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폐렴은 아동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합병증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사례 연구에서는 소아과 병동 실습 중에 접하게 된 기관지폐렴 환자를 선정하였다. 기관지폐렴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질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찰한 간호중재와 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본론
2.1. 대상자 소개
본 사례보고는 4세 남아 김O우를 대상으로 한다. 김O우는 가정에서 부모와 조부모와 함께 거주하고 있으며, 아버지는 알레르기비염이 있는 것 외에 다른 특이사항은 없다. 김O우는 성격이 사교적이고 친근하며 자주 먼저 다가가 말을 건다. 놀이 시간에는 자동차 장난감과 술래잡기를 즐기는 편이다. 언어와 의사소통 기술도 연령에 적절한 수준이며, 병원 생활에 대체로 잘 적응하고 있다. 다만 발음이 다소 어눌하고 한글 공부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김O우는 현재 기침, 가래, 발열 증상으로 입원한 상태이며, 과거에 헤르펜자이나와 인플루엔자 A/H1N1 감염 병력이 있다. 신체검진 결과 피부, 눈, 귀, 구강 등에서 특이소견은 없었으나 호흡음 청진 시 악설음이 확인되었다.
2.2. 문헌고찰
2.2.1. 폐렴의 정의
폐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폐렴이라고 하며, 1폐엽 이상에 병변이 생긴 것을 대엽성폐렴, 1폐엽 이하인 것을 소엽성 폐렴 또는 기관지폐렴이라고 한다. 대엽성 폐렴은 소아에게는 드물고, 소아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폐렴은 소엽성으로 기관지로부터 염증이 퍼진 기관지폐렴이다. 증세는 처음에 감기증세를 보이다가 급속도로 호흡곤란·신음·치아노제·불안상태를 나타낸다. 소아에게 폐렴은 치명적인 병이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하고, 더욱이 저항력이 약한 미숙아·신생아의 폐렴에 대해서는 전문의의 진료에 따른다. 항생물질·거담제·진해제를 사용할 때에는 각별히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소아의 폐 감염은 청소년기나 성인에 비해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이유는 해부학적으로 기도가 작고 부드러우며 쉽게 짜부라져 공기 포착(air tapping)이 잘 되기 때문이다.
2.2.2. 병태생리
호흡기는 공기가 통하는 통로로서 제일 먼저 코를 비롯하여 순서적으로 인두, 후두, 기관지, 모세기관지, 폐포와 폐실질 등 숨쉬는데 관여하는 기관을 말한다. 여기에 염증이 생겨서 병에 걸리는 경우 호흡기 질환이라 한다. 모세기관지인 경우 모세기관지염이라 하며 폐에 염증이 집중되면 폐렴이라 한다.
폐렴은 폐의 대엽전부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