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발달과정에 있어서 국가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회복지 발달과정
2.1. 우리나라 사회복지 발달과정
2.2. 사회복지 발달과정의 특징
3. 국가개입의 필요성
3.1. 국가개입의 근거
3.2. 국가개입의 실제 예시
4. 자본주의 국가에서의 국가개입
4.1. 자본주의 체제 안정 유지를 위한 국가개입
4.2. 재분배 영역에서의 국가개입
4.3.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제도의 필요성
5. 결론
5.1. 국가개입의 긍정적 효과
5.2. 국가개입의 한계와 책임 분담 필요성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는 경제적, 심리적, 사회환경 속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거나 문제가 있는 대상자에게 접근함으로써 대상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며, 그들이 행복하고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게 다방면의 노력으로 만들어진 제도이다. 이같은 사회복지는 빈부격차를 해소함에 있어서 사회통합하여 국가 운영의 안전성을 가져와 누진 과제를 통한 재정 확보 및 해결책을 제시함에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2. 사회복지 발달과정
2.1. 우리나라 사회복지 발달과정
우리나라 사회복지 발달과정은 삼국시대 이래로 조선시대까지 가족, 친척, 마을 공동체에 의한 상부상조와 왕에 의한 구휼제도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조선시대 말 서양의 기독교 전래와 함께 근대적 자선사업은 주로 육영사업, 의료사업, 자선사업 등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의 사회복지는 방면위원제도(1927년)로 시작되었으나 실제로는 식민지 지배를 유지를 위한 수단이었다. 전문적 사회복지실천의 도입기(1945~1961년) 미군정를 거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지만 사회복지는 여전히 응급구호와 외원단체에 의존하였다. 특히 한국전쟁으로 피폐화된 환경 속에서 외원단체의 긴급구호와 함께 미국의 사회사업은 그대로 한국에 도입되어 시설보호 사업과 다방면의 사회복지사업을 실시했다. 사회복지제도의 확립기(1962~1987) 이 시기는 5·16 군사혁명 이후 정치적 정당성 확보를 위하여 생활보호법, 의료보호법, 공무원연금법, 군인연금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아동복리법, 윤락행위방지법, 갱생보호법, 재해구호법 등 대부분의 사회복지 법률이 양산되었지만 선언적인 의미가 강했던 시기이다. 사회복지제도는 보완적 기능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으나 기본적인 법제 틀을 갖추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사회복지 전문 분야의 형성 1960년대 말 외원활동기관이 축소되면서 일부 기관의 대표는 한국인으로 교체되었으며 외원기관의 자선사업, 시설보호 중심의 사회복지사업은 그대로 이어졌다. 제도적 측면에서 이 시기는 사회복지 전문 분야가 형성된 중요한 시기이다. UN의 1985년 세계청소년의 해를 계기로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 인구집단 대상별 사회복지서비스가 제도적인 기틀을 마련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증가 사회복지의 제도적 확충과 함께 민간과 공공 부분에서의 실천가들의 수는 확대되었다. 1965년 한국개별사회사업가협회를 모태로 1967년 한국사회사업가협회가 조직되었으며 1982년에는 명칭을 한국사회복지사협회로 개칭하고 윤리강령을 통과시켜 전문성 확보에 중점을 두었다. 1980년대 사회복지관 증설로 사회복지 전문 인력이 크게 요구 되었으며 대도시 빈곤지역 동사무소에 7급 별정직으로 사회복지전문요원이 임용되기 시작하면서 민간 뿐 아니라 공적 서비스 전달체계에 투입되기 시작하였다. 사회복지실천의 확대기(1988~현재까지 ) 1990년대 말 금융위기를 계기로 사회복지계에도 큰 변혁을 겪은 시기이다. IMF관리 체제하로 구조조정을 통해 대규모의 실업자가 발생하여 고용과 실업, 빈곤 대책에 대한 근본적인 재조정이 불가피하였다.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도 사회개혁과 전반적인 사회안전망구축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제정되고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부와 시민단체의 관심이 증가되었으며 전...
참고 자료
백인립(2013). 사회복지학의 정체성:21세기 한국사회와 사회복지의 역할.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양정남, 정민숙, 사회복지개론, 공동체, 2017.
양재진, 한국 복지정책 60년, 한국행정학회, 2008.
최송식 외, 사회복지의 이해, 박영사, 2009.
Gough, I. (1979).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Welfare State, London: Macmillan Pres
조흥식, 김상균 외 8명 2015 나남 사회복지개론
양옥경, 김정진 외 1명 2018 나남 사회복지실천론
스웨덴 복지정치, 이헌근, 2001, 신지서원
복지국가의 태동, 송호근ㆍ홍경준, 2006, 나남출판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비판을 위하여, 김석진ㆍ박민수(과천연구실 세미나7), 1997, 공감이론신서5
변화하는 세계, 변화하는 복지국가, 조영훈, 2004, 집문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