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사의 의사소통 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용어의 정의
2. 본론
2.1.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수준
2.2.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의 관계
2.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3. 연구 방법
3.1. 연구 참여자
3.2. 자료 수집 방법
3.3. 자료 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4.1.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의 정도
4.2.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의 관계
4.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5. 결론 및 제언
5.1. 연구 결과 요약
5.2. 효과적 인력 관리를 위한 시사점
5.3.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 사회의 급격한 발달로 인한 병원조직의 변화와 관련하여 간호사의 업무가 점점 다양해지면서 최근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더욱이 간호사는 대상자나 동료 간호사뿐만 아니라 병원의 여러 전문직과 협업하는 경우가 많아 이들과의 효율적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간호교육이나 현장에서 의사소통이 효과적 간호실무의 중요한 요소로써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호사들의 실제적 의사소통능력은 부족한 실정이며 이로 인해 다양한 스트레스를 유발하기도 한다. 적정 수준 이상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 감소와 더불어 이직률을 증가시키며 나아가 간호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낮추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부서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수준 및 관계를 확인하여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1.2. 용어의 정의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수준이 부족한 이유는 간호 교육이나 현장에서 의사소통이 효과적인 간호실무의 중요한 요소로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간호사들의 의사소통능력이 미흡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간호사들은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어 직무만족도가 낮아지고 이직률이 증가하며 결과적으로 간호의 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직무스트레스는 의사소통능력 수준이 낮을수록 높아지며, 직무만족도는 의사소통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높아진다. 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의 수준과 관계를 규명하여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 본론
2.1.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수준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수준은 다음과 같다.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평균은 3.30(±0.43)이며, 임상간호사가 느끼는 직무스트레스 평균은 2.90(±0.33), 직무만족도 평균은 3.01(±0.30)이다. 이는 임상간호사들이 일정 수준의 의사소통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직무 수행 과정에서 상당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반면 직무만족도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난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r=-.247, p<.001)를,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246, p<.001)를 보인다. 이를 통해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고 직무만족도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근무부서와 경력에 따라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의 관계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의 관계이다. 연구 결과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의사소통능력과 직...
참고 자료
박명옥 외.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8, August (2016), pp. 81-93
이상미, 박영숙, 한경자, 방경숙 2008 『고위험모아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고위험 신생아.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인터넷 사이트
김미예, 권인수 외 3명 저 2014 『아동간호학개론』 수문사
김조자, 강화정 외 3명 저 2010 『기초간호과학』 수문사
박민향 2013 『신생아중환아 간호 임상가이드』 가나북스
전효숙.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강경아 외. 한국 아동 호스피스의 현황과 전망. 아동간호학회지 제9권 제2호, 2003년 4월
이상미, 김혜원 <고위험모아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심옥주.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도덕적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고위험신생아.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인터넷 사이트
조결자 <고위험 신생아 간호> 대한간호, Vol.35 No.2, [1996]
정원선 <저출생체중아와 고위험신생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양대 대학원,[2000] [국내석사]
강경아 외. 암 환아 가족의 아동 호스피스 요구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7 No.2, [2004]
Marilyn J. Hockenberry, David Wilson 2010 『아동간호학 각론』 김영혜 역 외 , 현문사
전효숙.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강경아 외. 한국 아동 호스피스의 현황과 전망. 아동간호학회지 제9권 제2호, 2003년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