 신생아가 호흡을 시작하고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순환기계에서도 태아 순환에서 출생 후 순환으로 전환이 일어나며, 이와 관련된 태아 단락(난원공, 동맥관, 정맥관)의 기능적 폐쇄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신생아의 순환계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게 된다.
2.3. 다른 기관의 생리적 상태
체온 조절
신생아는 환경에 노출되는 체표면적이 넓어 환경으로부터 열 손실이 쉽게 일어나며, 피하지방층이 얇아 열 보전을 위한 단열기능이 취약하다. 또한 떨림을 통해 열을 생산하지 못하고 비떨림 열 발생에 의해 열을 생산하므로 대사와 산소 소모가 증가한다. 신생아에게만 존재하는 부가적인 열 발생원은 갈색지방조직이다.
조혈계
만삭아의 혈량은 80~85mL/kg이며, 출생 직후 전체 혈액량은 평균 300ml이다. 생후 2~3개월 경에 생리적 빈혈이 나타나는데, 이는 태아 시의 헤모글로빈이 5개월경까지 존재하고, 헤모글로빈의 생성이 생후 13주경부터 활발해지며, 태아형혈색소의 양이 많고, 엄마의 철분이 5~6개월이면 소실되기 때문이다.
수분과 전해질 균형
신생아는 전체 몸무게의 73%가 수분이며, 세포외액 비율이 높아 수분균형이 불안정하다. 신장이 미숙하여 소변을 농축하지 못하므로 탈수, 산혈증, 과수분증, 수분 중독증이 초래되기 쉽다.
위장관계
신생아의 소화, 흡수 능력은 적절하나 일부 기능에 제한이 있다. 췌장이 미숙하여 복합 탄수화물, 지방 흡수가 어렵지만, 모유에 소화효소가 있어 소화가 가능하다. 또한 프로트롬빈, 다른 혈액응고 인자가 부족해 출혈 경향이 있어 출생 시 비타민 K를 주사하고, 글루코겐 저장량이 부족해 저혈당에 빠지기 쉽다. 배변 양상도 변화하여 태변, 이행변, 정상변으로 변화한다.
신장계
신장의 기능이 미숙하여 소변의 농축이 어렵고, 소변은 무색, 무취, 요산의 배출이 많다.
피부계
피부의 표피와 진피가 서로 느슨하게 붙어 있어 매우 얇고, 표피가 진피에 붙어 있게 하는 상피구조가 발달하지 않아 피부 기능이 미숙하다. 이에 따라 말단 청색증, 대리석양 피부, 발진, 홍반, 할리퀸 색조 변화, 몽고반점, 태지, 솜털, 폐립종 등의 특징이 나타난다.
2.4.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
신생아의 머리둘레는 33~33.5cm이다. 신생아의 가슴둘레는 30.5~33cm이다. 평균 체중은 2.7~4kg으로 평균 3.4kg이다. 신생아의 체중감소는 생후 3~4일까지 세포외액의 소실, 태변 배출, 제한된 음식 섭취 때문에 출생 시 체중의 10% 정도 감소한다.
맥박수는 120~140회/분이고, 호흡수는 30~60회/분이며, 불규칙적이고 복식호흡을 한다. 심부 체온은 보통 36.5°c 에서 37.5°c 이다.
머리 천문은 편평하고 부드럽고 단단하다. 피부는 출생 시 밝은 붉은색이며 통통하고 부드럽다. 2~3일째 분홍색, 벗겨지기 쉽고 건조하며 태지, 솜털, 눈, 얼굴, 다리 손등, 발, 음낭, 음순 주위의 부종이 있다.
눈은 보통 안검 부종이 있고 건드리면 각막 반사가 보인다. 귀의 귓바퀴는 눈의 외안각과 수평으로 만난다. 코는 비강이 개방되어 있고, 입과 목구멍은 높은 아치형의 구개, 중앙의 목젖, 빨기반사가 강하고 조화롭다.
목은 짧고, 두껍고, 보통 주름으로 둘러싸여 있다. 가슴은 동일한 전후경과 좌우경을 가지며 흡기 시 약간의 흉부 함몰이 있다. 복부는 실린더 모양이다...
참고 자료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총론) tenth edition. 서울: 현문사.
권인수 성장발달과 건강. 파주: 수문사.
서울 아산병원. 기저귀 발진. Retrieved May 7, 2019, from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467
약학정보원. vit k, 테라마이신 안연고, 헤파박스, 비판텐 연고. Retrieved from https://www.health.kr/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기저귀 피부염. Retrieved, from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350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기저귀 피부염 [diaper dermatitis],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79&cid=51007&categoryId=51007, 2019.3.11.
아는 만큼 쉬워지는 육아 이야기, 기저귀 발진 - 어쩔 수 없는 아기들의 숙명? (하정훈)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기저귀 피부염 [diaper dermatitis],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789&cid=51004&categoryId=51004, 2019.3.11.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선천성 대사이상 선별검사 [neonatal screening test],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684&cid=51007&categoryId=51007, 2019.3.13.
교육심리학용어사전, 신생아 선별검사 [新生兒 選別檢査, neonatal screening test], 2000.1.1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44205&cid=41989&categoryId=41989, 2019.3.13.
간호학대사전, 혈액형검사 [blood groups test, 血液型檢査], 1996.3.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83883&cid=60408&categoryId=55558, 2019.3.13.
상담학 사전, 청력선별검사 [hearing screening test, 聽力選別檢査], 2016.1.15.,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5869&cid=62841&categoryId=62841, 2019.3.13.
약학정보원, 비타민케이1주사액,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2803, 2019.3.11.
약학정보원, 헤파박스진티에프 프리필드시린지주,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0080600001, 2019.3.11.
약학정보원, 토브라점안액,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30A0270, 2019.3.11.
약학정보원, 삼아리도멕스크림,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 2019.3.11.
약학정보원, 엘린플러스크림,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6120600054, 2019.3.11.
원종순, 김남초, 박수현, 송민선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2015.
김정수, 배선희, 노상미, 김혜진, 이묘숙, 『학습성과 기반 모아간호학 실습지침서I』, 수문사, 2019.
김태임, 김혜금, 최용득, 정민사, 『아동간호학』, 2012.
이경혜, 이영숙 외, 『여성건강간호학II』, 현문사, 2010.
김미예, 『최신 아동건강 간호학 총론』, 수문사, 2015.
김미예, 『최신 아동건강 간호학 각론』, 수문사, 2015.
김윤정, 「전문가가 알려주는 ‘신생아 수유 방법’」, 『BabyNews』, 2019.3.8.,
http://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2592, 2019.3.12.
이호창, 「[9988 프로젝트] 노래진 아기 얼굴, 한달 지속땐 병원 가세요」, 『대전일보』, 2019.1.22.,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353060, 2019.3.12.
서울아산병원 건강칼럼, 「신생아의 체온 조절은 어떻게 하나요?」,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6146&cid=63166&categoryId=51021, 2019.3.13.
[네이버 지식백과] 신생아 [newborn, 新生兒]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기저귀 피부염 [diaper dermatit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기저귀 피부염 [diaper dermatitis]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네이버 지식백과] 비판텐연고 [Bepanthen Ointment]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박은영 외(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김영혜 외(2018),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이은희 외(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