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사전학습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최초 생성일 2025.03.10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근골격계 사전학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용어 및 약어

2. 학습내용
2.1. 정형외과 병동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 검사 전·후 간호
2.2. 근골격계 수술 전·후 간호
2.3. 근골격계 장치 적용 환자 간호
2.4. 정형외과 보조기 종류
2.5. 재활 간호

3. 주요 질환
3.1. 외상간호
3.2. 염증성 장애
3.3. 류마티스 질환
3.4. 퇴행성 질환
3.5. 골대사 장애
3.6. 골종양
3.7. 요통, 수근터널 증후군

4. 주요 수술
4.1. 관절성형술
4.2. 관절경 반월연골 절제술
4.3. 십자인대 재건술
4.4. 개방적 견봉 성형술 및 회전근개 수복술
4.5. 개방성 수근터널 해리술
4.6. 활액막 절개술
4.7. 고관절 치환술
4.8. 슬관절 전 치환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용어 및 약어

ACL은 전십자인대를 의미한다.
AE는 팔꿈치 위를 의미한다.
AK는 무릎 위를 의미한다.
AP는 전후방을 의미한다.
AVN은 무혈관성 괴사를 의미한다.
B/G는 골이식을 의미한다.
BE는 팔꿈치 아래를 의미한다.
BK는 무릎 아래를 의미한다.
C/R은 폐쇄성 정복을 의미한다.
CHS는 압축 고관절 나사를 의미한다.
CPM은 지속성 수동적 운동을 의미한다.
CTS는 수근관 증후군을 의미한다.
DA는 퇴행성 관절염을 의미한다.
DIP는 원위지절을 의미한다.
DJD는 퇴행성 관절질환을 의미한다.
DTR은 심부건 반사를 의미한다.
E/F는 외부 고정을 의미한다.
EMG는 근전도 검사를 의미한다.
Fx는 골절을 의미한다.
I&D는 절개와 배농을 의미한다.
I/F는 내부 고정을 의미한다.
IS는 늑간강을 의미한다.
LCL은 외측부 인대를 의미한다.
MCL은 내측부 인대를 의미한다.
MRI는 자기공명영상을 의미한다.
O/R은 개방성 정복을 의미한다.
OM은 골수염을 의미한다.
OS는 골관절염을 의미한다.
P&I는 천자와 세척을 의미한다.
PA는 후전방을 의미한다.
PCA는 자기통증조절장치를 의미한다.
PCH는 후십자인대를 의미한다.
POP는 석고붕대를 의미한다.
PT는 물리치료를 의미한다.
RA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의미한다.
RF는 류마티성 인자를 의미한다.
ROM은 관절 가동범위를 의미한다.
S/G는 피부이식을 의미한다.
TKA는 전무릎관절 치환술을 의미한다.
TKR은 전무릎관절 환치술을 의미한다.

abduction은 외전을 의미한다.
adduction은 내전을 의미한다.
arthrectomy는 관절 절제술을 의미한다.
arthritis는 관절염을 의미한다.
arthrocentesis는 관절천자를 의미한다.
arthrography는 관절촬영술을 의미한다.
arthroplasty는 관절성형술을 의미한다.
sacrum은 천골을 의미한다.
body cast syndrome은 석고붕대 증후군을 의미한다.
bone graft는 골이식을 의미한다.
bryant's traction은 브라이언트 견인을 의미한다.
cardiac muscle은 심근을 의미한다.
cast는 석고붕대를 의미한다.
extension은 신전을 의미한다.
clavicle은 쇄골을 의미한다.
coccyx는 미골을 의미한다.
cramp는 경련을 의미한다.
dislocation은 탈구를 의미한다.
closed fracture는 폐쇄성 골절을 의미한다.
electromyography는 근전도 검사법을 의미한다.
fascia는 근막을 의미한다.
faciectomy는 근막절제를 의미한다.
fascitis는 근막염을 의미한다.
fat embolism은 지방색전증을 의미한다.
femur는 대퇴골을 의미한다.
fibrosarcoma는 섬유육종을 의미한다.
fibular은 비골을 의미한다.
flexion은 굴곡을 의미한다.
humerus는 상완골을 의미한다.
hallux valgus는 무지외반증을 의미한다.
hallux varus는 무지내반증을 의미한다.
hammer toe는 추상발가락을 의미한다.
ilium은 장골을 의미한다.
ligament는 인대를 의미한다.
limb은 사지를 의미한다.
log rolling position은 통나무 굴리는 체위를 의미한다.
patella는 슬개골을 의미한다.
pelvis는 골반을 의미한다.
rickets는 구루병을 의미한다.
spasm은 경축을 의미한다.


2. 학습내용
2.1. 정형외과 병동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 검사 전·후 간호

X-선 검사는 X-선을 인체에 투과시켜 그 흡수 차이를 컴퓨터로 재구성하여 인체의 정상 또는 비정상적인 해부학적 정보를 영상 정보로 나타내는 진단 방법이다. 5mm 크기의 작은 병소도 진단이 가능하며 인체의 어느 부위에나 검사를 적용할 수 있다.

검사 전 간호 시 대상자에게 검사의 목적과 과정을 설명하여 불안감을 감소시키며, 조영제가 사용될 경우 4시간 이상 금식하게 한다. 대상자는 방사선 비투과성 물체를 제거하고 검사용 가운으로 갈아입으며,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정맥주사를 확보하고, 협조가 어려운 경우 진정제를 투여한다.

