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전문간호사의 역할과 발전방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전문간호사의 역할과 발전방향
1.1. 아동간호사의 역할
1.1.1. 아동인권 옹호자로서의 역할
1.1.2. 전문적 돌봄 제공자로서의 역할
1.1.3. 정책제안자로서의 역할
1.1.4. 아동건강 교육자로서의 역할
1.1.5. 연구자로서의 역할
1.2. 아동간호의 정책 동향
1.2.1. 예방 및 교육
1.2.2. 의료 기술과 혁신
1.2.3. 정신건강과 장애 아동 지원
1.2.4. 다문화적 관점
1.2.5. 아동상담서비스 제공
1.2.6. 국내입양의 활성화
1.2.7. 아동복지시설의 효율적 운영과 퇴소아동에 대한 자립지원 강화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전문간호사의 역할과 발전방향
1.1. 아동간호사의 역할
1.1.1. 아동인권 옹호자로서의 역할
결손가정, 저소득가정, 다문화가정 등 취약가정 아동의 발달권과 권익을 옹호한다. 발달수준상 가능한 범위 내에서 아동의 자율성과 프라이버시를 존중한다. 아동에게 불이익이 우려될 경우, 아동의 권익을 최우선하여 아동의 편에서 서서 대변한다. 아동의 다양성과 고유성을 존중하여 인종, 성별, 종교, 관습, 문화 등에 따른 차별을 두지 않는다. 아동의 수준에 맞게 결정에 참여하여 의사표현을 하도록 권장한다. 학대 등 아동의 안전과 권리를 침해하는 모든 상황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한다.
1.1.2. 전문적 돌봄 제공자로서의 역할
실무현장에서 아동과 가족을 한 세트로 간주하여 가족중심 돌봄을 제공한다. 실무현장에서 아동과 가족에게 신체적 심리적으로 외상이 없는 돌봄을 제공한다. 아동에게 가장 좋은 것, 아동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여 전문적 돌봄을 제공한다. 아동의 알 권리 존중을 위해 아동 눈높이에 맞게 설명하고, 선택의 기회를 준다. 아동의 개별 욕구를 존중하여 개별화된 전문직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법적 윤리적으로 정당한 전문적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1.1.3. 정책제안자로서의 역할
아동전문간호사는 미래 사회의 주요 인적자원인 아동의 건강하고 안전한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은 아동의 건강과 성장발달에 필요한 다양한 정책을 개발하고 건의한다. 정부와 국제사회의 아동 관련 정책 입안 및 입법 활동에 참여하여 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한다. 또한 아동의 건강과 권리를 저해하는 유해한 환경, 정책, 사회현상, 대중매체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친다. 이를 통해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사회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아동전문간호사는 미래 사회의 주역인 아동의 건강과 성장발달에 필요한 정책을 개발하고 이를 정부와 국제사회에 건의한다. 이들은 아동의 건강과 권익 보호를 위한 다양한 제도와 법률, 지원 정책 등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의료서비스 접근성 제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사업, 아동 발달 지원 프로그램 등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정책을 입안하고 관련 부처와 협력하여 실효성 있게 추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의 기본권과 인권이 보장되고 건강한 성장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동전문간호사는 정부와 국제사회의 아동 관련 정책 입안 및 입법 활동에 참여한다. 이들은 아동복지법, 아동학대처벌법, 아동수당법 등 아동의 권익과 복지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법제도 마련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다. 나아가 UN아동권리협약, SDG 등 국제사회의 아동 관련 규약과 정책 수립 과정에서도 아동 의료 전문가의 관점을 반영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의 건강권과 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1.1.4. 아동건강 교육자로서의 역할
부모와 가족에게 아동의 발달특성과 권리에 관해 교육한다. 아동의 발달특성을 이해시키고 아동의 기본권리 보장을 위한 부모의 역할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한다.
부적절한 양육을 예방하기 위해 육아기술과 양육에 대해 교육한다. 영양 관리, 건강관리, 안전관리 등 올바른 양육 방법에 대해 부모와 가족에게 교육하여 아동의 건강하고 안전한 양육환경을 조성한다.
아동과 가족에게 질병예방 및 건강관리에 관해 교육한다. 아동의 건강문제 파악과 예방법, 응급상황 대처법 등을 교육하여 아동 스...
참고 자료
[문재태, 오호철. 2021.08. 법이론실무연구 9.3(2021):158/"전문간호사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법적 고찰 - 간호법 제정안을 중심으로 “], 9 page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10600614
[설미이, 신용애, 임경춘, 임초선, 최정화, 정재심. 2017.04.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14.1(2017):37-44. "한국 전문간호사제도의 현황과 활성화 전략.“], 2 page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JAKO201716556451188&oCn=JAKO201716556451188&dbt=JAKO&journal=NJOU00556083
[정보자료실-전문간호사 되는 길. 대한간호협회]
http://www.koreanurse.or.kr/resources/be_specialist.php
[응급전문간호사, 아동전문간호사, 중환자전문간호사, 호스피스전문간호사. 네이버 지식백과-(한국직업사전, 2016.) .2021.09.2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25486&cid=42117&categoryId=42117
[정의와 자격. 한국전문간호사협회] http://www.kaapn.or.kr/
[전문간호사 교육기관 지정 및 관리-표준교육과정 및 운영지침. 한국간호교육평가원]
http://www.kabone.or.kr/mainbusin/nurse03outline.do
[강영아, 임경춘, 김주현, 정재심, 한지은. 2019.12. 근관절건강학회지26.3(2019):290-30 "전문간호사 업무에 대한 의료인의 경험: 전문의와 전문간호사를 중심으로."] 2 page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9283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