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위식도 역류질환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대상 및 방법
1.3.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2. 문헌고찰
2.1. 위식도 역류질환의 정의
2.2. 위식도 역류질환의 발병원인 및 병태생리
2.3. 위식도 역류질환의 증상 및 징후
2.4. 위식도 역류질환의 진단 검사 및 결과
2.5. 위식도 역류질환의 합병증
2.6. 위식도 역류질환의 의학적 치료
2.7. 위식도 역류질환의 일반적인 간호관리
3. 간호사정
3.1. 일반적 사항
3.2. 주호소
3.3. 현병력
3.4. 과거력
3.5. 가족력
3.6. NANDA 간호사정도구를 이용한 간호사정
3.7. 진단적 검사
3.8. 진단(치료)을 위한 검사
3.9. 기타 치료 및 간호
3.10. 주요 약물 요법
3.11. 신체 사정
4. 간호과정
4.1. 간호문제 및 진단
4.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4.3. 통증과 관련된 수면양상 장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위식도 역류질환은 위액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의 점막을 자극,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식도는 위에 비해 위산방어 능력이 훨씬 약해 위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위에서 식도로의 위산 역류가 계속되면 연약한 식도 곳곳이 헐고 염증이 생겨 위식도 역류 질환이 되는 것이다. 또한 이 현상이 지속되면 여러 가지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는데 위산이 식도를 지나 기도까지 넘어가면 만성 기침이 생기거나 목이 쉴 수 있고 후두염, 천식, 식도암 등이 유발되기도 한다. 육식을 주로 하는 서양인들의 경우 위식도 역류 질환이 4명 중 한명 꼴로 발병할 정도로 흔하여 이 질병을 서양의 질병이라는 것이 지배적인 개념이었다. 그러나 식생활 습관이 서구화되고 체형이 대형화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80~90년대 1~2%에서, 90년대 초 5%, 99년 7%, 그리고 2006년 8%로 이러한 증상을 가진 환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위식도 역류 질환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질병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알고, 위식도 역류 질환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 중재 방법을 연구하여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1.2. 연구대상 및 방법
대학교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의 진단명을 가진 3명의 환자 중 30대인 김○○님을 대상으로 하였다. EMR을 통한 chart, lab 검사, 간호정보조사지, 신체검진과 문진 등을 참고하면서 김○○님에 관한 기초자료 및 검사자료를 얻고, 인터넷 검색, 문헌고찰 등을 이용하여 본 질병에 관하여 일반적인 자료를 얻었다. 이를 토대로 직접 관찰 및 면담, 신체사정을 통하여 간호진단과 그에 대한 사정 및 계획을 하였다.
1.3.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이 연구의 범위는 서울 소재 대학병원에 입원한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30대 김○○님 1명으로 제한되었고, 성인 환자 외 소아 및 청소년 환자는 포함하지 않았다. 또한 퇴원 환자나 외래 환자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연구 방법은 의무기록, 검사 결과, 간호정보조사지, 신체검진 및 문진 등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인터넷 검색과 문헌 고찰을 통해 일반적인 정보를 보완하였다. 그러나 환자와의 직접적인 면담과 관찰에 제한적이었다는 점이 연구의 한계로 볼 수 있다. 또한 치료 경과에 대한 추적 관찰이 이루어지지 않아 장기적인 간호 요구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고, 추적 조사를 통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간호 중재의 효과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 사정과 문제 해결 과정을 상세히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2. 문헌고찰
2.1. 위식도 역류질환의 정의
위식도 역류질환이란 위액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의 점막을 자극,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식도는 위에 비해 위산방어 능력이 훨씬 약해 위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위에서 식도로의 위산 역류가 계속되면 연약한 식도 곳곳이 헐고 염증이 생겨 위식도 역류 질환이 된다. 또한 이 현상이 지속되면 여러 가지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는데 위산이 식도를 지나 기도까지 넘어가면 만성 기침이 생기거나 목이 쉴 수 있고 후두염, 천식, 식도암 등이 유발되기도 한다. 육식을 주로 하는 서양인들의 경우 위식도 역류 질환이 4명 중 한명 꼴로 발병할 정도로 흔하여 이 질병을 서양의 질병이라는 것이 지배적인 개념이었다. 그러나 식생활 습관이 서구화되고 체형이 대형화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80~90년대 1~2%에서, 90년대 초 5%, 99년 7%, 그리고 2006년 8%로 이러한 증상을 가진 환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2.2. 위식도 역류질환의 발병원인 및 병태생리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은 정상인에게도 짧은 시간 동안 일어날 수 있지만 역류가 자주 발생하고 그 기간이 길어지면 역류 증상과 식도염을 일으킬 수 있다. 위식도 역류질환의 가장 중요한 발병 경로는 하부식도 괄약근(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의 일시적인 이완에 의한 것이다. 이 외에도 식도열공 헤르니아(hiatal hernia)와 같은 해부학적 결손, 하부식도 괄약근의 낮은 압력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역류된 내용물의 자극 정도와 식도 점막 자체의 방어기전에 따라 식도염의 정도가 결정된다.
