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서구보건소 인구분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대전서구보건소 인구분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현황분석
1.1. 지역사회 특성
1.2. 인구학적 특성
1.3. 경제사회학적 특성
1.4. 교통, 통신, 공공시설
1.5. 환경적 특성

2. 건강 수준
2.1. 사망실태
2.2. 질병이환상태
2.3. 건강행위

3. 지역사회 자원
3.1. 유용한 보건자료
3.2. 건강관련 기관
3.3. 인적자원
3.4. 사회자원
3.5. 정치자원

4. 주민 요구도
4.1. 건강문제의 중요성
4.2. 보건사업 대상의 필요성
4.3. 정보 제공 및 교육 요구도
4.4. 물리적 환경 구축 필요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현황분석
1.1. 지역사회 특성

대전서구는 배산임수의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교 농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또한 섬유유업이 발달한 지역이기도 하다. 서구의 월 소득 평균은 300~400만원으로 중산층에 속하는 편이며, 보건센터의 위치도 비교적 접근성이 좋다.

인구 특성을 살펴보면, 노년층의 인구가 2배로 증가하는 반면 유소년층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인구 피라미드 또한 항아리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합계 출산율은 전국, 대전 광역시보다 낮은 편이며, 0세~30세의 사망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당뇨병과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서구의 고령화율은 점차 증가하여 노년부양비는 증가하고 유년부양비는 감소하고 있다.

주요 산업은 도ㆍ소매업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주요 시설이 특정 생활권에 밀집되어 있다. 대기오염 관련 지표는 전국에 비해 양호한 편이지만, 고령인구와 독거노인, 장애인 인구 비율이 높은 편이다. 이에 따라 취약계층을 위한 보건사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1.2. 인구학적 특성

중구의 총인구는 2022년 11월 기준 227,500명이며, 이 중 여자인구가 115,622명으로 남자인구 111,878명보다 약간 많다. 인구가 가장 많은 동은 산성동(26,711명)이지만 단일 행정동으로는 태평2동(24,945명)이 가장 많다. 한편 인구가 가장 적은 동은 문창동(4,471명)이다.

중구의 인구 추이를 살펴보면 2011년 265,502명으로 가장 많았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는 전국적인 인구 증가율 감소 추세와 더불어 중구의 증가율이 대전시와 전국 평균보다 낮기 때문이다. 2021년 기준 대전광역시 5개구 중 중구는 3번째로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성별 인구 추이를 살펴보면 대체로 고른 성비를 보이며, 2022년 기준 여성 인구가 111,703명, 남성 인구가 115,405명으로 여성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연령은 45.2세이며, 남성 평균 연령은 44세, 여성 평균 연령은 46.4세로 나타났다. 중구는 지난 5년간 전체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이 대전 5개구 중 가장 높으며, 합계 출산율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인다. 2021년 기준 중구의 고령 인구 비율은 20.3%로 전국 평균 17.1%보다 높고, 대전시 구 중 가장 낮은 유성구(10.2%)와 큰 차이를 보인다. 또한 2021년 기준 중구의 합계 출산율은 0.72명으로 전국 평균 0.808명, 대전시 평균 0.810명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사망률은 대전시 평균 5.04%에 비해 높은 6.73%를 보이지만, 자연 증가율은 -0.2%로 대전시 평균 2.6%에 비해 낮은 편이다.

총부양비는 40.7명으로 대전시 평균 34.4명에 비해 높고, 유년 부양비는 17.1명으로 대전시 평균 18.2명보다 낮은 반면 노년 부양비는 23.6명으로 대전시 평균 16.2명보다 높아 노년 부양비의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대전 중구 생산 가능 인구(15~64세)는 161,364명으로 전년 대비 약 6,000명 감소하였다.

평균 결혼 연령은 남성 32.75세, 여성 30.23세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전시 평균보다 각각 0.08세와 0.04세 높은 수준이다.

외국인 거주자 수와 다문화 가정의 비중은 대전광역시 내에서 가장 낮은 편이다.

