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식품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식품기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식품기사
1.1. 식염(Mohr법) 실험
1.1.1. 실험의 목적
1.1.2. 실험원리
1.1.3. 서론
1.1.4. 실험기구 및 시약
1.1.5. 실험방법
1.1.6. 결과
1.1.7. 고찰

2. 건강기능식품의 허와 실
2.1. 등푸른 생선
2.2. 녹차
2.3. 우유
2.4. 홍삼
2.5. 오메가3
2.6. 비타민 음료·비타민제
2.7. 글루코사민
2.8. 커피
2.9. CLA (공액리놀레산)
2.10. 셀레늄

3. 식중독 사고와 대책
3.1. 뉴스 기사와 식중독 세균
3.1.1. 뉴스 기사 출처
3.1.2. 원인 세균의 특징 및 식중독 현황과 증상
3.1.3. 원인 식품 및 감염 경로
3.2. 식중독 확산 방지 및 재발 방지 대책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식품기사
1.1. 식염(Mohr법) 실험
1.1.1. 실험의 목적

실험의 목적은 식품 중의 식염을 정량하고, 이에 따른 원리공식을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AgNO3용액과 NaCl용액의 조제법, 농도계수 측정법에 대하여 이해하고, 0.01N AgNO3용액의 소비량으로 간장 중의 식염 함량을 계산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다. 정량실험을 위해 식품을 550-600도시의 고온에서 회화시켜 대부분의 잔존성분이 무기성분으로 이루워져 있도록 하고, 강산으로 유기성분을 분해시켜 제거한다. 이를 통해 AgNO3용액과 반응하여 백색침전물이 생성되고, 크롬산칼륨을 첨가하면 적갈색이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식염 함량을 정량하는 것이다.


1.1.2. 실험원리

정량실험 전처리한 검체용액을 비커에 넣고, 크롬산칼륨(K2CrO4)시액 몇 방울 가한 후 뷰렛 등으로 질산은(AgNO3)표준용액을 적하하면, Cl-은 전부 AgCl의 백색침전으로 되고, 또 K2CrO4와 반응하여 크롬산은(Ag2CrO4)의 적갈색침전이 생기기 시작하므로 완전히 적갈색으로 변하는데 소비되는 AgNO3액의 양으로 정량하는 방법이다. 전처리 과정에서 예비탄화와 본탄화를 거쳐 유기물을 제거하면 무기질 성분만 남게 되며, 이렇게 분리된 무기질이 AgNO3와 반응하여 백색침전이 생성되고 크롬산칼륨과 반응하여 적갈색 침전물이 생성되므로 적정 종말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량분석을 위한 전처리와 AgNO3 표준용액의 적정이 이루어진다.


1.1.3. 서론

무기질은 식품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기물의 구성원소인 탄소,수소,질소 및 산소를 제외한 모든 원소를 말하며 약 100가지 정도가 된다. 이러한 일면에서 유기질과 무기질이 다량 공존하여 다성분계를 이루고 있는 식품에서 무기질을 정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기질을 분해시켜 제거한 후 무기질만 남아있는 시료를 조제하여야한다. 무기질을 분석하기 위한 전처리법은 크게 고온(550-600도씨)에서 유기물을 연소,회화하는 방법인 건식법(dry ashing)과 강산의 혼합물 중에서 가열분해하는 습식법(wet ashing)으로 나눈다. 건식법의 경우도 강산으로 유기성분을 분해시켜 제거하는 습식과 더불어 무기질 분석을 위한 전처리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550도시 이상의 고온에서 강한 수은의 경우에는 측정이 불가능하고 또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휘발하는 납과 무기물의 분석시 결과 값이 오차가 생길수 있다. 습식법은 시료를 진한 질산, 황산 등과 같은 강산으로 가열하여 유기질을 제거하고 무기질만 잔존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시료를 조제하여 기기분석 또는 화학분석으로 목적 무기성분을 분석하는 조작방법을 말한다. 습식회화법의 경우에는 수은과 비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무기질을 분석할 수 있으나, 분해 시 산이 비등하거나 산을 추가로 보충해야 하는 등의 전처리과정에서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1.1.4. 실험기구 및 시약

