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망각이론에 근거하여 망각을 줄이기 위한 방안에 대한 결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망각 이론과 경험의 매칭
2.2. 망각을 줄이기 위한 방법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는 수많은 정보를 얻고 경험을 쌓으며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그 수많은 정보와 경험을 모두 기억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아예 없다고 봐도 될 정도로 우리는 살아가며 쌓은 정보와 경험을 무의식적으로 망각하며 살아간다. 그렇다면 망각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 글에서는 우리가 겪은 망각의 경험들이 어떤 망각 이론에 해당하는지 매칭시켜 보고, 망각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함께 설명해 보고자 한다.
2. 본론
2.1. 망각 이론과 경험의 매칭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망각 경험을 겪곤 한다. 이러한 망각 경험은 크게 소멸 이론, 간섭 이론, 인출 실패 이론, 동기화된 망각 이론 등의 망각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
소멸 이론(Decay Theory)은 사용하지 않는 정보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흐릿해지다가 결국 사라진다는 이론이다. 예를 들어, 학창 시절 배웠던 수학 공식이나 과거 여행지에 대한 추억이 성인이 된 후 잘 기억나지 않는 경우가 소멸 이론에 해당한다. 이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복습하고 상기시키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면서 망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간섭 이론(Interference Theory)은 새로운 정보가 기존 정보를 방해하거나 간섭하여 망각이 발생한다는 이론이다. 순행 간섭(Proactive Interference)은 이전에 학습한 정보가 새로운 정보를 익히는 데 방해가 되는 경우이고, 역행 간섭(Retroactive Interference)은 새로운 정보가 기존 정보를 방해하여 ...
참고 자료
권석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12, p.74
신나라, "망각이론과 플래시기법을 적용한 영어 단어학습 게임 디자인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0, p7-9, 16.
Reed, S. K, “인지심리학: 이론과 적용 (박권생 옮김, 7 ed.)”, 2011, 서울: Cengage Learning.
신맹식, “시스템 응고화 이론에 의한 내측 측두엽 손상 환자들의 기억 인출 또는 실패에 대한 역동적인 해석”,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2(4), 2011, p550.
장용환. "망각이론을 이용한 디자인교육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p19.
배움 사이버평생교육원. 심리학개론 중간고사 통합본 (1~7주차 강의교안). 제5주차 2교시. 60페이지~65페이지
두산백과. “망각”.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1708&cid=40942&categoryId=31531
한국심리학회. ”망각”. 심리학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94200&cid=41991&categoryId=41991
한국심리학회. ”간섭 이론”. 심리학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94198&cid=41991&categoryId=41991
정아영, “정신분석학의 개념으로 본 망각,”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제54권, 제6호, 2015.
윤영혜, “기억과 망각,” 통합심리학, 제19권, 제1호, 2017.
김인영, “망각과 기억의 역동성,” 대한심리학회지: 인지·생물·임상, 제36권, 제2호, 2017.
이해숙, “망각과 그 극복,” 인지치료연구, 제10권, 제1호, 2016.
이재숙, “기억력과 망각,”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