한편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수는 2017년 9,825가구, 13,611명에서 2021년 10,305가구, 14,112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독거노인 수도 2019년 11,550명에서 2021년 14,403명으로 늘어났다. 등록 장애인 수는 2017년 14,047명에서 2019년 14,251명으로 증가했다가 2020년부터 14,058명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와 같이 중구는 출생률 및 합계 출산율이 낮고 노령 인구 비율이 높으며, 저출산, 고령화가 지속되는 사회 구조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1.3. 경제사회학적 특성

기초생활보장수급자 합계는 14,112명으로 대전광역시의 19.35%를 차지한다. 산업별 사업 종사자수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가 17,234명으로 가장 많았고, 도매 및 소매업 종사자가 16,233명으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중구의 학교 수는 98개로 대전의 15%를 차지하며, 학급 수는 14%, 학생 수는 9.9%, 교원 수는 14.5%,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약 9.85명으로 서구와 비교했을 때 절반 이상의 차이가 났다. 중구의 월평균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이 4.8%로 서구와 비교했을 때 약 1.7%가 낮으며, 500만원 이상은 31.1%로 서구 및 대전광역시 전체와 비교했을 때 약 2.5% 높다. 중구의 소득 수준 만족도의 매우불만은 4.4%로 서구의 1.9%보다 2.5% 높다.


1.4. 교통, 통신, 공공시설

자동차 등록 대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자동차 등록은 2016년 101,040대에서 2020년 109,929대로 증가하였다. 영업용 자동차의 경우 승용차는 점차 감소하나 승합차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자가용 자동차의 경우는 승합차는 점차 감소하나 승용차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자전거 도로의 경우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동일한 23개 노선이었으나 2020년에 1개 노선이 추가되어 총 24개의 자...


참고 자료

인구분포 자료원:제 6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 (서구)
인구의 기본구조 및 성비 자료원: 국가통계포털(KOSIS)
대상지역의 합계 출생률 자료원: 국가통계포털(KOSIS)
대상지역의 연령별 사망률 - 국가통계포털(KOSIS)
사망 원인별 인구 분포 - 국가통계포털(KOSIS)
지역사회보건간호학 I/ 학지사 메디컬
통계청(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대전광역시 대전의 통계(https://www.daejeon.go.kr/sta/index.do)
유성구 제 7기 지역보건의료계획(http://www.yuseong.go.kr/?p=485657&page_num=13077)
유성구청(http://www.yuseong.go.kr/?home=Y)
유성구 보건소(http://www.yuseong.go.kr/?page_id=10469)
대전광역시 보건소, 보건지소(https://www.daejeon.go.kr/drh/DrhContentsHtmlView.do?menuSeq=1956)
제27회유성구통계연보2018
2018-유성구-사회조사-보고서
국립암센터, 2022, 시도별 건강영양통계 만성질환유병율 분석결과
국토교통부, 2022,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
대전 중구청. (2023). 중구 지도. 대전 중구청 공식 홈페이지.
https://www.djjunggu.go.kr/kr/index.do
대전 중구청, 중구제8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중장기계획(안)_중구
대전 중구청. (2021). 제 30회 2021 중구 통계 연보.
대전 중구청, 2021, 사업체조사 결과 보고서
대전 중구청 총무과. (2022). 중구 예산안 보고서.
대전 중구 보건소, 2022 「지역사회건강조사 통계보고서」
대전광역시, (2021). 제 61회 대전통계연보
대전광역시, 중구 통계연보 (복지정책과) 2021
대전광역시·충청남도·세종특별자치시 암통계 2020
대전광역시, 2022, 대전의 사회지표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자치구별장래인구추계」, 2040, 주요 인구지표(성비, 인구성장률, 인구구조, 부양비 등)
대전시 장애인복지시설 총괄현황 (2022.6.30. 기준)
법무부, 2022, 2023.11.18., 인구증가율(시도/시/군/구)
법무부, 2022, 2023.11.19, 등록외국인 현황(시도/시/군/구)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2023 1/2, 경제활동참가율(시/군/구)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2023 1/2, 경제활동인구(시/군/구)
통계청,「국내인구이동통계」, 2023.09, 시군구별 이동자수
통계청,「인구동향조사」, 2022, 시군구/출생아수, 합계출산율
통계청,「인구동향조사」, 2022, 사망률(시도/시/군/구)
통계청,「이용자용 통계정보보고서」, 2023, 경제활동인구조사
행정안전부,「주민등록인구현황」, 2023.10,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
행정안전부,「한국도시통계」, 2020, 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및 장애인 등록률
행정안전부,「주민등록인구현황」, 2023.10, 행정구역(읍면동)별/5세별 주민등록인구(2011년~)
행정안전부,「주민등록인구현황」, 2023.10, 행정구역(시군구)별, 성별 인구수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