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습일지 소개
1.1. 실습 일정 및 기간
실습 일정 및 기간은 2017년 7월 17일부터 7월 28일까지 2주간이다. 실습은 OS(정형외과) 병동에서 진행되었다.
C-tube drainage를 관찰하였다. C-tube는 늑막에 고인 삼출물을 배액하기 위해 후방에 삽입되었으며 두 병실 체계를 사용하였다. SpO2 상승을 위해 심호흡을 도와주었고, 흉관 삽입 환자의 경우 심호흡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CPM(수동관절운동기구)을 관찰하였다. CPM은 관절 수술 후 회복을 돕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통증을 동반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관절을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운동범위와 속도는 의사 처방에 따라 결정된다.
Curasys(진공음압창상처치 장비)를 관찰하였다. Curasys는 환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장비이다.
낙상예방 교육을 직접 수행하였다. 침상 난간 사용, 적절한 신발 착용, 화장실 이동 시 주의사항 등을 설명하였고, 대상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핵환자 격리 병실을 방문하였다. 결핵은 공기감염이 가능한 질환이므로 격리 병실에서 치료받아야 하며, 의료진은 N95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그러나 폐외 결핵의 경우 격리가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TKRA(전치환술) 수술 전후 간호를 관찰하였다. 수술 전 준비사항과 수술 후 관리 및 재활운동의 중요성을 학습하였다.
A/S debridement(관절경하 변연절제술) 전후 간호를 관찰하였다. 변연절제술은 최소침습 수술로 합병증 발생률이 낮고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
BK amputation 대상자를 관찰하였다. 절단술 전후 신체적, 심리사회적 준비와 재활운동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TKRA 수술 환자의 재활운동 교육을 직접 수행하였다. 수술 후 기간에 맞는 운동방법을 교육하고 보호자와 함께 실천하도록 하였다.
의식수준 변화를 보인 환자를 관찰하였다. GCS 점수 변화를 통해 의식수준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 마스크와 N95 마스크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N95 마스크는 미세 입자 차단 기능이 있어 결핵, 메르스 등 공기감염 질환 환자 간호 시 사용한다.
THRA(고관절 전치환술) 전후 간호에 대해 공부하였다. THRA는 고관절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수술이다.
수액요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수액 준비, 투약, 주입 속도 조절 등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견인에 대해 학습하였다. 견인은 골절 정복과 고정, 근경련 억제 등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용수견인, 피부견인, 골격견인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폼스 티엔에이 페리 주(TPN)에 대해 공부하였다. TPN은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에게 정맥으로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이다.
실습을 통해 다양한 간호 술기와 장비, 질환 등을 배울 수 있었다. 특히 CPM, Curasys, TPN 등 새로운 기술을 접하게 되어 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직접 낙상예방 교육과 TKRA 재활운동 교육을 수행하며 실제 임상에서의 간호사 역할을 경험할 수 있었다.
실습 과정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각 질환과 술기에 대한 이해도 부족으로 인해 실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한 것이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간 외에도 관련 내용을 부족없이 공부하였다.
향후 실습에서는 보다 체계적인 계획 하에 충분한 사전 준비를 하고, 적극적으로 질문하며 실습에 임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다. 또한 실습 경험을 바탕으로 임상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전문지식을 더욱 공고히 해나가야 할 것이다.
1.2. 실습 병동 개요
OS병동은 정형외과 내과 환자들을 모두 수용하는 병동으로, 대부분 수술 후 재활 치료가 필요한 중증 환자들이 입원하고 있다. 병동에는 C-tube drainage, CPM, Curasys 등 다양한 의료장비가 구비되어 있어 수술 후 관리와 재활치료를 원활히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낙상 예방 교육, 결핵 격리 환자 관리, 전치환술 및 관절경 수술 전후 관리, 절단술 환자 관찰, 수술 후 재활운동 교육 등 폭넓은 간호 실습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의식수준 변화 관찰, 마스크 착용법, 고관절 전치환술 전후 간호, 수액요법, 견인 등 다양한 실습 내용이 제공되어 종합적인 임상 실습이 가능하다.
2. 실습 내용
2.1. C-tube drainage 관찰
C-tube가 삽입된 환자를 관찰하였다. 환자의 V/S를 확인하였는데, SpO2가 88%로 측정되어 심호흡을 유도하였으나 크게 상승하지 않았다. 담당 간호사에게 보고한 후 O2를 6L까지 올리고 가래 배출을 유도하여 SpO2가 97%까지 상승하였다.
C-tube의 배액 양상을 확인하였는데, 색깔은 bloody이고 양은 전날 총 300ml이었다. 삼출물이 고여 C-tube가 적용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C-tube 삽입 위치에 대한 이론적 측면을 알아보았다. 공기 배출을 위한 C-tube는 2번째 늑간, 혈액 및 삼출액 배출을 위한 C-tube는 8~9번째 늑간에 삽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환자의 경우 후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였다.
C-tube에 적용된 형식은 two bottle system이었다. one, three bottle와 비교해 보았는데, two bottle은 공기 외에 체액도 배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환자의 경우 혼자 거동이 어려워 흉관이 빠질 위험이 낮은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