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골관절염 TKA 감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골관절염의 정의 및 병태생리
1.3. 골관절염의 분류 및 원인
2. 골관절염과 TKA
2.1. 임상 증상
2.2. 진단 과정
2.3. 보존적 치료 및 간호
2.4. 수술적 치료: 전무릎관절치환술
2.5. 전무릎관절치환술의 목적 및 적응증
2.6. 전무릎관절치환술의 합병증
3. 대상자 사례 보고
3.1. 대상자 소개
3.2. 간호과정 적용
3.2.1. 간호사정
3.2.2. 간호진단
3.2.3. 간호계획
3.2.4. 간호중재
3.2.5. 간호평가
4. 고찰 및 결론
4.1. 사례 보고에 대한 고찰
4.2. 골관절염 및 TKA에 대한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은 연령 증가에 따라 발병률이 높아져 65세 이상 노인인구에서 약 80%의 유병률을 보이는 대표적인 만성 퇴행성 관절질환이다. 이는 관절 연골의 국소적인 변형으로 시작되어 점차 퇴행성 변화를 보이며, 연골하골의 비대 또는 활액막의 이차적 염증 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골관절염은 체중부하를 많이 받는 무릎관절, 고관절 등에 잘 발생하며, 연령 증가, 유전적 요인, 비만, 외상 등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게 된다.
골관절염 환자들은 주로 관절 통증, 관절 강직,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방사선 검사를 통해 관절 간격 협소, 골극 형성 등의 특징적인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보존적 치료로는 운동요법, 온열 및 냉찜질 요법, 영양 및 식이요법, 약물치료 등이 있으며,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전무릎관절치환술(TKA)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TKA는 심한 골관절염 환자에게 적용되는 수술로, 파괴된 관절면을 제거하고 인공 관절 보철물로 교체하는 수술이다. TKA는 환자의 통증을 경감시키고 관절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출혈, 감염, 탈구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깊게 관리해야 한다.
본 사례 연구에서는 87세 여성 환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골관절염의 병태생리, 증상, 진단 과정, 보존적 및 수술적 치료, TKA의 목적과 적응증, 합병증 등을 상세히 다루고자 한다. 또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사정하고 간호중재를 수행하며, 이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향후 골관절염 및 TKA 환자 관리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령화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골관절염 환자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골관절염의 정의 및 병태생리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은 일명 퇴행성관절질환(Degenerative joint disease, DJD),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이라고 하며, 관절염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 국소적인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만성질환이다. 주로 체중하부에서 발생하는데 40세 이상 인구에서 70%, 65세 이상 인구에서 80% 정도에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50세 미만일 경우에는 남자의 발병률이 높고 50세 이상일 경우에는 여성의 발병률이 남자에 비해 두 배나 더 높다.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국소 변형으로 시작하여 점차 퇴행성 변화를 보인다. 연골하골의 비대 또는 활액막의 이차적 염증 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전신적인 증상 없이 국소적인 증상이 초래하게 된다. 무릎관절이나 고관절 같이 체중부하를 많이 하는 관절의 가장자리에 뼈 형성(bony formation)과 더불어 관절연골 표면에 발생한다. 관절면의 뼈가 과밀하거나 과잉증식(osteophyte, spus)됨에 따라 관절 간격이 좁아져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며, 주로 손가락 근위지관절, 손목, 팔꿈치, 발목, 척추 및 엉덩관절에 잘 침범한다. 가장 큰 특징은 연골의 파괴이며 골극 형성, 연골하 골경화 및 미세골절, 경증의 활막염증 등과 같은 병리학적 소견을 보인다. 연골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연골세포의 변화와 사멸로 인해 제2형 콜라겐, 프로테오글라이칸, 아그리칸 등의 세포외기질 생산이 감소하고 세포외기질 분해효소에 의한 세포외기질의 분해가 촉진되면서 연골의 기본구조가 파괴되어 관절 부하를 견디지 못하게 된다. 관절이 침범 받으면 밝고 투명한 정상 연골은 불투명 해지고 노랗게 변화한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연골이 침식되고 갈라져 깊은 골이 생기면서 연골은 점차 벗겨지고 연골 밑 뼈가 노출된다. 이곳에 신생뼈가 형성되면서 골질의 증식과 비후가 일어난다. 결국, 아탈구와 관절 기형이 생겨 부종, 통증, 근경련과 염증 등을 유발한다.
