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교사회복지 발달과정 및 제도적 활성화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1.2. 학교사회복지의 목적
2. 본론
2.1. 우리나라의 학교사회복지 발달과정
2.1.1. 1930년대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의 아동·청소년복지 서비스 제공
2.1.2. 1960년대 마포사회복지관의 학교 적응 및 학업 지원 서비스
2.1.3. 1990년대 삼성복지재단의 지원으로 학교사회복지 확산
2.1.4. 2000년대 이후 정부 주도의 학교사회복지 제도화 노력
2.2. 학교사회복지의 제도적 활성화 방안
2.2.1. 학교사회복지사 처우 개선 및 전문성 강화
2.2.2. 학교-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통합적 서비스 제공
2.2.3. 정부와 지자체의 지속적인 지원 및 법제화 노력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사회복지에는 다양한 분야가 존재하고 있다. 노인, 아동, 여성, 장애인 등 각양각색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클라이언트마다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에서 수많은 사회복지사들이 있지만, 그중 가장 중요한 사회복지사는 학교사회복지사이다. 학교는 학생들이 하루일과중 대부분 시간을 가장 보내는 장소이자, 인생의 일부분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장소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학교의 목적은 학생들의 지적 능력과 심리 사회적 기능을 향상 시키고 더불어 학생들의 삶의 질을 개선 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있어서 학교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교사회복지는 학생 개인적 차원, 사회 환경적 차원, 학교 교육적 차원, 가정적 차원 등 교육 현실과 한계가 있기에 절실히 필요한 복지서비스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사회복지사들은 우리에게 잘 알려진 직업은 아니지만, 수많은 학교에서 시행하는 사업이고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이다.
1.2. 학교사회복지의 목적
학생 개개인의 잠재력과 능력을 최대한 개발할 수 있도록 원조하여 가능한 모든 학생이 미래의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적의 교육 환경을 제공해주는 것이다. 첫째,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키워준다. 둘째, 지속적으로 배울 수 있는 준비를 시킨다. 셋째, 닥쳐오는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키워주는 것으로 학생 자신이 '스스로 배우게 하고', '생각하게 하며', '문제해결을 하게 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주된 목표라고 할 수 있다.
2. 본론
2.1. 우리나라의 학교사회복지 발달과정
2.1.1. 1930년대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의 아동·청소년복지 서비스 제공
1921년에 개설된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은 1930년대 초에 지역의 빈곤, 비행아동에게 심리·정서적 서비스와 경제적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는 현재 대부분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학교사회복지라는 명칭으로 제공되는 아동·청소년복지 서비스와 유사한 점이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는 1930년대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의 아동·청소년복지 서비스는 1960년대까지 점차 발전하여 다양한 유형의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학교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현대적 의미의 학교사회복지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1930년대...
참고 자료
이정숙. (2007). 학교사회복지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16, 233-265.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 (2022). 2주차 2교시 한국의 학교사회복지의 발달과정과 현황. 학교사회복지론.
"학교사회복지사업의 안정화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전구훈,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2021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이해", 김상곤, 월간복지동향, 2005https://www.peoplepower21.org/welfarenow/%ec%9b%94%ea%b0%84%eb%b3%b5%ec%a7%80%eb%8f%99%ed%96%a52005/657825
정연정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활성화 방안 연구: Y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8P, 11-14, 87P
류희숙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의 활성화 방안’, P51-58
박숙희 ‘학교사회복지 제도화 방향에 관한 연구’, P89-95
권경연, ‘한국 학교 사회복지 실천 모형의 운영현황과 그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P8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