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욕창통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성인욕창통증
1.1. 서론
1.2. 욕창 및 통증 특성
1.3. 연구 목적
2. 임상사례 분석
2.1. 대상자 사정
2.1.1. 일반적 특성
2.1.2. 질병력
2.1.3. 신체검진 소견
2.2. 간호진단 도출
2.2.1.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2.2.2. 부동과 관련된 욕창 위험성
2.2.3. 수술 부위 감염 위험성
2.3. 간호중재 계획 및 수행
2.3.1. 통증 관리
2.3.2. 욕창 예방
2.3.3. 감염 예방
3. 결론
3.1. 간호과정 적용 성과
3.2. 간호실무 시사점
3.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성인욕창통증
1.1. 서론
요추골절 환자의 통증, 욕창 및 감염 관리
요추골절 환자의 통증, 욕창 및 감염 관리는 간호사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핵심 영역이다. 요추골절 환자는 통증과 부동으로 인한 욕창 발생 위험이 높으며, 수술 부위 감염의 위험 또한 존재한다. 간호사는 이러한 문제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해야 한다.
먼저, 요추골절 환자의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을 관리하기 위해 통증의 특성을 정기적으로 사정하고 처방된 진통제를 적절히 투여한다. 또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자세 변경과 냉찜질 등의 비약물적 중재를 제공한다. 통증 관리를 통해 환자의 안위를 증진시키고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동과 관련된 욕창 위험성을 관리하기 위해 2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하고 압력 감소 지지면을 적용한다. 또한 영양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보충해 준다. 이와 함께 욕창 예방법을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하여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킨다.
마지막으로, 수술 부위 감염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무균술을 준수하고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상처 드레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배액관 관리와 같은 보조 처치를 수행한다. 또한 감염 증상 및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여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한다.
요약하면, 간호사는 요추골절 환자의 통증, 욕창, 감염 문제를 체계적으로 사정하고 예방 및 중재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함으로써 환자의 회복과 건강 증진을 도모해야 한다. 이를 통해 요추골절 환자의 예후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1.2. 욕창 및 통증 특성
욕창은 지속적인 압박이나 마찰에 의해 피부와 하부 조직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욕창은 피부색의 변화, 부종, 압박에 의한 통증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심각한 경우 근육, 인대, 뼈까지 손상을 줄 수 있다. 욕창은 주로 뼈 돌출 부위나 체중을 지탱하는 부위에 잘 발생하며, 환자의 활동 저하, 영양 상태 불량, 고령, 만성질환 등이 위험요인이 된다.
통증은 욕창의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이다. 욕창 통증은 욕창 자체의 직접적인 신경 자극에 의한 것으로, 욕창의 깊이와 넓이가 클수록 통증의 정도가 심하다. 욕창 통증은 쑤시는 듯한 느낌, 화끈거리는 듯한 느낌, 날카로운 통증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욕창 통증은 욕창 관리와 치료에 방해가 되며 환자의 불편감과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욕창 관리 시 통증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1.3. 연구 목적
성인 욕창통증에 대한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요추골절 환자의 통증, 욕창, 감염과 관련된 간호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간호과정 적용의 성과와 간호실무의 시사점을 도출하며, 향후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할 수 있다.
2. 임상사례 분석
2.1. 대상자 사정
2.1.1. 일반적 특성
성인 욕창 통증 사례 분석
성명: 김○○ 성별: 여성 연령: 79세 직업: 무직
김○○ 여성은 79세 무직 어르신으로, 기저질환 없이 지내오다 최근 집 마당에서 넘어져 허리 부위 골절상을 입었다. 응급실에 내원하여 L2 폐쇄성 압박골절 진단을 받고 입원하였다. 수술은 받지 않고 보존적 치료를 받고 있다.
입원 당시 전반적인 신체 상태를 살펴보면, 활력징후는 안정적이나 침상 안정이 필요한 상태이다. 압박골절로 인해 요통 및 하지 감각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욕창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처 감염의 위험도 있어 항생제 치료를...
참고 자료
황옥남 외. (2019). 제 7판 성인간호학 하권. 서울: 현문사
박철원. (2010). "요추골절환자의 치료 기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내석사학위논문 가천의과학대학교 보건대학원
백승욱. (2011). “요추부 골절(Lumbar Spine Fracture)”. 대한골절학회지. 24(3), 277-287
강호숙, 김인자. (2017). 생활습관 중재가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변비에 미치는 효과. 재활간호학회지, (20)1, 52-60.
양정희. (2012). 낙상 예방.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16(3), 101-107.
엄지연, 정덕유. (2013). 욕창의 예방적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노년학, 33(1), 23-37.
안기찬. (2009).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의 비수술적 치료. 대한골절학회지, 22(3), 234-237
[의학칼럼] 겨울 안전사고로 인한, 척추압박골절에 대해 http://www.gy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476에서 2023년 12월 14일 인출
대한정형외과학회. https://www.koa.or.kr에서 2023년 12월 14일 인출
병원간호사회. khna.or.k에서 2023년 12월 16일 인출
서울아산병원. amc.seoul.k에서 2023년 12월 16일 인출
질병관리청 국가정보보털. 욕창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4502
김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
송경애 외(2017). 기본간호학 2.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최윤경, 정성희 저(2018), 성인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손영은(2016),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 검사 및 당화혈색소 검사 수진 관련 요인,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김동아(2011), 욕창관리 및 앉은 자세, 국립재활원.
조은경(2010), 간호사의 암성 통증관리 지식 및 수행 실태 :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김영경, 김희순 외 2명 저(2016), 간호와 영양, 현문사.
황영지(2017),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 유형과 상대적 위험지각이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