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온도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온도계와 눈금 용기의 보정이 필요하다. 실험의 목적은 실험에 사용되는 온도계와 눈금 용기의 정확성과 민감도를 확인하고 보정하는 과정을 통해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하게 하여 실험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실험에 사용된 온도계는 섭씨온도 기준으로 어는점과 끓는점 사이를 100등분한 것이다. 온도계와 눈금 용기는 주변 환경에 따라 변화할 수 있어 보정이 필요하다. 보정이란 기본적인 측정이 올바르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보정 방법에는 어는점 보정, 시료를 통한 보정, 끓는점 보정 실험이 있다.
어는점 보정 실험은 얼음물 중탕에서 온도계의 눈금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점을 측정한다. 시료를 통한 보정 실험은 황산나트륨 십수화물의 온도가 일정해지는 점을 측정한다. 끓는점 보정 실험은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가 응축되고 온도계 눈금이 일정해지는 점을 측정한다. 이를 통해 측정된 온도값을 보정하여 실제 온도를 구할 수 있다.
실험에 사용된 온도계의 제조회사는 Sartorius이며, 모델명은 ED3235-CW, 최대 측정용량은 320g, 정밀도는 0.001g이다. 피펫 보정 실험 결과 평균 부피는 9.71862㎖이고, 불확실도는 0.5251g이다. 유리기구 보정 실험을 통해 실제 부피를 구하고, 뷰렛 보정 실험에서는 옮긴 부피와 질량의 그래프를 그려 보정 인자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온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실험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온도는 우리가 주변에서 물건 등에서 느낄 수 있는 뜨겁고 차가운 정도이다. 온도를 나타내는 척도에는 섭씨온도, 화씨온도, 절대온도가 있다. 섭씨온도는 1기압에서 물의 어는점을 0℃로 하고 끓는점을 100℃로 정하여 0℃~100℃까지를 100등분한 온도체계이며, 화씨온도는 표준대기압을 기준으로 어는점을 32℉로 하고 끓는점을 212℉로 180등분한 온도체계이다. 절대온도는 절대영도인 0K가 섭씨온도 -273℃에 해당한다.
보정은 기본적인 측정이 올바르게 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온도계와 눈금 용기의 경우 주변 환경에 따라 변화할 수 있어 정확한 온도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보정이 필요하다. 온도계 보정식은 T=at+b와 같이 측정된 온도값 t와 보정된 온도값 T 간의 관계식으로 표현된다.
유리기구는 표준온도(20℃)에서 표시된 눈금으로 제작되어 있지만,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으로 보정이 필요하다. 공기부력 보정과 온도에 따른 부피 보정을 통해 표준온도 상태의 부피를 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의 무게와 밀도, 공기밀도, 유리팽창계수 등의 물리량을 활용한다.
2. 실험 기구 및 시약
2.1. 온도 측정기구
온도계는 화학 실험에서 가장 기본적인 물리적 량을 측정하는 중요한 기구이다. 온도계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섭씨온도, 화씨온도, 절대온도 등으로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섭씨온도는 1기압에서 물의 어는점을 0°C, 끓는점을 100°C로 하여 그 사이를 100등분한 것이고, 화씨온도는 물의 어는점을 32°F, 끓는점을 212°F로 하여 그 사이를 180등분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