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수술 후 환자 관리 향상
1.1. 문제 파악
간호사들의 수술 후 환자 관리 미흡으로 인해 환자들의 회복과 퇴원이 지연되어 병상 회전율이 저하되었다. 이는 간호사들의 수술 후 교육 부족과 환자들의 적극적인 관리 부족이 주요 원인이었다. 환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필수적인 교육, 즉 유치도뇨관 관리, 금연, PCA 사용법, 보조기 사용의 필요성과 사용법 등의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환자들이 이러한 교육 내용을 불이행할 경우 재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흡연 환자에 대한 적절한 규제 방안도 부족했다. 이에 따라 수술 후 환자들의 회복 및 퇴원이 지연되어 병상 회전율이 저하되었다고 볼 수 있다."
1.2. 목표 설정 및 기대효과 예측
수술 후 환자 관리 향상을 위해 설정한 목표는 간호사들이 환자들의 수술 후 알맞은 교육을 충실히 시행하고, 환자들은 수술 후 재활에 적극 임하여 적절한 기간 내 회복하여 퇴원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환자들에게 불필요한 처치와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간호사들에게 불필요한 업무가 발생하지 않아 예정일에 퇴원하여 병상회전율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1.3. 자료 수집 및 분석
자료 수집 및 분석은 수술 후 환자 관리 향상을 위한 핵심 단계이다. 문제 파악 단계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수술 후 환자들의 회복과 퇴원이 지연되며 따라서 병상 회전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우선, 상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의 항목에 대해 세부적으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상완·어깨 수술 환자 7명 중 암슬링 착용 환자는 5명, 암슬링 미착용 환자는 2명이었다. 하지 수술 환자 6명 중 하지거상대 사용 환자는 3명, 하지거상대 미사용 환자는 3명이었다. 유치도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