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receptive field"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피부감각과 receptive field
1.2. 실험의 목적
2. 본론
2.1. receptive field의 이론적 배경
2.2. 측정 부위에 따른 receptive field 크기 실험
2.2.1. 실험 재료 및 방법
2.2.2. 실험 결과
2.3. 신체 부위별 receptive field 크기 비교
2.3.1. 혀 끝, 손등, 등 부분의 receptive field 크기
2.3.2. 결과 분석
3. 결론
3.1. 실험 결과 요약
3.2.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3.3. 향후 연구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피부감각과 receptive field
피부감각은 우리 몸의 특정 부위에 존재하는 감각수용기에 의해 감지되며, 이 감각수용기의 수용 영역을 receptive field라고 한다. receptive field란 감각기의 수용 표면에서 감각자극이 단일감각신경에 반응을 일으키는 영역을 말한다. 감각계의 수용 영역은 감각세포들이 각각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웃의 감각세포들과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작용한다.
receptive field의 크기는 감각 정보 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receptive field가 넓을수록 감각신경의 민감도는 낮아지고 receptive field가 좁을수록 감각신경은 아주 민감하게 반응한다. 예를 들어, 몸의 신체 부위에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두 개의 핀을 찔렀을 때 어떤 부위는 하나의 점으로 인식하고 어떤 부위는 두 개의 점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는 각 부위의 receptive field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며, 일반적으로 혀 끝 부위의 receptive field가 가장 작고 손등은 중간, 등 부분이 가장 크다고 알려져 있다. receptive field 측정 시에는 피험자의 눈을 가린 상태로 두 개의 핀을 사용해 피부에 찌르며, 한 점에서 두 점으로 인식하게 되는 거리를 측정하여 receptive field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receptive field 정보는 감각 정보 처리 및 신경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2. 실험의 목적
실험의 목적은 신체 부위에 따른 receptive field의 크기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피부감각은 피부에 분포하는 다양한 감각수용기를 통해 이루어지며, receptive field는 감각신경이 자극에 반응하는 수용 영역을 의미한다. 본 실험에서는 이론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혀 끝, 손등, 등 부분의 receptive field 크기 차이를 측정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체 부위별 감각수용기의 분포와 민감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2. 본론
2.1. receptive field의 이론적 배경
감각계의 수용 영역은 감각세포들이 각각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웃의 감각세포들과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작용한다. receptive field는 그 크기가 아주 넓은 것부터 아주 좁은 것이 있는데, receptive field 영역이 넓을수록 감각신경의 민감도는 낮아지고 영역이 좁을수록 감각신경은 아주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에 따라 몸의 신체 부위에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두 개의 자극을 주면 어떤 부위는 하나의 점으로 인식하고 어떤 부위는 두 개의 점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receptive field의 크기 차이는 감각신경의 민감도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
참고 자료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proara?Redirect=Log&logNo=100019481639
위키백과 http://en.wikipedia.org/wiki/Two-point_discrimination
구글 http://faculty.pasadena.edu/dkwon/chap10_A/chap%2010_A%20accessible_files/textmostly/slide17.html
『감각 - 놀라운 메커니즘』, 일본 뉴턴프레스, 아이뉴턴(뉴턴코리아), 2016, p. 121~165
피부과학, 김해남, 의학서원, 2017, p. 23~76
신경 세포(3판), Wade, Nicholas, Oxford English Dictionary, 2005. 9, p. 207, 235
뉴런과 시냅스, Sabbatini RME, 2003년 4월, WH Freeman, p. 303
동물 생리학, Eckert, Roger, 1983, Rex Bookstore, p. 97~101
Kim Dong-hwan, "Self-Location Recognition of Bees", 『Journal of the Korean Biological Society』, 2008.
Park Jae-won, "Self-Location Recognition Mechanism of Bees", 『Understanding Biology』, 2010.
Lee Jun-hyeok, "Study on self-location awareness of bees", 『Climate Change and Ecology』, 2012.
Jaecheon Choi, "Self-Location Recognition of Bees", 『The Ant』, 2014.
Han Sang-hoon, "Self-Location Recognition of Bees", 『The World of Bees』,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