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투약오류 QI"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제개요
3. 목표선정 및 핵심지표
4. 추진일정
5. 자료수집
6. 개선전략수립
6.1. 업무환경 개선
6.2. 투약오류 관련 정보공유
6.3. 간호사 대상 교육
7. 활동 효과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투약은 간호 업무의 중요한 부분이며 가장 수행 빈도가 높고, 간호활동시간의 40%가 소요되는 업무이다. 투약오류는 입원기간의 연장, 자원의 낭비와 함께 환자의 손상이나 사망 등에 따른 막대한 추가 비용을 발생시킨다. 투약오류의 76%는 예방이 가능한 오류이며 예방을 통해 불필요한 의료비용을 줄일 수 있고, 무엇보다 환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병동에서는 신규간호사의 계속적인 유입으로 인한 잠재적인 투약 오류 발생 가능성을 고려하여 이의 예방을 통해 실제 위해사건을 줄이고자 개선활동을 실시하고자 한다.
2. 문제개요
투약오류 감소를 위한 환자안전 QI활동
환자안전과 관련하여 간호행위에서 투약사고는 적신호사건까지 일어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OO병동에서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약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굉장히 적은 용량으로도 환자에게 위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병원의 센터확장으로 인해 다양한 환자의 입원 및 업무량이 많아졌다. 또한 다양한 내, 외과 환자를 간호하면서 생소한 약물과 용량을 사용하는 빈도도 높아졌다. 대내외적인 환경의 변화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투약오류가 예상되는 바, 간호사의 투약에 대한 경각심과 정확성이 더욱 더 필요하다. 5right를 지켜 안전한 투약을 하는 것은 어느병동, 어느간호 환경에서든 환자안전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간호업무이다. 이를 위해 투약오류의 감소, 교육의 보강, 지식 및 인식도 증가와 업무환경 개선 등이 요구된다.
3. 목표선정 및 핵심지표
핵심 지표는 투약오류 발생 건수, 투약오류 인식률, 투약오류 경험율이다. 투약오류 감소, 투약 관련 교육 강화, 투약 지식 및 인식도 제고, 업무환경 개선 등을 핵심 개선전략으로 수립하였다.
OO병동에서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약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 극히 작은 오류로도 환자에게 위험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병원 센터 확장으로 인한 다양한 환자 입원...
참고 자료
김명수, 2015, 투약오류보고장애요인과 투약오류보고의도의 관계에서 수간호사의 안전 관련 변혁적 리더십의 매개, 완충효과, 부경대학교, 674-677p
김민정, 2014, 간호사가 인식한 조직의 특성과 투약오류보고장애요인간의 정준상관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3p
송명희 (2012) 투약 오류 건에 대한 근본원인분석 시행, 세브란스병원 적정진료관리실, 1p
이순영 (2012) 간호사의 투약오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 충북대학교, 1-2p
박진희&이은남. 2019. 간호사의 투약근접오류경험의 영향요인과결과. 한국간호학회지. 49(5). p231-245.
김영미&장미경. 2010. 투약간호 중심의 환자안전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간호학회지. 13(4). p455-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