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간호 방문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지역사회 방문간호와 가정간호의 개요
1.2.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 목적
2. 국내외 방문간호와 가정간호 비교
2.1. 우리나라 방문간호와 가정간호의 비교
2.2. 미국의 방문간호
2.3. 독일의 방문간호
3. 방문간호의 질 개선을 위한 방안
3.1. 방문간호 인력과 자격기준
3.2. 등급별 급여 체계 마련
3.3. 방문간호와 방문요양서비스 연계
4. 결론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사회 방문간호와 가정간호의 개요
지역사회 방문간호는 지역보건의료 사업의 일환으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장기요양등급 판정자는 제외하고 건강 형평성 제고와 건강수명 연장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포괄적 건강관리서비스이다. 이에 반해 가정간호는 의료기관이 실시하는 사업으로 수술 후 조기퇴원 환자, 만성질환자 등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문간호는 보건소 등 공공기관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반면, 가정간호는 의료기관에서 민간 또는 국공립 의료기관에서 유료로 제공된다. 방문간호는 간호사, 의사, 사회복지사 등 다직종이 참여하지만, 가정간호는 가정전문간호사가 중심이 되어 수행한다. 이처럼 지역사회 방문간호와 가정간호는 그 목적, 대상, 제공기관, 인력 등에서 차이가 있다. []
1.2. 연구의 필요성
소득수준의 향상과 의료 발달로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함께 유병 기간도 증가하고 있으며, 국민이 희망하는 기대수명과 실제 기대수명 간의 차이가 크다. 또한 국가와 지자체가 국민의 건강을 위해 투자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37.2%에 불과해 건강정책에 대한 국민의 체감도가 낮다.
한편 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노인의 의료 및 돌봄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불충분한 노인의료·돌봄 체계로 인해 돌봄의 사각지대, 불필요한 장기입원, 건강형평성 문제와 의료비 증가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된 지역사회 보건의료·돌봄 체계 재편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서비스에서 의료인력의 개입과 간호사의 조정자 역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가정간호와 방문간호를 비교하고, 다른 나라의 사례와 비교함으로써 방문간호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1.3.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선진국의 방문간호와 가정간호 현황을 비교하여 방문간호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방문간호 인력과 자격기준 마련, 등급별 급여 체계 마련, 방문간호와 방문요양서비스의 연계 등 실효성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거주 노인과 취약계층의 건강관리 역량 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가정간호와 방문간호를 국내외 현황을 토대로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방문간호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적 과제를 마련함으로써 향후 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효과적인 재가 의료 및 돌봄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2. 국내외 방문간호와 가정간호 비교
2.1. 우리나라 방문간호와 가정간호의 비교
방문간호는 지역보건의료 사업의 일환인 방문건강관리 사업에서 실시되며, 건강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한다. 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는 65세 이상 노인 또는 65세 미만 노인성 질환자를 대상으로 장기요양등급자에게 ...
참고 자료
지역사회간호학, 김희걸 외 공저, 현문사, p214~239
기대수명 그래프 KOSIS(통계청, 생명표)
정읍아산병원 http://www.jeh.or.kr/asan/depts/D139/K/content.do?menuId=4916
정읍시보건소 https://www.jeongeup.go.kr/health/index.jeongeup
학술저널: 방문간호의 국내외 현황분석
-한국, 미국, 일본,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발행기관: 한국보건간호학회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발행 연도: 2010.09
페이지: 211-225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on Japan, 2009; Kim, 2009).
(Bundesministerium fuer Gesundheit und soziale Sicherung, 2008-1; Seo, 2009)
김정남. 신유선 외, 지역사회간호학, 수문사, 2011
박인혜. 고정은 외 1명, 지역사회간호학 1 ‧ 2, 현문사, 2016
초등학교 에듀넷 교재 6. 쾌적한 주거와 생활자원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