1.3. 골관절염의 분류 및 원인
골관절염은 일차성 골관절염과 이차성 골관절염으로 분류된다. 일차성 골관절염의 경우 연령, 유전적 소인, 국소적 감염, 기계적인 힘, 세포와 생화학적 과정 등의 복잡한 요인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50세 이후에 발병률이 높으며 특히 여성에게서 많이 발병한다. 비만이거나 심한 운동, 체중부하가 많은 작업에 종사하는 경우에도 발병률이 높다.
이차성 골관절염은 선천적 기형, 반복되는 관절 외상, 관절 탈구, 골절, 비정상적 관절 움직임을 초래하는 장애, 스테로이드와 같은 약물 등이 원인이 된다. 선천적 기형이나 외상으로 발생하는 이차성 골관절염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다. 반복적인 육체 노동이나 관절 사용이 많은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게서도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이와 같이 골관절염은 연령, 유전, 외상, 비만, 직업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구분된다. 일차성 골관절염은 중년 이후에서 주로 발병하고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나는 반면, 이차성 골관절염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골관절염의 발생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
2. 골관절염과 TKA
2.1. 임상 증상
골관절염은 관절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성분 중에서 관절 연골과 그 주위의 뼈에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이는 체중을 많이 받는 무릎관절, 엉덩 관절 등과 깊은 관련이 있다.
골관절염의 주요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절의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통증의 정도는 개인차가 크며, 초기에는 경미하지만 점진적으로 악화된다. 통증은 주로 운동 시 악화되고 휴식 시 완화된다.
둘째, 관절의 강직과 피로감이 나타난다. 아침 기상 후 15~30분 미만의 강직이 있으며, 질병이 악화되면 휴식 시에도 강직이 지속된다. 쉽게 피로해지는 증상도 나타난다.
셋째, 통증은 날...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7년), 성인간호학 상·하, 현문사,
안희경 외(2019년), 인체해부학, 고문사, P.100-10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년 신포괄수가제 표준진료지침 우수사례집」
국립중앙의료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지방의료원 표준진료지침 개발과 적용 연구」
은영 외. 「근거기반 임상간호실무지침의 수용개작 통증간호 실무지침」. 병간간호사회
서울 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 인공 슬관절 치환 수술」.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336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수술 후 운동 교육」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RH&MENU_ID=006046024
충청남도 공주의료원. 「수술 후 재활운동」. https://www.gjmc.or.kr/ds6_4_1.html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1988#none
윤은자, 2021, 성인간호학2, 수문사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2020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II, 수문사, 2020
황옥남 외 9, 제7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339
이숙 외, 정신건강간호학, 신광출판사, 2020
성미혜 외 3, 간호학개론-부록.NANDA-I 간호진단 분류체계(2018-2020), 2019
슬관절학회와 함께하는 퇴행성 관절염 가이드북, 슬관절학회
남덕호 외 3, 슬관절전치환술의 합병증;방사선학적 소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9, p591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균형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2019, p37
슬관절 전치환술 후 하지 근육 강화 운동 프로그램.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8
음악요법과 소음차단요법이 수술 후 활력징후, 통증 및 회복실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2012
골관절염의 약물요법, J Korean Med Assoc 2013 December, 2013
골관절염의 최신지견, 대한내과학회지 제82권 제2호 2012
<그림1. 뼈관절염의 퇴행성 변화>, 황옥남 외 9, 제7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339
<그림2. 퇴행성관절질환; 관절 간격이 좁아지고 날카로워지며 골변연이 생김>
약학 정보원 http://www.health.kr/searchDrug/search_total_result.asp (접속일자 2021.09.07)
통증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http://khna.or.kr/bbs/linkfile/resource/khna_Pcare.pdf (접속일자 2021.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