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하트(Hart)의 참여이론 개요
하트(Roger Hart)의 참여이론은 청소년 참여의 수준을 8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청소년들이 사회에 어떻게 참여하고, 그 참여가 얼마나 자율적이며 효과적인지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기준을 제시한다.
하트의 참여이론에 따르면, 청소년 참여는 단순히 청소년들이 어떤 활동에 참여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진정한 참여란 청소년들이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그 결정이 실제로 반영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참여가 이루어질 때, 청소년들은 사회의 일원으로서 책임감을 느끼고, 스스로의 능력을 개발하게 된다.
하트의 참여이론은 8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단계는 '조작'으로, 청소년들이 표면적으로는 활동에 참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성인들이 결정한 것에 따라 행동하는 경우이다. 두 번째 단계는 '장식'으로, 청소년들이 활동에 참여하지만, 그들의 역할은 주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다. 세 번째 단계는 '명목적 참여'로, 청소년들이 활동에 참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들의 의견이 실제로 반영되지는 않는다.
네 번째 단계는 '청소년들이 정보 제공자'로서 참여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청소년들이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여전히 의사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 다섯 번째 단계는 '청소년과 성인 간의 협력'으로, 이 단계에서는 청소년들이 성인들과 협력하여 의사결정을 내리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여섯 번째 단계는 '청소년이 주도하고 성인이 지원하는 참여'이다. 이 단계에서는 청소년들이 활동을 주도하며, 성인들은 그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일곱 번째 단계는 '청소년이 완전히 주도하는 참여'로, 이 단계에서는 청소년들이 모든 활동을 주도하며, 성인들은 전혀 개입하지 않는다. 마지막 단계는 '청소년과 성인이 동등하게 협력하는 참여'로, 이 단계에서는 청소년과 성인이 동등한 파트너로서 협력하여 모든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한다.
이러한 하트의 참여이론은 청소년 참여의 수준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중요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청소년들이 단순히 참여하는 것에서 나아가, 자율적이고 책임감 있는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1.2. 청소년 참여기구의 중요성
청소년참여기구는 청소년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구를 통해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권리를 보호받으며, 자율성과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청소년운영위원회,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특별회의 등의 참여기구는 청소년들이 직접 시설 운영, 지역사회 문제, 국가 정책 등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은 자신의 의견이 실제로 반영되는 경험을 하게 되고, 이는 그들이 사회의 주체적인 일원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청소년 참여기구는 정책의 실효성 제고에도 기여한다. 청소년들의 의견이 정책 결정 과정에 반영됨으로써 청소년들의 실제 needs가 반영되고, 정책의 수용성과 효과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는 청소년들이 정책의 수동적 대상이 아닌 능동적 주체로 기능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청소년참여기구는 청소년 친화적인 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