기구: 전자저울, 메스플라스크, 100ml 삼각플라스크, 10ml 피펫, 비커, 뷰렛, 하얀 종이 데시게이터, 회화로

시약: 10% 크롬산칼륨(K2CrO4)용액, 0.02n AgNO3용액

시료: 양조간장

추가적으로 10% Na2CO3용액과 0.1N-AgNO3표준용액을 사용한다. 데시케이터에는 실리카겔을 넣어 수분을 제거한다.


1.1.5. 실험방법

실험하기 전 실험대에는 70%알코올로 소독한 후 실험에 임한다. 먼저 저울에 도가니를 두고 0점을 맞춘 뒤,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시료를 5g정도 정밀히 취하여 도가니에 넣고 수욕상에서 증발, 건조한 후 회화시킨다. 회화 후, 밧트에서 예비 방냉 후, 열을 식히기 위해 데시케이터에서 뚜껑을 닫고 방냉시킨다. 다음으로 시료 5ml를 정확히 취해 메스플라스크에 넣고, 나머지 선에 맞춰 증류수를 넣어 100ml로 정용한다. 메스실린더의 총 100ml중에서 10ml 피펫을 이용하여 20ml을 덜어내고, 이를 삼각플라스크에 넣는다. 마지막으로 지시약인 5% K2CrO4를 넣고, 뷰렛에 깔때기를 꽂고 0.01N AgNO3으로 적정한다.


1.1.6. 결과

시료의 식염 함량은 14.04%이다. 적정에 소비된 0.02N 질산은액의 양은 12mL이었고, 0.02N 질산은액의 역가는 1.000이었다. 시료 채취량은 5g이었으며, 희석배수는 5배였다. 총 100mL의 희석한 시료용액을 사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식염 함량을 계산한 결과, 간장 시료의 식염 함량은 14.04%인 것으로 나타났다.


1.1.7. 고찰

식염(Mohr법)을 이용한 간장 식염 측정 실험에서는 시료인 간장에 함유된 식염을 정량하는 것이 목적이다. 식염은 식품의 주요 무기질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짠맛을 내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식품 내 식염 함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험에서는 간장 시료를 전처리하여 건식회화 과정을 거쳐 시료 내 유기물을 제거하고 무기질만을 추출한다. 이후 질산은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시료 내 식염 함량을 정량한다. 이때 크롬산칼륨 지시약을 사용하여 백색의 염화은 침전물과 적갈색...


참고 자료

식품기사/산업기사 실기시험문제/ 식품생명과학연구회 저/ 크라운출판사/pp546-548
기초 식품분석학/ 남상해 외4/보문각/pp108-111
식품분석 / 이근보 외2/유한문화사/pp165-168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필수지방산’ 등푸른 생선 많이 먹으면 ‘독’? 한겨례 (http://www.hani.co.kr/)
녹차 매일 한 잔만 마셔도 '폐렴' 사망 41% 예방, 메디컬투데이 (http://www.mdtoday.co.kr/health/)
김승민 외, 식품위생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식품안전나라 (https://www.foodsafetykorea.go.kr/main.do)
조성범, 고위험성 캠필로박터의 유전적 특성조사 및 안전관리 방안 마련 연구, 국립의과학지식센터, 2018.
노재영 기자, 캠필로박터균에 대한 궁금증 5가지?, 메디팜헬스, 2017.7.7.
여름철, 캠필로박터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식품소비안전국 식중독예방과, 2020.
질병관리청 홈페이지
http://www.kdca.go.kr/npt/biz/npp/portal/nppSumryMain.do?icdCd=ND0606&icdgrpCd=04&icdSubgrpCd=ND0006
캠필로박터균의 감염원 및 예방대책
https://susuhan104.tistory.com/11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