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웅신화 구조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웅신화 구조의 변용
1.1. 대중영화에서 재현되는 영웅신화 서사 구조
1.2. 상층영웅과 민중영웅의 정의
1.3. 웨스턴 영화 속 민중영웅
1.4. 상업영화 속 상층영웅
1.5. 초능력물과 애니메이션 영화 속 영웅
2. 역사적 조건과 영웅서사 변주
2.1. 영웅서사의 기본 구조
2.2. 현대 영화에 나타난 영웅서사의 변화
3. 여성 영웅 서사의 이중구조
3.1. 남성 영웅과의 차이
3.2. 여성 영웅의 감춰진 성취욕
3.3. 바리공주와 자청비의 비교
4. 판타지 요소와 영웅의 재해석
4.1. 『퍼시잭슨과 번개도둑』 속 판타지 세계
4.2. 데미갓(반인반신)의 등장과 신과 인간의 결합
4.3. 신화적 요소의 현대적 변용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웅신화 구조의 변용
1.1. 대중영화에서 재현되는 영웅신화 서사 구조
대중영화에서 재현되는 영웅신화 서사 구조는 일반적인 영웅서사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변주를 겪어왔지만, 기본적으로는 출발-입문-귀환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상층영웅의 경우 이러한 서사 구조를 충실하게 따르는 경향이 크다. 주로 건국신화의 최초 지배자나 창세신화의 최고신에서 기원한 이들로, 고귀한 혈통과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해리포터 시리즈의 주인공 해리를 들 수 있다. 그는 볼드모트의 살인저주를 피해 살아남아 호그와트의 환대를 받으며, 친구들과 함께 적대 세력을 물리친다.
반면 민중영웅의 경우 태생이 비범하지 않고,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을 법한 인물이다. 영화 에서 고졸 출신 변호사 송우석이 대표적인 예인데, 그는 선배의 부탁을 거절했다가 결국 사건을 맡게 되지만 마지막에 패소하게 된다. 해리포터와 달리 화려한 승리와 귀환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웨스턴 영화에서도 이러한 민중영웅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탁월한 사격 실력을 가진 주인공 셰인은 토착민을 도와 악당 라이커 일당과 대결하지만, 공동체에 정착하지 못하고 다시 방랑의 길로 떠난다. 고귀한 혈통의 특성이나 비범한 출생 서사가 없는 그는 조력자의 도움을 받으면서도 영웅적 행적을 이루어낸다.
이처럼 대중영화에서의 영웅은 상층영웅과 민중영웅으로 구분해볼 수 있으며, 이들의 서사 구조에는 차이가 있다. 상층영웅은 전형적인 영웅서사의 틀을 따르지만, 민중영웅은 비극적이고 희생적인 모습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영화를 통해 현실 사회의 문제와 갈등을 반영하고자 하는 시도로 볼 수 있다. [1]
1.2. 상층영웅과 민중영웅의 정의
상층영웅과 민중영웅의 정의이다. 상층영웅의 경우 고귀한 혈통을 지니며 비정상적인 잉태나 출산, 탁월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구출 및 양육자와의 만남을 거쳐 다시 위기에 봉착하지만 결국 극복과 승리를 쟁취한다. 대표적인 예로 해리포터 시리즈의 주인공 해리를 들 수 있다. 반면 민중영웅은 미천한 혈통을 지니며 탁월한 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다. 영화 『』의 주인공 송우석 변호사가 이에 해당한다. 상층영웅과 달리 민중영웅은 파괴적인 종말이 아닌 고난 끝에 일정 수준의 성취를 이뤄내지만, 화려한 승리와 귀환의 서사와는 거리가 멀다. 상층영웅의 경우 신화적 건국 영웅의 면모를 지닌 반면, 민중영웅은 하층민의 비극을 해결하고자 하는 서사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상층영웅과 민중영웅의 차이는 역사적 조건과 관련이 깊으며, 영화 장르에도 영향을 미쳐 웨스턴 영화와 상업영화 속 상층영웅의 모습으로 드러난다.
1.3. 웨스턴 영화 속 민중영웅
다수의 영웅서사에는 영웅과 그에 대립하는 악이라는 이분법적 구조가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이분법적 구조가 잘 드러나는 장르적 약호를 고르면 단연 웨스턴 영화가 있다. 가장 전형적인 웨스턴 영화의 예시로는 『셰인』이 있다. 탁월한 사격 실력을 가진 셰인은 토착민들과 함께 악인으로 대표되는 라이커 일당과 대립한다. 셰인의 혈통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으나, 서부 개척지에 찾아온 카우보이 셰인은 토착민인 스타렛의 가족의 도움으로 소속감을 느끼지만, 공동체의 정의를 위해 싸웠음에도 마을에 정착하지 못하고 다시 방랑의 길로 떠난다. 고귀한 혈통 출신이라든가 비범한 탄생 서사는 갖고 있지 않은 셰인이 조력자 스타렛의 도움을 받더라도, 환대와 함께 개척지로 돌아와 살아가는 엔딩은 없다. 이 또한 민중영웅 서사의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1.4. 상업영화 속 상층영웅
상층영웅의 경우 의 구조를 충실하게 이행하는 경향이 짙다. 주로 창세신화의 최고신이나 건국신화의 최초 지배자에서 비롯되었으며 상업영화 속 가장 대표적인 예는 해리포터 시리즈이다. 해리포터 시리즈의 주인공 해리는 세계관 최고 악인 볼드모트의 살인저주에서 살아남고 아버지의 보호 마법에 의해 그를 역으로 물리친 영웅으로서 호그와트의 환대 및 관심을 집중시킨다. 포터 가문의 시작에는 죽음의 성물 중 하나인 투명...
참고 자료
조필호·최인숙(2009), 애니메이션 <뮬란>의 가정지향적 여성영웅성 연구, 한국디자인포럼22권,
367-376p
어일선(2019), 한국영화에 나타난 캐릭터 성격 고찰 -영화 <동주>를 중심으로-, 연기예술연구 제16권, 75-90p
한성구(2017), 무협 영화의 영웅 유형과 형상적 특징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민홍(2019), 슈퍼히어로 영화의 이데올로기 연구 -영웅주의와 아메리카니즘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Jeseph Campbell(1949), The Hero With Thousand Faces, Pantheon Books
조동일(1971), 영웅의 일생 그 문학사적 전개, 동아문화,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66p
김헌선, 2011, 『서울 진오기굿-바리공주 연구』, 민속원.
이진성, 2016, 『그리스 신화의 이해』, 아카넷.
김석출 구연·이경하 역, 2019, 『바리데기』, 돌베개.
홍태한, 2001, 「무가권에 따른 서사무가의 전승 양상」, 『한국무속학』제3집.
배도식, 2002, 「지하국 대적제치 설화 연구」, 『동남어문학회』제14호.
이지영, 2005, 「무속신화에 나타난 구약(救藥)모티프의 서사화 양상과 그 의미」, 『구비문학연구』제21집.
이후남, 2019, 「고전소설에 나타난 지하국(地下國) 대적(大賊) 연구」, 『영주어문』제41집.
“지하국대적퇴치설화”,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folkency.nfm.go.kr/kr/topic/detail/5979)
릭 라이어던, 『퍼시잭슨과 번개도둑』, 이수현 옮김, 북에이드,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