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양주시건강수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지역사회 건강수준 사정
1.2. 자료수집 및 요약
1.3. 지역진단 및 우선순위 설정
2. 본론
2.1. 목표설정
2.1.1. 일반적 목표
2.1.2. 구체적 목표
2.2. 집행계획(수행계획)
2.2.1. 인력 및 예산 투입
2.2.2. 세부 사업 내용
3. 결론
3.1. 평가계획
3.2. 근거 제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사회 건강수준 사정
양주시는 수도권 동북부에 위치한 중소 규모의 도농복합 도시이다. 동쪽으로는 양평군과 가평군, 서쪽으로는 서울특별시와 인접해 있다. 총 인구는 709,307명이며, 여성 인구가 남성 인구보다 약간 많은 편이다. 중장년층 40대 인구 비율이 가장 높고, 합계출산율은 경기도 평균보다 낮다.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어 노인 인구와 노년부양비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양주시의 건강수준을 살펴보면, 사망원인에서 악성 신생물(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노쇠, 고의적 자해(자살)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경기도 평균보다 높은 290명이다. 건강수명은 경기도 시군 지역 중 71.01세로 22위를 기록하고 있다.
의료기관 이용률과 건강검진율, 암 검진율 등은 전반적으로 경기도 평균보다 낮은 편이다. 특히 폐암 검진율이 25.8%로 경기도 평균 32.6%보다 매우 낮다. 주요 만성질환인 고혈압과 당뇨병의 인지율, 치료율 역시 경기도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다.
주민의 건강행태를 보면, 흡연율, 중증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비만율, 저작 불편 호소율,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감 경험률이 경기도 평균보다 높게 나타난다. 반면 월간 음주율, 건강생활 실천율, 칫솔질 실천율은 경기도 평균보다 낮은 편이다.
양주시의 상하수도 보급률은 경기도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며, 의료기관 및 사회복지시설, 체육시설 등 보건의료 인프라가 지역별로 편차가 크다. 취약계층인 독거노인, 기초생활수급자, 등록장애인 수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종합적으로 양주시 주민의 건강수준은 경기도 평균보다 낮은 편이며, 특히 암 검진률과 만성질환 관리, 건강생활실천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자료수집 및 요약
자료수집 및 요약은 지역사회의 건강수준을 파악하고 현황을 분석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제공된 문서를 바탕으로 양주시의 지리적 특성, 인구 현황, 주민의 건강수준, 환경보건 현황, 보건의료 자원 및 서비스 이용 실태 등을 살펴보았다.
먼저 양주시는 경기도 중앙부에 위치한 면적 310.36㎢ 규모의 내륙 분지 도시로, 동쪽과 서쪽은 높은 산지가 솟아 있고 중앙에는 넓은 곡저평야가 펼쳐져 있다. 기후는 한서의 차가 심하고 강수량이 많아 계절별로 뚜렷한 특징을 보인다. 양주시의 인구는 총 235,828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많은 편이며, 40~50대 인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9년 15.1%를 차지하는 등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주요 산업은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등이며, 의료취약계층인 독거노인, 등록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등의 수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1]
양주시의 건강수준을 살펴보면, 출생률은 감소하고 사망률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평균기대수명은 연도별로 증가하고 있으나 경기도 평균보다 낮고 기대수명 격차도 경기도에 비해 크다. 5대 주요 사망원인은 각종 암, 심장질환,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알츠하이머병 순이며, 특히 암 중에서는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다. 건강행위 측면에서는 현재 흡연율과 연간 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이 경기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영유아 예방접종률은 95.8%로 전국 평균을 웃도는 수준이었다.[1]
환경보건 현황의 경우, 미세먼지와 오존 등 일부 대기오염 지표가 경기도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나 타 오염물질은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상수도 보급률은 높은 편이나 하수도 보급률은 전국 및 경기도 평균보다 낮은 편이다. 한편 공원...
참고 자료
이영란 외, 지역사회간호학(개정7판), 신광출판사(2018)
경기도 양주시, ‘2020 지역사회 건강통계’
경기도 양주시, ‘2019 지역사회 건강통계’
경기도 양주시, ‘제6회 2019년 양주시 사회조사 보고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경기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 ‘지역통계-건강결과 및 의료자원·이용 등’
2020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 사업 안내 (비만 예방관리 분야)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시군군/사망원인(50항목)/성/사망자수, 사망률, 연령표준화 사망률(1998~)’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0 지역사회 건강통계’, 2020.06.11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9076
양주시, ‘제4기 양주시 지역사회보장계획(안)’, 2018.12
양주시, ‘인구정책 중장기 계획 (2020~2024)’
[네이버 지식백과] 양주시 [楊州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0615&cid=46618&categoryId=46618
양주시청, ‘2021년 7월말 기준 양주시 인구(내국인) 통계 현황’
https://www.yangju.go.kr/www/selectBbsNttView.do?key=245&bbsNo=31&nttNo=146970&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integrDeptCode=
행정안전부, ‘연령별 인구현황’
https://jumin.mois.go.kr/ageStatMonth.do
김민욱. "비만율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지역 요인."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서울
정백근, 문옥륜, 김남순, 강재헌, 윤태호, 이상이, & 이신재. (2002). 한국인 성인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예방의학회지, 35(1), 1-12.
김현. (2015). 중년 여성 대상의 지역사회 참여형 비만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9(1), 79-89.
박봉섭. (2009). 비만 중년여성을 위한 보건소 걷기운동사업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1), 343-350.
[질병관리청&심뇌혈관질환관리 중앙지원단] 2020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2020.12
[질병관리청] 우리나라 만성질환의 발생과 관리 현황, 주간 건강과 질병·제14권 제4호, 2021.01.21.
https://www.kdca.go.kr/upload_comm/syview/doc.html?fn=161231399127800.pdf&rs=/upload_comm/docu/0034/
[네이버 지식백과] 고혈압 [hypertension]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65020&cid=51004&categoryId=51004
[질병관리본부] 2020년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 표준실무지침
[서울아산병원] 건강이야기,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금연방법
http://www.amc.seoul.kr/asan/healthstory/lifehealth/lifeHealthDetail.do?healthyLifeId=33909
서홍관. (2007). 간접흡연의 해로움. 가정의학회지, 28(7), 493-499.
[KBS뉴스] "새해 금연 도와드려요"…보건소 클리닉 '효과 톡톡', 2019.01.15.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116307
[감사원] 감사보고서–국가 금연지원사업 추진실태, 2019.04
Han, M. Y., & Kim, N. M.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을 위한 금연사업의 개선방안.
[Dailymedi] "보건소 금연클리닉, 금연 성공률 높다", 2011.03.26.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728445
[G-health] 보건서비스 건강증진, ‘금연클리닉 사업’ 2021.08.13.
https://www.g-health.kr/portal/bbs/selectBoardArticle.do?bbsId=U00322&nttId=381803&menuNo=200406&lang=&searchCndSj=&searchCndCt=&searchWrd=&pageIndex=1&vType=Z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