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 및 역할
1.1.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정의 및 선임 요건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경영조직에서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감독하는 부서의 장 또는 그 직위를 담당하는 자이다. 사업장 내 부서단위에서의 산재예방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선임하며, 당해 직무와 관련된 안전보건상의 업무를 수행한다. 관리감독자는 경영조직에서 생산과 관련되는 당해 업무와 소속직원을 직접 지휘 감독하는 부서의 장이나 그 직위를 담당하는 자로 선임되며, 일반적으로 조장, 반장, 과장, 차장 등의 직책에 따라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생산을 담당하는 근로자를 직접 지휘 감독하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 선임한다. 생산과 관련되지 않은 부서장도 생산부서 근로자까지 관리한다면 관리감독자로 지정된다.
1.2.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책임과 권한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경영조직에서 생산과 관련된 업무와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감독하는 부서의 장 또는 그 직위를 담당하는 자이다. 이들은 사업장 내 부서단위에서의 산재예방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선임되며, 당해 직무와 관련된 안전보건상의 업무를 수행한다.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책임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첫째, 사업주는 관리감독자에게 안전·보건에 관한 교육을 실시할 의무가 있다. 둘째, 관리감독자 선임은 의무사항으로, 생산과 관련된 업무와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감독하는 부서의 장 또는 그 직위를 담당하는 자를 선임해야 한다. 셋째, 관리감독자 선임 요건은 경영조직에서 생산과 관련된 당해 업무와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감독하는 부서의 장이나 그 직위를 담당하는 자로 한다. 넷째, 사업주는 관리감독자에게 16시간/년 이상의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관리감독자의 업무내용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첫째, 관리감독자가 직접 지휘·감독하는 기계·기구 또는 설비의 안전보건 점검 및 이상 유무의 확인이다. 둘째, 관리감독자에게 소속된 근로자의 작업복, 보호구 및 방호장치의 점검과 그 착용 및 사용에 관한 교육 지도이다. 셋째, 관리감독자에게 소속된 근로자에게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에 대한 교육이다. 넷째, 당해 작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관한 보고 및 이에 대한 응급 조치이다. 다섯째, 당해 작업장의 정리정돈 및 통로 확보의 확인·감독이다. 여섯째, 당해 사업장의 산업보건의,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의 지도·조언에 대한 협조이다. 일곱째, 안전목표와 방침의 전달이다. 여덟째, 불안전한 작업장법 개선 및 불안전한 행동의 시정 지도이다. 아홉째,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이에 따른 작업환경개선이다. 열째, 당해 작업장에 소속된 인원에 대한 안전교육이다.
이와 같이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사업장 내 부서단위 산재예방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선임되며, 관련 법규에 따른 다양한 책임과 권한을 갖는다. 이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근로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1.3.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 절차 및 수행 기준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 업무를 총괄적으로 수행하는 자이다. 이들은 사업주를 대신하여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계획 수립 및 이행, 안전보건 관련 법규 준수,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산업재해 예방 및 관리 등의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있다. [1,2]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주요 업무절차 및 수행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장의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한다. 이를 위해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여 개선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사업장 내 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