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흉관과 흉부배액체계를 가진 대상자의 안전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주제 소개 및 연구 배경
1.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대상자 사정
2.1. 개인력 및 과거력
2.2. 가족력
2.3. 신체사정
2.4. 검사 결과
3. 간호 진단 및 계획
3.1. 간호 진단 도출
3.2. 우선순위 선정 및 근거
3.3. 단기 및 장기 목표 설정
4. 간호 중재 및 평가
4.1. 호흡 관리
4.2. 통증 관리
4.3. 기도 청결 도모
4.4. 감염 예방
4.5. 지식 결손 중재
5. 결론 및 제언
5.1. 요약 및 고찰
5.2. 간호학적 의의
5.3. 연구의 제한점
5.4. 향후 연구 방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주제 소개 및 연구 배경
사용자가 입력한 주제는 '흉관과 흉부배액체계를 가진 대상자의 안전간호'이다. 이는 교통사고로 인한 흉부외상으로 응급실에 실려 온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흉관 및 흉부 배액체계 관리와 관련된 간호 요구를 파악하고 안전한 간호중재를 모색하는 것이다. 흉관은 늑골골절 등의 흉부외상 환자에게 폐확장과 배액을 위해 삽입되는데, 이에 따른 효과적인 배액 및 감염 예방 등의 간호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흉관과 흉부배액체계를 가진 대상자에게 필요한 안전간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흉관과 흉부배액체계를 가진 대상자의 안전한 간호를 위해 대상자의 호흡, 통증, 기도청결, 감염, 지식수준 등을 사정하고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시키고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여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상자의 간호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높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간호를 실현하고자 한다. 이는 대상자의 건강한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2. 대상자 사정
2.1. 개인력 및 과거력
평소 안전벨트를 잘 하지 않던 55세 남성 김OO씨는 출근 중 신호대기 중 뒤에서 오는 차에게 교통사고를 당하였다. 과거력으로는 특이사항이 없으며, 술은 소주를 1.5병/1달 정도 마시는 편이고 담배는 피우지 않는다.
2.2. 가족력
가족력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가족 중 건강 문제가 있는 사람은 없으며, 유전성 질환도 없다.
이처럼 대상자의 가족력에 특이 사항은 없다. 혈흉이나 기흉 등의 질환은 가족력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재 대상자의 문제는 교통사고로 인한 외상성 요인에 기인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2.3. 신체사정
대상자의 신체사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살펴보면, 체온은 36.4℃이고, 호흡수는 28회/분, 맥박수는 120회/분, 혈압은 70/40mmHg, 산소포화도는 90%로 나타났다. 체중은 75kg, 신장은 171cm이다.
대상자는 현재 통증을 호소하고 있으며, "너무 아파요, 숨을 못 쉬겠어요"라고 말하였다. 소화기계와 비뇨기계에는 특이사항이 없다. 호흡기계에는 호흡곤란, 가래 등의 증상이 있으며, 산소포화도가 90%로 낮게 나타났다. 보조기는 사용하고 있지 않다. 의식상태는 반의식 상태이며, 정서적으로 불안해 보이는 모습이다.
따라서 대상자는 교통사고로 인한 흉부외상으로 인해 혈흉과 호흡곤란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활력징후도 불안정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2.4. 검사 결과
대상자의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혈구 수 2.72M/uL, 헤모글로빈 9.2g/dL, 헤마토크릿 34.4%로 모두 감소되어 있어 출혈로 인한 빈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혈소판 수는 111K/uL로 감소되어 있다. 이는 외상으로 인한 대량 출혈로 인해 나타나는 소견이다.
혈액가스 검사 결과 pH 6.8, PCO2 50mmHg, PO2 60mmHg로 호흡성 산증이 나타났다. 이는 외상으로 인한 폐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흉부 X-ray 검사 결과 좌측 4-7번 늑골 골절과 혈흉 소견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주 진단명이 좌측 다발성 늑골골절로 인한 혈흉임을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대상자는 교통사고로 인한 외상으로 다발성 늑골골절과 이로 인한 혈흉이 발생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3. 간호 진단 및 계획
3.1. 간호 진단 도출
대상자는 교통사고로 인한 흉부외상으로 좌측 다...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528 ~ p530, p617, p621 ~ p622.
정향미 외(2020), 비판적 사고기반 간호과정, 수문사
문대환, 김계하, 이석기, “Incentive Spirometer를 이용한 심호흡이 시간경과에 따라 늑골골절 환자의 폐기능과 산소포화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174 – 183(10 pages), 2015.
Shao-Kai Sum, Ya-Chuan Peng, Shun-Ying Yin, Pin-Fu Huang, Yao-Chang Wang, Tzu-Ping Chen, Heng-Hsin Tung and Chi-Hsiao Yeh, “Using an incentive spirometer reduces pulmonary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raumatic rib fractur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Article number 797, Trials 20,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