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감염위험성 간호진단
1.1.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수술 부위 상처 및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이다. 이는 대상자가 현재 수술 후 상태이며, 수술 부위와 침습적 처치로 인해 감염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상자는 수술 시행, 체온 상승, 백혈구 증가 등의 객관적 자료와 추운 느낌, 담요 요구 등의 주관적 자료를 통해 감염의 위험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호진단을 내리고, 이에 따른 간호계획과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1.2. 장기목적
장기목적은 대상자의 퇴원시까지 수술 부위와 침습적 처치 부위에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즉, 수술 부위와 침습적 처치 부위에 감염이 발생하지 않고 치유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대상자의 안전과 건강한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장기적인 간호목적이다. 상처 부위와 침습적 처치 부위의 감염은 대상자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주요 합병증이므로,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간호사의 핵심적인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1.3. 단기목적
대상자의 단기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는 1일 이내에 감염징후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이다. 이는 대상자가 감염의 징후를 잘 인지하고 있어 감염 발생 시 신속히 간호사에게 알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체온이 37.0°C 이하로 유지된다"이다. 이는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범위 내에 있어 감염이 발생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더 이상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목표라고 할 수 있다.
1.4. 과학적 근거
감염 위험성이란 인체에 병원체가 침범할 우려가 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병원체에 대한 환경적 노출 증가, 불충분한 예방 접종, 만성질환 - 당뇨병, 비만, 영양실조, 병원체에 노출되지 않는 것에 대한 불충분한 지식, 부적절한 일차방어 - 손상된 피부(예 : 정맥카테터 삽입부위, 침습적 과정), 상처받은 조직(예 : 외상, 조직파괴), 섬모운동감소, 체액의 정체, 분비물의 변화, 연동운동의 변화, 부절적한 이차방어 - 헤모글로빈 감소, 백혈구 감소증, 염증반응억제, 면역억제 등의 위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수술부위감염은 병원감염의 약 40% 정도를 차지하며 요로감염 다음으로 흔히 발생하는 병원감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