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 신우신염 케이스 연구 및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방법
2. 문헌고찰
2.1. 급성 신우신염의 정의
2.2. 원인 및 병태생리
2.3. 임상증상
2.4. 진단검사
2.5. 치료
2.6. 간호
3. 사례보고
3.1. 사정
3.1.1. 일반정보
3.1.2. 신체검진
3.1.3. 검사결과
3.2. 간호과정
3.2.1. 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
3.2.2. 신우의 염증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4. 결론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급성 신우신염은 요로감염의 하나로써 신장의 실질과 집합체계에 세균이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신우신염이 발생하면 옆구리 통증과 급성 발열,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쉽게 피로를 느낄 수 있다. 방광염의 증상이 전조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신우신염이 진행되면 수신증이나 신농양으로 악화되어 패혈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신장 조직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켜 신장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요로감염은 응급실에 자주 방문하는 질환 중 하나이며, 특히 여름철에는 덥고 습해져 세균이 잘 번식하여 방광염이나 신우신염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급성 신우신염 환자의 증상 및 징후, 진단과 치료, 예방 및 관리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1.2.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은 급성 신우신염 환자의 증상 및 징후, 진단기준을 위한 검사의 종류와 결과, 치료 방법, 경과 및 합병증 등을 고찰하고, 급성 신우신염에서 일차적으로 필요한 간호중재를 알아보는 것이다.
급성 신우신염은 신장의 실질과 집합체계에 세균이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급성으로 발생하며 고열과 측복통, 세균뇨, 농뇨가 나타나고 주로 일측성으로 나타난다. 주요 원인은 세균감염, 요로폐쇄, 결석, 요로의 해부학적 구조 이상 등으로 인한 소변의 역류와 요정체이다. 최근 항생제 사용 증가로 인한 항생제 내성균의 감염이 문제가 되고 있다. 주증상은 고열과 오한, 늑골척추각의 지속적 동통과 방광 자극 증상, 빈뇨, 야간빈뇨, 급뇨 및 배뇨곤란 등이며, 심한 전신 무력감, 오심, 구토 등도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은 소변검사, 소변균 배양 검사, 혈액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요로촬영이나 전산화단층촬영 등의 영상검사로 합병증을 확인할 수 있다. 치료는 항생제 투여가 중심이며, 증상에 따라 근이완제, 진통제 등도 사용한다. 신우신염이 적절히 치료되지 않으면 신장 조직에 비가역적 손상이 발생하여 신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급성 신우신염의 증상과 원인, 진단, 치료, 간호 등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이해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1.3.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고찰, 관찰, 환자 차트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간호진단을 내리고 간호중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모든 간호 중재에 적용할 이론적 근거는 간호문헌을 고찰하여 기록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문헌고찰을 통해 급성 신우신염의 정의, 원인과 병태생리, 임상증상, 진단검사, 치료, 간호 등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또한 실제 급성 신우신염 환자 사례를 관찰하고 차트를 확인하여 대상자의 일반정보, 신체검진, 검사결과 등을 사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파악하고 간호과정을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론적 근거와 간호 실무를 비교하며 간호 중재의 적절성과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다각도의 자료 수집과 분석을 통해 급성 신우신염 환자 간호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2. 문헌고찰
2.1. 급성 신우신염의 정의
급성 신우신염은 신장이나 신우 등 상부 요로계가 세균 감염된 것을 의미한다. 방광이나 요도의 감염은 하부 요로감염이다. 급성 신우신염은 신우 신배계와 신뇌전증의 급성 세균성 감염으로 발열과 측복통, 세균뇨, 농뇨 등이 주 증상이며 주로 일측성...
참고 자료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2020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II, 수문사, 2020
황옥남 외 9, 제7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황옥남 외 9, 제7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이숙 외, 정신건강간호학, 신광출판사, 2020
박호란 외(2020),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상권』 현문사
박호란 외(2020),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 현문사
김진선, 「아동의 발열관리: 현황 및 과학적 근거」, 한국아동간호학회, 제22권, 1호, 2016
성미혜 외 3, 간호학개론-부록.NANDA-I 간호진단 분류체계(2018-2020), 2019
질병관리본부, 요로 감염 항생제 사용지침, 2018
약학 정보원
http://www.health.kr/searchDrug/search_total_result.asp (접속일자 2022. 9. 20)
통증간호 실무지침서 및 요약본
http://khna.or.kr/bbs/linkfile/resource/khna_Pcare.pdf (접속일자 2022. 9. 20)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http://www.health.kr/searchDrug (접속일자 2022. 9. 19)
조경숙 외, 2014,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p195~198
송경애 외, 2014, 최신기본간호학(하), 수문사, p258~259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p285, p352
김조자 외, 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p438~510
약품정보검색, 드럭인포(Druginfo) - 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