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주제 개요 및 분석 목적
현대건설의 재무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현재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건설업계 내에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현대건설의 재무제표와 주요 재무비율을 분석하고, 이를 산업 평균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현대건설의 강점과 약점을 도출하여 향후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1.2. 현대건설 재무 현황
현대건설은 1950년 1월 10일 설립된 종합건설업체이다. 최근 5년간 매출순위는 코스피 상장기업 중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매출규모도 전체 상장사 평균 대비 크게 높은 수준이다.
2017년 기준 현대건설의 매출액은 10조 1,679억 원으로, 전체 상장기업 평균 매출액의 약 100배 수준이다. 최근 5년간 현대건설의 매출액 변동은 크지 않은 편이다.
2017년 현대건설의 매출순위는 전체 상장기업 중 28위권이며, 매출규모와 매출순위가 최근 5년간 큰 변동 없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전체 상장기업 대비 현대건설의 종합평가 순위는 점차 하락하는 추세에 있다.
현대건설의 수익성은 매출액영업이익률과 매출액순이익률 등 대부분의 지표에서 전체 상장기업 평균을 상회하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수익성이 다소 하락하는 모습이다.
안정성 측면에서 볼 때, 현대건설의 부채비율은 최근 3년간 꾸준히 개선되어 2017년 68.8%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는 여전히 전체 상장기업 평균(69.8%)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성장성 지표인 매출증가율과 자본증가율은 2015~2017년 기간 중 각각 -0.4%, 1.2%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상장기업 평균 수준을 하회하는 수준이다.
시장가치 측면에서 현대건설의 PER과 PBR은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에 있으며, 이는 최근 수익성 및 성장성 둔화에 따른 투자자들의 부정적인 전망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종합적으로 볼 때, 현대건설은 매출 및 수익성이 양호한 편이나 재무 안정성과 성장성이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재무구조 개선과 신규 사업 진출 등을 통해 경쟁력을 제고해나갈 필요가 있다.
2. 현대건설 재무제표 분석
2.1. 손익계산서 분석
현대건설의 최근 5년간 손익계산서를 분석해보면, 매출액은 2002년 5조 4,433억 원에서 점차 감소하다가 2006년에는 5조 848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2002년 이후 해외수주 감소와 국내 건설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하였지만, 2006년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된 것으로 보인다.
매출원가율을 보면 2002년 93.0%에서 2006년 88.0%로 감소하였다. 이는 원가 관리 및 공사 관리 효율화 등을 통해 매출원가를 절감하려는 노력의 결과로 해석된다. 매출총이익은 2002년 3,829억 원에서 2006년 6,082억 원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판매비와 관리비 또한 2002년 1,874억 원에서 2006년 2,138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지만, 매출액 대비 비율은 2002년 3.4%에서 2006년 4.2%로 상승폭은 크지 않았다.
영업이익은 2002년 1,954억 원에서 2006년 3,943억 원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는 매출총이익 증가와 함께 판매비와 관리비 증가폭이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2005년과 2006년에는 각각 4,362억 원, 3,943억 원의 높은 영업이익을 기록하였다.
영업외수익과 영업외비용의 변동에 따라 경상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다소 등락을 보였다. 경상이익은 2002년 273억 원, 2005년 3,192억 원, 2006년 3,392억 원 등으로 변동이 크게 나타났다. 당기순이익은 2002년 192억 원에서 2006년 3,976억 원으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종합하면 최근 5년간 현대건설은 매출 증가와 원가 절감, 영업이익 증가 등 재무 성과가 개선되는 추세에 있다고 할 수 있다.
2.2. 대차대조표 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