2.3. 위식도 역류질환의 증상 및 징후
위식도 역류질환의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위식도 역류질환의 전형적인 증상은 가슴쓰림과 산 역류 증상이다. 가슴쓰림은 대개 명치 끝에서 목구멍 쪽으로 치밀어 오르는 것처럼 흉골 뒤쪽 가슴이 타는 듯한 증상을 말하며, 환자는 이러한 증상을 '가슴이 쓰리다', '화끈거린다', '따갑다', '뜨겁다' 등으로 묘사한다. 이 통증은 견갑골 사이나 목 및 팔 쪽으로 뻗어갈 수 있다. 산 역류는 위액이나 위 내용물이 인두(식도와 후두 사이)로 역류하는 현상을 말하며, 시고 쓴맛을 호소하게 되는데, 대개 다량의 음식을 먹은 뒤 또는 누운 자세에서 쉽게 발생한다. 일부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에서는 협심증으로 오인할 정도의 심한 흉통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연하곤란, 연하통, 오심 등의 소화기 증상, 만성적인 후두증상, 인후이물감, 기침, 쉰 목소리, 후두염, 만성 부비동염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수문사, 김영숙 외
「성인간호학(여섯째판)」, 현문사, 이향련 외
「의학용어」, 수문사, 김귀영 외
「일반병리학」, KMS, 박창수 외
「PCN - 6. 소화기질환 편」, 정담, PCN 편찬위원회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I, 수문사(2021), p.418-422
서울아산병원, “위식도 역류 질환”,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26, 22.03.30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위식도 역류 질환”, https://www.kosinmed.or.kr/03dept/dept01.htm?mode=fa_detail&i_no=11&i_fno=190, 22.03.30
약학정보원, ‘맥쿨주’,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90B0002, 22.4.6
약학정보원, ‘트리돌주 50mg’,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50A0335, 22.4.6
약학정보원, ‘녹십자알부민주20%’,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4775, 22.4.6
약학정보원, ‘비타민케이1주사액’,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2803, 22.4.6
약학정보원, ‘대한포도당주사액5%(100mL),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 22.4.6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삼성서울병원 건강상식 http://www.samsunghospital.com
질병관리 본부KCDC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황옥남 외 , 성인간호학(상) , 현문사, 2018
고자경 외 , 성인간호학(상) , 퍼시픽, 2017
김조자 외,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 수문사, 2014
이선옥 외, 간호과정론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이선옥 외, 성인간호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욕창 사정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간호부)
http://www.kumcansannr.com/sosicji/so0604_3.html
건강한 수면 습관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4510472&memberNo=10437826&vType=VERTICAL
적정 수면 시간 (미국수면재단 : NSF) https://www.sleepfoundation.org/
약물 사진 (의약품 사전 사진) http://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