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사의 약물관리
1.1. 정신과 약물요법
1.1.1. 항정신병 약물
정형항정신병약물은 중추신경계의 도파민 수용체에 결합하여 뇌신경 전달물질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조현병을 치료한다. 정형항정신병약물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 작용이 강하지만 세로토닌 수용체 차단 작용은 미약하므로 양성증상을 치료하는 효과는 강하지만 음성증상에는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악화시킨다. 정형항정신병약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클로르프로마진, 레보메프로마진, 페르페나진, 할로페리돌, 부롬 등이 있다.
비정형항정신병약물은 중추신경계의 도파민 수용체 및 세로토닌 수용체에 결합하여 뇌신경 전달물질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조현병 치료에 사용된다. 비정형항정신병약물은 정형항정신병약물에 비해 도파민 수용체에는 약하게 결합하고 세로토닌 수용체에는 강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양성증상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면서도 음성증상을 악화시키지 않거나 개선한다. 비정형항정신병약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아미설피리드, 설피리드, 아리피프라졸, 블로난세린, 클로자핀 등이 있다.
이처럼 정신과 약물요법 중 항정신병 약물은 정형항정신병약물과 비정형항정신병약물로 구분되며, 그 작용기전과 효과, 부작용이 각각 다르다. 이에 따라 간호사는 환자의 병력 및 증상에 맞는 적절한 항정신병 약물을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지속적으로 관찰 및 관리해야 한다.
1.1.2. 항우울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는 신경세포 말단에서 선택적으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차단함으로써 시냅스 내의 세로토닌 농도를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세로토닌의 활성이 증가되어 우울 증상이 완화된다. 플루옥세틴, 파록세틴, 플루복사민, 설트랄린, 에스시탈로프람, 보티옥세틴 등의 약물이 있으며 우울증, 강박 장애, 월경 전 불쾌장애 등에 사용된다. 삼환계 항우울제에 비해 부작용과 안전성 면에서 우수하여, 항우울제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는 신경세포 말단에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이 재흡수되는 것을 차단해서 이들 신경전달물질의 활성을 높여 우울 증상을 개선한다. 둘록세틴, 벤라팍신, 데스벤라팍신, 밀나시프란 등의 약물이 있다. 둘록세틴과 밀나시프란은 우울증뿐만 아니라 당뇨병성 신경증과 섬유근육통 등의 질환에도 사용된다.
부프로피온은 신경세포 말단에서 노르에피네프린과 도파민이 재흡수되는 것을 차단해서 이들 신경전달물질의 활성을 높여 우울 증상을 개선한다. 미르타자핀은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키고, 트라조돈과 티아넵틴은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조절하여 우울 증상을 완화시킨다. 이외에도 기타 약물로 부프로피온, 미르타자핀, 트라조돈, 티아넵틴 등이 있다.
1.1.3. 기분안정제
리튬은 정신질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며, 특히 주요 우울장애 및 양극성 장애 치료에 사용된다. 리튬은 여러 분자기전을 통해 신경세포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기분 불안정성을 조절한다.
항정신성 약물은 신경이완제로도 불리우며, 조현병 또는 양극성 장애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1세대 약물인 할로페리돌은 도파민 수용체 중 D2 수용체에 대한 길항작용을 하여 수용체의 기능을 억제한다. 2세대 약물인 클라자핀은 도파민 또는 세로토닌 수용체에 대한 길항작용을 한다.
항간질성 약물은 원래 간질발작의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최근 들어 양극성 장애의 치료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발포르산, 카바마제핀, 라모트리진 등이 항간질성 약물에 속하며, 발포르산은 전압개폐성 나트륨통로를 억제하거나 뇌 속 가바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늘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리튬, 항정신성 약물, 항간질성 약물은 기분 안정 및 조절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주요 약물들이다. 이러한 약물들은 복잡한 분자기전을 통해 작용하여 정신 질환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약물 선택과 투여 용량, 부작용 관리 등 약물 요법의 전문적 관리는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1.1.4. 항불안제
벤조디아제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