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비간호업무
비간호업무는 간호사의 업무 중 환자 직접 간호와 무관한 업무를 의미한다. 이러한 비간호업무는 간호사의 업무 부담을 증가시키고 간호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비간호업무에는 의사소통, 물품관리, 약물관리, 환자관리 등이 포함된다. 의사소통 관련해서는 간호사들 간의 부서 간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업무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물품관리 측면에서는 물품 점검, 유효기간 관리, 물품 보관 등의 업무가 필요하다. 약물관리와 관련해서는 투약 전 확인, 고위험 약물 관리, 약품 보관 등의 업무가 요구된다. 환자관리에서는 환자 교육, 퇴원 관리, 이동 지원 등의 업무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비간호업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간호관리과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먼저 문제를 파악하는 단계에서는 비간호업무와 관련된 개인, 집단, 조직적 차원의 문제들을 규명해야 한다. 다음으로 간호관리 계획 단계에서는 일반적 목표와 구체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 탐색 단계에서는 대안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가장 적합한 대안을 선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인력 확보, 보조 인력 활용, 교육 강화 등의 대안을 고려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안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간호관리과정을 통해 비간호업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간호사의 업무 부담을 줄여 간호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비간호업무 개선에 대한 간호관리과정 적용
2.1. 문제의 파악
2.1.1. 간호관리과정의 단계별 문제 규명
비간호업무와 관련된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간호관리과정의 단계별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비간호업무와 관련된 문제는 간호사의 과도한 업무 부담과 관련이 있다. 간호사들의 사직률이 높아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며, 근무시간이 매일 평균 2시간씩 초과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개개인의 간호사들이 시간단축을 위해 뛰어다니는 모습이 자주 보이고, 환자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