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궁근종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궁근종 간호과정
1.1. 통증과 관련된 자궁근종
1.2. 배뇨 변화와 관련된 자궁근종
1.3. 출혈과 관련된 자궁근종
1.4. 불안과 관련된 자궁근종
1.5. 체중 증가와 관련된 자궁근종
1.6. 기본적인 자아 존중감 감소와 관련된 자궁근종
1.7. 영양 불균형과 관련된 자궁근종
2. 자궁근종 절제술 간호과정
2.1. 급성통증
2.2. 감염위험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궁근종 간호과정
1.1. 통증과 관련된 자궁근종
통증과 관련된 자궁근종
자궁근종은 자궁 내에서 자주 발생하는 양성 종양이다. 자궁근종의 크기가 커질수록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통증 관리에 있어 온찜질은 근육 이완과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통증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다. 진통제는 통증을 억제하여 일상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자궁근종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치료 방법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
환자에게 자궁근종과 통증에 대해 설명하고, 통증 관리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온찜질을 권장하고, 필요한 경우 진통제를 투여한다. 환자의 통증 정도를 매일 평가하여 변화를 기록하고, 필요한 경우 진통제의 용량을 조정한다. 환자에게 통증 완화를 위한 적절한 자세나 스트레칭 운동을 제시하고, 일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논의한다. 자궁근종의 크기나 진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며, 치료 방향에 대해 환자와 협의한다.
환자는 24시간 이내에 통증 정도가 4점 이하로 감소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통증이 완화된다. 환자는 자궁근종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통해 장기적으로 통증을 관리하고,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다. 또한, 자궁근종의 진행을 막고, 통증 재발을 예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 계획을 세운다.
1.2. 배뇨 변화와 관련된 자궁근종
자궁근종으로 인해 방광을 압박하여 배뇨 빈도 증가와 급박한 배뇨를 유발하고 있다. 환자는 최근 배뇨 빈도가 증가하고, 배뇨 시 급박한 느낌을 자주 경험한다. 또한 배뇨 후에도 여전히 잔뇨감이 느껴져 불편함을 호소한다. 환자의 생리 주기는 약 30일 간격이며, 생리 기간은 7일 이상으로 늘어났다. 환자가 겪는 배뇨 변화는 자궁근종으로 인해 방광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것이다. 환자는 배뇨 빈도 증가와 급박한 배뇨, 잔뇨감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자궁근종으로 인한 배뇨 변화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1.3. 출혈과 관련된 자궁근종
자궁근종으로 인해 과다 월경과 불규칙한 출혈이 발생하고 있다. 환자는 최근 몇 달 간 과다 월경과 불규칙한 출혈을 경험하고 있다. 환자의 생리 주기는 약 30일 간격으로, 생리 기간은 7일 이상으로 늘어났다. 최근 2개월 간 월경 기간 동안 100ml 이상의 과다 출혈이 있었으며, 출혈 양은 평균적으로 매일 2~3회 이상 교체해야 할 정도로 많았다.
환자는 신체검사에서 빈혈 증상을 보였고, 혈압은 정상이었으나 맥박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초음파 검사 결과 자궁 근육층에 5cm 크기의 자궁근종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과다 출혈과 불규칙한 출혈은 자궁근종으로 인한 증상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호사는 환자의 과다 출혈과 불규칙한 출혈 증상을 관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간호 중재를 실시한다. 첫째, 환자의 월경 양상과 출혈 정도를...
참고 자료
김영선, 김미정.자궁근종 환자의 수술 후 회복과 영양 관리. 대한간호학회지, 48(4), 431-439.
박혜진, 오수진. 자궁근종 환자의 과다출혈과 영양 상태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임상간호학회지, 26(2), 98-105.
이정희, 김정숙.자궁근종 환자에서 영양 상태 평가 및 개선 방안. 간호학회지, 45(3), 192-198.
최윤정, 장미선. 자궁근종에 의한 출혈로 인한 빈혈 및 영양불균형에 대한 간호중재.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지, 25(4), 56-63.
유선미,김미경.자궁근종 환자의 영양 관리와 치료적 접근. 대한보건간호학회지, 49(1), 72-79.
조은별, 송은영. 자궁근종과 관련된 과다출혈 환자의 빈혈 관리 및 간호. 한국간호과학회지, 24(3), 211-217.
강은정, 서영주. 자궁근종 환자의 영양 불균형 개선을 위한 간호중재. 간호교육학회지, 34(2), 81-89.
여성건강간호학 1, 2(2020)/ 수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저
최신기본간호학(2020)/ 수문사/ 송경애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이동숙 외
간호과정의 실제(2019)/ 현문사/ 최순희 외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이동숙 외
학술자료: 『다양한 크기의 자궁근종 110예에 대한 복강경하 자궁근종절제술의 임상적 효용성에 대한 고찰』(2007)/ 대한산부인과학회지/ 50(6): 918-925/ 성균관대학교/ 정원석 외
학술자료: 『자궁근종의 치료: 어떤 방법을 선택할 것인가?』(2015)/ 대한의사협회지/ 58(12): 1147-1153/ 울산대학교/ 김용만
학술자료: 『Laparoscopic myomectomy – The importance of surgical techniques』(2023)/ Frontiers in Medicine/ 10: 1158264/ Dumitrascu, M. C., et al.
학술자료: 『Laparoscopic myomectomy complications: META analysis on RCTs and review of large cohort studies』(2023)/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Volume 287: 109-118/ Elsevier/ Tanos, V., et al.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