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수술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인 방광암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실제 간호현장에서 구체화시킴으로써 인간과 질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다. 방광암은 소변을 저장하는 장기인 방광에 악성 세포가 생긴 질환으로, 주로 60~70대에 발생하며 남성보다 여성의 발병 위험도가 3~4배 높다. 따라서 방광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2. 방광암(Bladder Cancer)
2.1. 방광의 해부생리
방광은 골반 내, 치골 뒤쪽에 위치하며 남성은 직장 앞에, 여성은 질 앞에 위치한다. 소변은 신장에서 만들어져 좌/우 요관을 통해 방광에 들어와 저장되었다가 요도를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된다. 성인 방광의 평균 용적은 약 400mL이며 점막, 점막하조직, 근육, 장막의 4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방광의 상부 표면은 복막강에 닿아 있다. 방광은 배뇨를 할 수도 있고 억제할 수도 있는데, 이는 방광배뇨근의 이완, 내괄약근 긴장, 외괄약근 수축 기전의 조화에 의해 이루어진다. 방광 점막에서 소변 감지 신호가 천골신경 2~3번으로 전달되어 배뇨가 조절된다. 방광바닥의 뒤쪽에는 요관 개구부 2개와 앞쪽에 요도 개구부 1개가 위치한 방광삼각이 있어 매끄럽다. 요관은 직경 약 1.25cm, 길이 약 30~45cm의 속이 빈 관으로 요관 평활근 수축으로 소변이 신우에서 방광까지 이동한다. 요도는 점막과 상피세포로 이어진 좁은 관으로 남성은 약 15~20cm, 여성은 약 2.5~3.75cm 길이이며 소변 배출 기능을 한다.
2.2. 방광암의 정의
방광암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방광암이란 소변을 저장하는 장기인 방광에 악성 세포가 생긴 질환을 말한다. 방광 내부에서 처음 발생하며, 주로 60~70대에 발생한다. 남성보다 여성의 발병 위험도가 3~4배 높다. 방광 내부는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이행 상피층에서 90% 정도의 방광암이 발생한다. []
2.3. 방광암의 원인 및 위험요인
연령은 방광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다. 방광암은 주로 60~70대에 많이 발생하며, 연령이 높을수록 발병률이 증가한다.
흡연은 방광암의 가장 중요한 단일 위험 요인이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2~7배 더 방광암에 걸릴 확률이 높으며, 전체 방광암 환자 중 50-65%가 흡연으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배의 발암 물질은 폐를 통해 흡수되어 혈액으로 들어가고, 신장에서 걸러져 소변에 포함되면서 방광 점막 세포에 손상을 줌으로써 암 발생의 원인이 된다.
업무상 화학물질 노출 또한 방광암 발생의 위험 요인이다. 사업장에서 방향족 아민 등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경우 전체 방광암의 20-25%가 이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