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중매체와 문화의 관계
1.1. 대중매체를 통한 문화의 교류
TV를 통해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의 문화를 수용하고 있다. 일본의 애니메이션이나 미국의 드라마, 영화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방송분야가 개방되면서 오락 프로그램과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제외한 대부분의 분야에서 전면적인 개방이 이루어졌다. 케이블TV와 위성방송 등 대부분의 방송분야가 개방되었지만 지상파 방송은 부분적으로만 개방되었다.
반대로 우리나라의 문화도 TV를 통해 다른 나라에 전파되고 있다. K-Pop은 아시아권을 넘어 미국, 유럽까지 그 영향력이 확대되었으며, 한류 드라마 또한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가을 동화, 겨울연가, 대장금 등의 드라마는 중국, 일본, 대만, 중동 등 60개국 이상에 수출되며 현지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와 멋을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하였다.
라디오 또한 문화 교류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가난한 국가들에서는 단파 라디오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BBC와 같은 국제 방송사들은 전 세계 130개 국어로 방송하며 뉴스, 드라마, 음악, 종교 행사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여 각국의 문화와 사회를 반영하고 있다. 오늘날에는 인터넷 라디오를 통해 국제적인 메시지 전달이 가능해졌다.
인터넷 기반의 SNS 또한 새로운 문화 교류의 장이 되고 있다. 유튜브의 경우 매분 100시간 이상의 동영상이 업로드되고 있으며, 월간 방문자 수가 10억 명을 넘어서는 등 막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케이팝 가수인 싸이의 강남 스타일은 유튜브에서 16억 회 이상의 조회 수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트위터와 같은 SNS를 통해 스타와 팬들 간의 실시간 소통과 교류가 가능해졌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문화 컨텐츠의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한국외대 특강에서 카카오톡을 언급한 것처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문화 교류의 창구로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TV, 라디오, 인터넷 등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해 문화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SNS의 발달로 개인과 개인, 개인과 기업, 국가 간의 쌍방향 문화 교류가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문화 콘텐츠가 공유되고 소비되면서 문화의 다양성이 증진되고 있다.
1.2. 대중매체를 통한 문화의 전파
대중매체를 통한 문화의 전파이다. 우리나라가 TV를 통해 다른 나라 문화를 수용한 경험이 있다.일본의 애니메이션, 미국의 드라마와 영화, 중국의 무협 시리즈 등이 대표적이다.반대로 우리나라 문화가 그 나라의 TV를 통해 전파된 경험도 있다.K-Pop은 아시아권을 넘어 미국, 유럽까지 그 영향력이 확대되었고, 한류 드라마 '가을 동화', '겨울연가', '대장금' 등이 해외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특히 '겨울연가'는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끌며 '욘사마', '지우히메'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냈다.또한 라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