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프로이드 에릭슨 피아제 콜버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프로이드, 에릭슨, 피아제, 콜버그 이론의 교육적 함의
1.1.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이론과 교육적 함의
1.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과 교육적 함의
1.3.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교육적 함의
1.4. 콜버그의 도덕교육 이론과 교육적 함의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프로이드, 에릭슨, 피아제, 콜버그 이론의 교육적 함의
1.1.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이론과 교육적 함의
프로이드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와 이를 충족시키거나 억압하는 사회적 요인 간의 갈등과 그 극복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성격구조를 중시한다. 인간의 연령에 따른 갈등 극복 양상과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성격구조는 질적인 변화를 갖는다고 가정하고, 성격발달단계를 설정하였다. 프로이드는 성욕, 공격, 욕 등 인간의 보다 본능적이고 무의식적인 욕구의 표출을 강조한다.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성격은 출생 후 약 5년 동안 형성된다. 구순기, 항문기, 남근기 등 각 발달단계에서 특정 신체부위에 리비도(성적 에너지)가 집중되며, 이 시기의 경험은 성격형성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구순기에 수유가 지나치게 규칙적이거나 이유가 빨리 끊기면 구순고착성격이 형성될 수 있다. 항문기의 적절한 배변훈련 역시 성격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남근기에는 근친상간적 욕구(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발생하며, 이 갈등이 잘 해결되지 않으면 성격에 결함을 가져올 수 있다.
프로이드의 성격구조 모형에 따르면, 원초아(id)는 본능과 쾌락 원칙에 따르는 무의식적 부분이며, 자아(ego)는 현실과의 관계를 맺고 성격을 통제하는 부분, 초자아(superego)는 도덕규범과 이상을 대표하는 부분이다. 이 세 부분이 균형을 이루어야 건전한 성격이 형성된다.
프로이드 이론의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의 경험이 성격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아동 양육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둘째, 무의식적 동기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므로 행동 결과보다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성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넷째, 자아 방어기제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학생들의 심리적 문제에 접근할 수 있다.
1.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과 교육적 함의
에릭슨은 프로이드의 이론을...
참고 자료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이현림․김영숙,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Stephen Palmer,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해, 학지사
연세대학교,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Ⅳ, 교육과학사
Erik H. Erikson, Childhood and Society, 1963
조복희, 아동발달, 교육과학사
신명희 외3,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네이버 지식인
남궁달화, 콜버그의 도덕교육론, 철학과 현실사
곽기상, 교육의 심리적 기초, 형설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