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환자안전사고 위험요인
1.1. 환자안전관리
환자안전관리는 의료의 질 개선에서 확대된 개념으로, 보건의료기관의 자산을 보호하고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며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예방할 수 있는 계획된 과정이다. 이 목적은 환자, 조직구성원 및 방문객에게 나타날 수 있는 손상의 가능성을 조기에 발견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을 제거하여 의료사고를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것이다. 안전관리업무에서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하며, 사고 원인 중 부적절한 활동으로 인한 비율이 전체의 약 50%를 차지한다. 간호업무와 관련된 안전사고에는 낙상, 투약사고, 감염, 장비나 시설물 관련사고 등이 있다.
최근에는 의료서비스 복잡성의 증가로 인하여 여러 명의 의료진이 팀을 이루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부정확한 환자확인은 더욱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간호사는 환자의 정확한 식별은 물론 정확한 검사와 치료까지 모두 포함하여 환자를 정확하게 확인할 의무가 있다.
보건의료기관은 어느 곳이나 낙상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위험한 장소이다. 노인환자가 급증하면서 노인의 낙상사고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낙상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간호사는 낙상위험요인을 사정하고 예방적 중재를 시행할 의무가 있다. 또한 낙상사고 발생 시에는 신속히 대처하고 보고체계에 따라 보고하여야 한다.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질병의 만성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욕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욕창을 조기사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감염 등의 합병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입원 및 치료 연장으로 의료비의 지출을 증가시키고 제대로 치유되지 않으면 사망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간호사는 욕창발생 고위험 환자를 파악하고 지침에 따른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욕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투약오류는 간호사가 약물에 대한 지식, 대상자 교육, 투여기술, 법적인 책임을 지니므로 특히 주의가 필요한 영역이다. 간호사는 투약의 기본원칙을 준수하고, 표준화와 불명확성 감소, 이중확인, 단위용량포장 등의 전략을 통해 투약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
수혈은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중요한 치료법이나, 수혈오류는 환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ABO/Rh 부적합에 의한 급성용혈성 수혈반응은 가장 큰 위험으로, 이는 간호사의 역할과 주의 의무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1.2. 낙상예방활동
1.2.1. 낙상의 정의
낙상은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발바닥 이외의 신체 일부가 바닥면에 접지한 경우를 말한다. 서있거나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떨어지거나 미끄러져 다치는 것을 포함한다. 병원에서 흔히 발생하는 낙상문제에는 침대에서의 낙상, 의자 또는 휠체어, 눕는 차로 옮기는 도중의 낙상, 아기의 낙상 등이 있고 환자상태에 따른 원인으로는 혼미한 의식, 경련 또는 약물 반응으로 인한 낙상이 있다.
1.2.2. 낙상의 위험요인
연령은 65세 이상, 15세 이하이다. 고위험 약물 복용은 수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