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 실습 오락과 휴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간호사정
1.1. 지리적 특성
1.2. 인구 특성
1.3. 건강 수준
1.4. 환경 특성
1.5. 교통 및 통신 공공시설
1.6. 오락과 휴식
1.7. 지역사회 자원
2. 지역사회 간호진단
2.1. 간호진단 수립
2.2. 우선순위 설정
3. 간호계획
3.1. 목표설정
3.2. 수행계획
3.3. 사업추진일정표
3.4. 평가계획
4. 결론 및 실습 소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사정
1.1. 지리적 특성
안산시는 경기도 남서부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다. 낮은 구릉지대에 둘러싸여 있으며, 계획화된 전원공업도시이다. 서울에서 남서쪽으로 30km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다. 면적은 156.33㎢이며, 그중 62.9%인 98.35㎢가 행정구역을 차지하고 있다. 2개의 구와 25개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과 인접한 위치에 있어 지하철 4호선, 영동고속도로, 서해안 고속도로 등 다양한 교통망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계획적이고 인공적으로 개발된 전원주택 도시의 특성을 갖고 있다.
1.2. 인구 특성
총인구는 694,004명으로, 이 중 남자는 331,241명(51.3%), 여자는 314,711명(46.7%)이다. 성비는 105.3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15~64세 생산가능인구가 498,463명(77.2%)으로 가장 많으며, 0~14세 유소년인구가 67,118명(10.4%),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80,371명(12.4%)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령화지수가 119.8%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노년부양비도 16.1%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안산시의 총인구는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2019년 이후 소폭 증가하고 있으며, 행정구역별로는 상록구와 단원구로 구분된다. 외국인 주민 수는 53,711명으로 전체 인구의 7.02%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단원구의 외국인 인구 비율이 19.3%로 높게 나타나는 등 다문화 지역 특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다문화 혼인 비중과 다문화 출생 비중도 각각 11.9%, 10% 이상으로 경기도 평균을 상회하고 있다.
이처럼 안산시는 전체 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노인인구와 외국인 인구가 증가하는 등 인구구조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 및 외국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보건복지 서비스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3. 건강 수준
강동구의 출생건수는 2018년 3,747명에서 2020년 3,539명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출생 시 기대여명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서울시 평균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다. 사망률 또한 최근 10년간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서울시 평균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다. 강동구의 자살률은 2014년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2016년 기준 서울시 평균보다 높은 실정이다.
암의 총 발생률은 서울시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나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서울시 평균보다 낮고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고혈압의 의사진단 경험률은 최근 증가하였으며, 당뇨병 의사진단 경험률 또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환경성 질환의 의사진단 경험률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강동구민의 주관적 건강수준은 서울시 평균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강동구민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서울특별시와 전국 중앙값 대비 낮은 편이나, 우울감 경험률은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우울증상 유병률 또한 여성과 고령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강동구민의 건강행태 측면에서는 흡연률은 서울시 평균보다 낮은 편이나, 직장 내 간접흡연 노출률과 가정 내 간접흡연율이 높은 편이다. 월간 음주율과 음주운전 경험률은 서울특별시에 비해 높은 편이며, 특히 20대와 남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및 걷기 실천율은 서울시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며, 저염식 실천율과 영양표시 확인 및 과일·채소 섭취율도 서울시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강동구의 건강수준은 서울시 평균에 비해 다소 취약한 편이며, 특히 정신건강과 건강행태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암 발생률과 만성질환 증가 추세, 환경성 질환 유병률 상승 등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인 관련 질병 관리와 함께 청장년층의 건강증진 노력이 요구된다.
...
참고 자료
단원보건소, https://www.ansan.go.kr/health/main/main.do
안산시청 통계 사이트, https://www.ansan.go.kr/stat/main/main.do
안산시 행정동 위치도, https://www.ansan.go.kr/stat/common/cntnts/selectContents.do?cntnts_id=C0001014
안산시 제 7기 의료보건의료계획, https://www.ansan.go.kr/health/common/bbs/selectBbsDetail.do?key=1272&bbs_code=B0626&bbs_seq=1081494&sch_type=sj&sch_text=¤tPage=1
안산시 제 8기 의료보건의료계획, https://www.ansan.go.kr/www/common/bbs/selectBbsDetail.do?bbs_code=B0214&bbs_seq=1557074
최연희 이지현 외 공저, 지역사회보건간호학 1, 수문사, 2022
성기월 외 공저. (2022). 「수정판 지역사회간호학I」. 수문사.
안산시단원보건소 https://www.ansan.go.kr/health/main/main.do
안산시청 홈페이지 https://www.ansan.go.kr/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 건강통계 https://chs.cdc.go.kr/chs/index.do
2024년 제8기 안산시 지역보건의료계획.
https://www.ansan.go.kr/common/file/FileDown.do?key=1292&bbs_seq=1562144&bbs_code=B0132&sch_type=sj&sch_text=¤tPage=1&file_id=16806756242297MXQHJ827ITDIDSJMPBSORQ4F
권문희 외(2018),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지침서, 수문사
최연희 외(2018), 지역사회보건간호학 Ⅰ, 수문사
강동구청 – 2018년 제 33회 강동 통계연보
https://www.gangdong.go.kr/ebook/2018statistics/index.html#page=20
강동구청 행정과공개 > 고시/공고 > 서울특별시 강동구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2015 ~ 2018)https://www.gangdong.go.kr/post/4000751346220621?currentPage=7&ap=B0007&bbsId=0007
강동구청 – 2017 강동구 사회조사 보고서
강동구,서울연구원 – 2018.3 건강도시 실현 위한 강동구 도시설계 가이드라인 수립연구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6). 2008-2015 지역사회건강조사 한눈에 보기.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OECD Health Data 2015 요약본.
통계청 e-지방지표,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강동구청 인구분포표, https://www.gangdong.go.kr/web/portal/ko.do
강동구 보건소 보건지표, https://www.gangdong.go.kr/health/site/main/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