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의학용어 소개
1.1. 약물 투여 시간 관련 약어
AC, ac는 식전을 의미하며, ad lib은 자유롭게 또는 원하는 대로를 의미한다. BID, bid는 하루에 두 번, Daily는 매일을 뜻한다. PC, pc는 식후를 나타내고, p.r.n.은 필요할 때마다를 의미한다. qAM은 매 아침을, h와 hr은 시간을 나타낸다. qh는 매 시간, q2h는 2시간마다, q4h는 4시간마다, q6h는 6시간마다, q8h는 8시간마다를 의미한다. QID, qid는 하루에 네 번, STAT는 즉시, TID, tid는 하루에 세 번을 나타낸다.
이러한 약물 투여 시간 관련 약어는 의사나 약사가 처방전이나 의무기록을 작성할 때 자주 사용되며, 정확한 의미를 숙지하여야 환자에게 적절한 투약을 할 수 있다. 이들 약어는 처방전 해독과 투약 관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1.2. 투약처방에 자주 사용하는 표준 약어
약물 처방에 있어 표준화된 약어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약어는 의사와 약사 간 정보 전달을 효율적으로 하고 오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대표적인 표준 약어로는 ac(식전), ad lib(자유롭게), bid(하루에 두 번), daily(매일), pc(식후), prn(필요시), qAM(아침마다), q(마다), qid(하루에 네 번), stat(즉시), tid(하루에 세 번) 등이 있다. 이러한 약어는 투약 시간과 횟수를 명확히 나타내어 처방전의 해석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aq(물), cap(캡슐), comp(복합제), dc(중단), dil(희석), elix(엘릭서), h(시간), IM(근육내), IV(정맥내), m(혼합), npo(경구 금식), po(경구투여), prn(필요 시), Rx(처방), s(없이), sc(피하), susp(현탁액), sup(좌약), tr(팅크제) 등의 약어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어들은 투약 형태나 투여 경로를 명확히 함으로써 처방 오류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의학 분야에서 표준화된 약어 사용은 효율적이고 안전한 처방전 작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의료진들은 이러한 약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숙지가 필요하다.
1.3. 투약처방 시 오역되기 쉬운 약어
투약처방 시 오역되기 쉬운 약어가 많으며, 이러한 약어의 오해로 인해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오역 사례로는 μg을 mg으로, AD/AS/AU를 eye로, OD/OS/OU를 ear로 혼동하는 것이다. 또한 BT를 BID로, cc를 U(Unit)로, D/C를 퇴원 또는 중지로, I를 IV로, N을 IM 또는 IV로, HS를 half strength나 취침 시로, IU를 IV 또는 10으로, o.d.를 하루 1회나 오른쪽 눈으로, OJ를 오른쪽 눈 또는 왼쪽 눈으로, Per os를 왼쪽 눈으로, q.o.d.를 매일 또는 하루 4회로, qid를 daily로, 6PM 등을 6시간마다로, SC/SQ를 설하(SL) 또는 매일 설하로, SS를 inulin 단위나 1/2 55로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약물 처방 시 이러한 약어의 정확한 의미를 숙지하여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신경계 약어
2.1. 신경계 용어와 약어
agnosia는 인지불능을 의미한다. akinesia는 운동불능을 의미한다. alert은 기민하고 의식이 명료한 상태를 뜻한다. Alzheimer's disease는 알쯔하이머 질환을 의미한다. ALS는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을 나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