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11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09년에 우리나라에서는 연 192,561건의 암이 발생되었는데, 그 중 식도암은 남녀를 합쳐서 연 2,136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1.11%를 차지하고 있다. 인구 10만 명당 조발생률은 4.3건이며, 남녀의 성비는 12.3:1로 남자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도암 환자의 경우 합병증 예방과 최대한의 독립성 달성, 사회심리적 적응 지원이 간호의 주요 목적이 된다. 본 대학생은 이 대상자의 간호사례 연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우리나라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암 중 하나인 식도암에 관한 지식을 함양하고자 한다. []
1.2. 연구 대상 및 기간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성명 박영O, 성별 M, 나이 60세이다. 진단명은 Esophageal Cancer upper thoracic(흉부식도암)이며, 연구기간은 2012년 7월 16일부터 2012년 7월 27일까지 수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SICU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과정은 Day duty(07:50 ~ 16:00)와 Evening duty(12:00 ~20:00) 동안 대상자를 관찰하고 담당 간호사와 상의하며, EMR을 통해 대상자의 정보(Kardex, Medication, V/S 등)를 확인하여 기록하였다. 또한 참고문헌의 표와 그림을 인용하였다.
본 연구는 식도암 환자의 간호 사례 연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식도암에 대한 지식을 함양하고자 시도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신체검진 및 검사소견, 간호진단 및 중재, 간호과정 및 평가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1.3. 연구 방법
대학생 레포트 작성을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명 박영O, 성별 M/60, 진단명 Esophageal Cancer upper thoracic로 제시된 대상자에 대하여 Day duty(07:50 ~ 16:00)와 Evening duty(12:00 ~20:00)에 관찰하고 담당 간호사와 상의한다. 대상자의 정보(Kardex, Medication, V/S 등)를 EMR을 통해 확인하며, 관찰된 기록과 직접 관찰하여 기록한다. 또한 참고문헌의 표와 그림을 인용하여 보고서에 활용한다.
둘째, 식도의 구조와 기능, 식도암의 정의와 병태생리, 증상과 진단에 대한 문헌고찰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상태와 질환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마련할 수 있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과 신체검진 및 검사소견, 간호진단과 중재, 간호과정 및 평가 등 간호사례 연구를 체계적으로 기술한다.
넷째, 본 사례 연구를 통해 도출한 식도암 환자 간호의 의의와 간호사례 연구의 시사점, 향후 과제 및 제언 등을 포함한다.
2. 문헌 고찰
2.1. 식도의 구조 및 기능
식도(Esophagus)는 직경 2cm, 길이 23~25cm 속이 빈 근육성관이다. 식도는 기관(trechea)과 후두(larynx) 뒤편에 위치하며 종격동(mediastinum)과 횡격막(diaphragm)을 지나 제6경추에서 제11흉추의 위치까지 아래로 뻗어 있다. 식도는 인두후두부와 위(stomach)를 연결하여 음식물이 구강(oral cavity)에서 위(stomach)로 가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식도(Esophagus)는 바깥쪽에서부터 섬유조직층, 근육층, 점막밑층, 점막층으로 되어있다. 식도 상부는 가로무늬근(striated muscle)으로 되어있지만 평활근(smooth muscle)처럼 작용하여 음식물이 식도를 통과할 때 수축과 이완을 한다. 식도 하부는 평활근(smooth muscle)으로 되어 있어 음식물을 위(stomach) 쪽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한다. 점막밑층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