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수술 후 섭취량/배설량의 정확한 측정, 침상안정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있어야 하며, 계속 배액시키면 방광근의 위축으로 방광용적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침상 안정이나 섭취량/배설량의 정확한 측정, 기타 질환과 관련된 문제가 없어 계속적인 유치도뇨관 삽입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 주치의의 처방 하에 유치도뇨관을 제거한다. 병동에서는 유치도뇨관 제거 시 방광훈련을 하여 요의감을 느껴 스스로의 방광조절 능력이 회복되면 유치도뇨관을 제거하고 있으나 그 훈련방법이 중환자실과 같은 특수부서의 상황과 일반 병동에서의 상황은 차이가 있어 방광훈련법을 보호자에게 교육을 시켜 개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환자들이 요의감을 느끼는 것은 주관적인 표현일 뿐만 아니라 유치도뇨관이 요도구를 자극하여 요의감을 느끼는 것이라 착각을 하는 경우도 있어 체계화된 방광훈련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방광의 기능을 서서히 회복하여 완전하게 하고 요도감염, 요정체, 근육이완 등의 합병증 없이 최고의 기능을 회복하여 유치도뇨관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한 방광훈련프로그램을 임상실무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방광훈련프로그램이 유치도뇨관을 삽입한 대상자의 자가배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방광훈련프로그램으로 유치도뇨관 제거 시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
1.3. 방광훈련프로그램의 정의
방광훈련프로그램이란 방광용적을 늘리고 배뇨기간을 늘림으로 정상적인 배뇨양상을 갖도록 하며, 배뇨장애를 감소시키는 중재이다. 방광훈련에서는 요의에 따른 유치도뇨관 잠금, 풀기로 구성된 훈련방법을 활용한다. 병동에서는 유치도뇨관 제거 시 방광훈련을 하여 요의감을 느껴 스스로의 방광조절 능력이 회복되면 유치도뇨관을 제거하고 있으나, 중환자실과 같은 특수부서의 상황과 일반 병동의 상황에 차이가 있어 방광훈련법을 보호자에게 교육을 시켜 개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환자들이 요의감을 느끼는 것은 주관적인 표현일 뿐만 아니라 유치도뇨관이 요도구를 자극하여 요의감을 느끼는 것이라 착각하는 경우도 있어 체계화된 방광훈련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방광훈련법을 교육하는 간호사들마다 차이가 있으며, 선행논문에서도 그 방법은 다양하다. 유치도뇨관 삽입 환자의 경우 침상 안정이나 섭취량/배설량의 정확한 측정, 기타 질환과 관련된 문제가 없어 계속적인 유치도뇨관 삽입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 주치의의 처방 하에 유치도뇨관을 제거하는데, 이때 방광훈련을 통해 요의감을 느껴 스스로의 방광조절 능력이 회복되면 유치도뇨관을 제거하고 있다. 이에 방광훈련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
2. 문헌고찰
2.1. 방광훈련의 개념
방광훈련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방광훈련이란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있는 대상자의 배뇨기능을 강화시켜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배뇨형태로 회복 및 유지시키기 위한 중재이다. 방광훈련 이전에 대상자에게 쉽게 훈련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해주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해 준다. 방광훈련은 도뇨관 제거 후 배뇨 문제 없이 더 빠르게 자가배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며, 이 훈련은 도뇨관을 삽입하고 있는 동안 환자가 요의를 느끼면 도뇨관을 풀어주고 배뇨 후 다시 잠금으로써 실제 소변을 보는 것처럼 하여 방광을 자발적 배뇨와 유사한 것임을 교육한다. 또한 요의가 느껴지면 언제든지 말해줄 것과 도뇨관을 풀었을 때 평소 소변보듯이 힘껏 보는 것이 좋다는 것을 교육한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기본 원칙은 같으나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배뇨장애는 개인차가 많이 존재하는 증상이기에 하나의 행동기법보다는 특성에 따라 복합적인 적용이 필요하다.
2.2. 유치도뇨관 삽입 환자의 방광훈련 필요성
유치도뇨관 삽입 환자의 방광훈련 필요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