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PD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동맥관 개존증의 정의 및 특징
2. 문헌고찰
2.1. 동맥관의 발생 및 기전
2.2. 동맥관 개존증의 발생빈도 및 증상
2.3. 동맥관 개존증의 진단
2.4.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
2.5. 동맥관 개존증의 합병증과 예후
3. 간호정보
3.1. 신생아 정보
3.2. 신체사정
3.3. 간호진단
3.4. 간호중재
4. 고찰
4.1. 동맥관 개존증 간호의 중요성
4.2. 간호과정 적용의 실제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동맥관 개존증(PDA)은 모든 선천성 심장질환의 10%를 차지하는 비교적 흔한 기형이다. 특히 여아에서 발생률이 남아보다 2배 높고, 임신 초기 풍진 감염 시 발생할 수 있다. 조산아에서도 재태기간과 반비례하여 발생빈도가 매우 높다. PDA는 다른 선천성 심장질환과 함께 발생할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개존된 동맥관을 유지하여 생존을 돕기도 한다. PDA는 신생아 심혈관 분야에서 중요한 질병이지만 정확한 발생 원인이나 치료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PDA의 정의와 특징, 발생 기전, 진단과 치료 방법, 합병증 및 예후 등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신생아 간호와 관련된 내용을 심도 있게 파악하고자 한다.
1.2. 동맥관 개존증의 정의 및 특징
동맥관은 태아기에 대동맥과 폐동맥을 연결하는 혈관으로, 출생 후 24시간 내에 50% 정도 닫히고 48시간까지는 90%, 72시간까지 완전히 닫히며 출생 2~3주 내에 인대(해부학적 폐쇄)를 형성한다. 그러나 동맥관이 닫히지 않고 열려 있는 상태를 동맥관 개존증이라 한다. 동맥관 개존증은 선천성 심장 질환의 약 5~10%를 차지하는 비교적 흔한 기형이며, 여아에게 더 많이 나타난다. 또한 임신 초기에 풍진에 감염되면 동맥관 개존증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저체중 출생아에게 동맥관 개존증이 자주 발생하며, 재태 기간이 28주 미만인 신생아의 약 60%에서 발생한다. 동맥관 개존증은 다른 선천성 심장 질환과 함께 나타날 수 있으며, 일부 선천성 심질환에서는 동맥관을 개존시켜 생존을 돕기도 한다. 동맥관 개존증은 심각한 호흡기계 질환의 흔한 합병증이며, 미숙아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로 간주된다.
2. 문헌고찰
2.1. 동맥관의 발생 및 기전
태아기에는 동맥관이 태아의 생존을 위해 필수적이다. 동맥관은 폐동맥과 대동맥을 연결하는 혈관으로, 태아에게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출생 후 산소 압력의 증가로 인해 동맥관이 서서히 좁아지기 시작하며, 만삭아의 경우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50% 정도가 닫히고 48시간 이내에 90%, 72시간 이내에 완전히 닫히게 된다. 출생 2~3주 내에는 동맥관이 인대(해부학적 폐쇄)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미숙아의 경우 폐의 미성숙으로 인해 동맥관이 개존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를 동맥관 개존증이라고 한다. 태아기에는 조직 내 prostaglandin의 작용으로 동맥관의 개존이 유지되나, 출생 후 산소 압력 증가로 인해 동맥관이 좁아지게 된다.
2.2. 동맥관 개존증의 발생빈도 및 증상
만삭아에서 동맥관 개존증의 발생빈도는 전체 선천성 심장질환의 약 5~10%를 차지한다. 그러나 체중이 1,750g 이하의 신생아에서는 45%, 1,000g 이하 신생아에서는 80%까지 그 비율이 증가한다. 즉, 저체중출생아에서 동맥관 개존증이 매우 흔하게 발생한다.
동맥관 개존증의 증상은 주로 출생 후 첫 주에 나타나는데, 이른 시기의 증상으로는 PaCO2의 증가, PaO2의 감소, FiO2의 증가, 무호흡의 반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말초 맥박이 약동하는 느낌, 이완기 혈압 저하로 인한 맥압의 증가, 심낭막의 과도한 움직임, 심비대, 그리고 수축 시 지속적인 기계성 잡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다만 동맥관이 너무 넓은 경우에는 심잡음이 들리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동맥관 개존증은 선천성 심장질환 중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특히 미숙아에게서 높은 발생률을 보인다. 증상은 출생 후 첫 주에 주로 나타나지만, 동맥관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2.3. 동맥관 개존증의...
...
참고 자료
김희순 외 공저(2008). 아동간호학Ⅰ 수문사. P.199~200
김희순 외 공저(2008). 아동간호학Ⅱ 수문사. P.842~843
왕명자 외(2010), 건강사정, 현문사
홍영혜외 (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아동 간호학 I (1994) 수문사 김미예 외
김옥녀(2006), 제 6판 수정 임상약리학, 수문사
JAMES G. et al., Microbiology a laboratory manual 6th, PEARSONp.151-154, 123-125
Michael T. et al., Brock의미생물학11th, PEARSON p161-164
Harvey et al.,분자세포생물학5th, 월드사이언스p.434
Neville, 2010,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alivarius, Future Microbiol. 5: 759
김미예 구현영 외, 『아동건강회복간호』, 수문사, 2018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동맥관개존증”,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2022. 10. 21
서울아산병원, “동맥관개존증”,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36, 2022. 10. 21
MSD 매뉴얼, “동맥관개존증”, https://www.msdmanuals.com/ko/%ED%99%88/%EC%95%84%EB%8F%99%EC%9D%98-%EA%B1%B4%EA%B0%95-%EB%AC%B8%EC%A0%9C/%EC%8B%AC%EC%9E%A5%EC%9D%98-%EC%84%A0%EC%B2%9C%EC%A0%81-%EA%B2%B0%EC%86%90/%EB%8F%99%EB%A7%A5%EA%B4%80-%EA%B0%9C%EC%A1%B4, 2022. 10. 21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동맥관개존증”,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26, 2022.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