자기공명영상은 자기장 내에서 고주파에 대한 신체 내 수소 원자의 반응신호를 측정하여 신체를 영상화하는 검사이다. 검사 전 고정물을 제거하고 폐쇄공포증 여부를 확인하며, 충분한 수분섭취와 근육이완제 투여 등을 통해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한다.

골밀도 검사는 특정 부위의 뼈 양을 측정하여 골다공증 등 대사성 골질환을 진단하는 검사이다. 검사 전 임산부 여부를 확인하고 속옷을 제외한 모든 옷을 탈의하게 한다.

근전도 검사는 근육의 전기적 활성도를 확인하여 근육 및 신경 장애를 진단하는 검사이다. 검사 전 병력을 청취하고 의사의 신경학적 검진을 시행한 후 필요한 근육 부위를 노출시켜 검사를 실시한다. 검사 후에는 통증, 출혈 및 감염 여부를 관찰한다.

척수조영술은 요추천자를 통해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 촬영을 하여 척추와 척수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검사 전 금식과 알레르기 반응 여부를 확인하며, 검사 후 두통, 저혈압 등의 부작용을 관찰한다.

관절경 검사는 관절 내부를 내시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으로, 무릎관절에 주로 사용된다. 검사 전 환자와 가족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동의서를 받으며, 검사 후 통증, 감염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간호를 제공한다.

뼈 스캔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정맥주사하여 골격계를 촬영하는 검사로, 전이성 암, 골다공증, 골절 등을 진단한다. 검사 전 동위원소 주사에 따른 불편감과 방사능 배출에 대해 설명하며, 검사 후 방사성 물질의 체외 배출을 위해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2.2. 근골격계 수술 전·후 간호

수술 전 간호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수술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수술 전 환자에게 수술과 관련된 검사를 설명하고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또한 수술 동의서를 받고 수술 후 필요한 행위에 대해 환자에게 시범을 보인다. 수술 전날 밤 환자에게 금식을 하도록 하고 관장을 시행한다. 수술 직전에는 수술 부위의 털을 제거하고 배뇨를 시킨 후 환의로 갈아입힌다. 감염 여부도 확인한다.
수술 후 간호는 수술 전 준비한 물품을 확인하고 출혈, 쇼크 등의 징후를 모니터링한다. 경추 수술 환자의 경우 구토 시 경추의 안정을 위해 흡인기를 준비한다. 또한 수술 후 통증 관리를 시행한다.


2.3. 근골격계 장치 적용 환자 간호

석고붕대 적용 환자 간호

석고붕대는 소석고를 재료로 만든 것으로 환부를 고정하고 지지하여 외부자극으로부터 환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료방법이다. 만성질환(예: 관절염) 시 치료 목적으로 침상 안정 시 나타날 수 있는 관절의 굴곡 구축을 예방하고, 척추 측만증이나 만곡족, 선천성 고관절 탈구에서 기형을 교정하는 데 사용된다.

석고붕대 적용 전에는 환자에게 석고붕대의 목적과 적용 방법을 설명한다. 피부를 비누와 물로 깨끗이 씻고 완전히 말린다. 뼈 돌출 부위에는 압박을 막기 위해 스폰지나 솜을 대준다. 젖은 석고붕대는 손바닥으로 조심스럽게 다룬다. 석고붕대 적용 후에는 건조하는 동안 열감을 느낄 수 있으며 10~15분 후 없어진다는 것을 설명한다.

석고붕대 적용 후에는 혈액순환을 확인하기 위해 매 2시간마다 말초혈관 상태와 체온, 감각을 사정한다. 손이나 발의 마비, 저린감, 냉감 등이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시 석고붕대를 느슨하게 한다. 뒤꿈치와 뼈 돌출 부위의 피부 상태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마사지한다.

석고붕대 적용 후 발목과 발이 부자연스럽게 위치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삼각 손잡이를 이용하여 체위 변경을 돕는다. 석고붕대로 인한 피부 자극이나 감염 증상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석고붕대 제거 시까지 관절 운동 범위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격려한다.


2.4. 정형외과 보조기 종류

경추 보조기

경추 보조기는 경추에 통증이나, 다쳤을 대 목의 운동을 보조하거나 방지하고 머리의 무게를 경감시켜주는 보조기이다. 경추 보조기는 머리와 목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며 착용자에게 목을 함부로 움직이지 말라고 하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것이다. 경추 보조기는 머리를 받쳐주며 경추의 굴곡, 신전, 회전, 외측 굴...


참고 자료

윤은옥외 공저, 성인간호학 ⅠⅡ, 수문사, 2021년, 975~1108
양선희외 공저, 기본간호학 ⅠⅡ, 현문사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나에게 딱맞는 휠체어사용법
http://www.nrc.go.kr/nrc/main.do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main.do
서울대학교병원 https://www.snuh.org/main.do
정립의지보조기 http://jeonglib.co.kr/UpperLimbOrthosis

김금순, 성인간호학, 수문사 2017년
김양호, 병리학, 현문사 2016년
조경숙, 김희경 등,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4년
손정태, 장은희 외,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2013년
송경애, 박형숙 등,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개정판, 수문사 2014년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