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근현대 동아시아 정치사 개요
1.1. 서론
근현대 동아시아 정치사는 19세기 중반 이후 동아시아 각국의 정치적 변화와 발전 과정을 다룬다. 이 시기는 서양 열강의 침략과 동아시아 각국의 근대화 노력 사이에서 복잡한 양상이 전개되었다. 본 보고서에서는 1853년부터 1945년까지의 근대 동아시아 정치사를 연표 형식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정치적 변화와 주요 사건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지역의 역동적인 근현대사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근대 동아시아 정치사 연표(1853-1945년)
1853년에는 미국의 동인도함대 사령관 페리가 일본에 개항을 요구하고, 이에 일본이 미국과 화친조약을 체결하였다. 이후 1854년에 일본은 영국, 러시아와도 조약을 체결하였다. 1858년에는 미국과 일본 간 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었고, 천진조약이 영국, 러시아, 프랑스와 맺어졌다. 1860년에는 영국, 프랑스 연합군이 베이징을 점령하고 베이징조약이 체결되었다.
1861년에는 미국 내 남북전쟁이 발발했고, 중국에서는 양무운동이 전개되었다. 1862년 프랑스와 사이공조약이 체결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존황양이파에 의한 이이 나오스케 암살 사건과 임술농민봉기가 일어났다. 1863년에는 조슈번이 외국 선박을 포격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1864년 중국에서는 태평천국이 멸망하였고, 일본에서 제1차 조슈정벌이 개시되었다. 1866년 프랑스에 의한 병인양요가 있었으며, 사카모토 료마의 중개로 삿쵸 연합이 성립되었다.
1868년 일본에서 보신전쟁이 발생하였고, 1869년 판적봉환과 관제개혁이 이루어졌다. 1871년 미국의 신미양요와 독일제국 성립, 프랑스의 파리 코뮌 성립이 있었다. 1873년 일본에서는 징병령이 실시되고 지조개정이 이루어졌다.
1874년 일본이 대만에 출병하였고, 자유민권운동이 전개되었다. 1875년 일본과 중국 간 운요호사건이 발생했다. 1876년 일본과 조선 간 강화도조약이 체결되었다. 1877년 일본에서 세이난 전쟁이 발생했다.
1878년 미국에서 조선 개항 결의안이 가결되었고, 1879년 일본이 류큐를 병합하였다. 1881년 일본에서 메이지 14년 정변이 일어났으며, 조미조약 체결을 위한 예비 교섭이 있었다.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났고, 제물포조약이 체결되었다. 1883년 영국과 조선 간 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었다. 1884년에는 갑신정변이 발생하였고 청불전쟁이 있었다.
1885년 영국이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였고, 프랑스와 텐진 조약이 체결되었다. 1889년 일본에서 대일본제국 헌법이 제정되었다. 1890년에는 제1회 중의원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1894년 청일전쟁이 발발하였고, 일본의 조선 침략,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등이 있었다. 1895년 시모노세키조약이 체결되었고, 을미사변과 단발령이 있었다.
1896년 아관파천과 독립신문 창간, 독립협회 창립이 있었다. 1897년 대한제국이 선포되었다. 1898년 의화단 운동과 만민공동회 운동, 독립협회 해산이 있었다.
1900년 의회단 사건과 의화단 사건, 활빈당 활동이 있었다. 1904년 러일전쟁이 발생했고 한일의정서가 체결되었다. 1905년에는 을사조약이 체결되었다.
1907년 삼국 협상이 성립되었고, 1909년 이토 히로부미 암살과 안중근 의거, 남한 대토벌 등이 있었다. 1910년 일제의 한국 국권 침탈이 이루어졌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고, 1915년 대중국 21개조 요구가 있었다. 1917년에는 러시아 혁명이 있었으며, 1918년 14개조 평화원칙이 발표되고 시베리아 출병이 있었다.
1919년 베르사유조약 체결, 파리강화회의, 3·1운동, 5·4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등이 있었다. 1921년 공산당 창당과 워싱턴 회의가 열렸다.
1923년 제1차 국공 합작과 관동에서의 조선인 대학살, 광동에서의 조선인 대학살이 있었다. 1926년 6·10만세운동이 일어났다.
1929년 대공황이 발생하였고, 1930년 군비축소조약이 체결되었다. 1931년 만주사변이 발발했다. 1932년 5·15 이누카이 쓰요시 수상 암살 사건과 한중연합군 조직이 있었다.
1933년 국제연맹 탈퇴와 조선 총독부 설치, 농촌진흥운동이 있었다. 1934년 공산당 대장정과 워싱턴 해군군축조약 폐기, 조선학 운동이 진행되었다.
1935년 기관설박멸동맹 조직과 1차 국체명징성명, 민족혁명당 조직이 있었다. 1936년 2·26 쿠데타와 '동아일보' 일장기 말살 사건이 일어났다.
1937년 제2차 국공 합작과 중일전쟁 발발, '국체의 본의' 발간, 국민정신 총동원 운동, 황국 신민의 서사 제정, 신사참배 강요 등이 있었다.
1939년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신방침' 채택, 강제 연행 시작(국민 징용령) 등이 있었다. 1940년 부락회, 초나이가이, 도나리구미 설치, 대정익찬회 설립, 한국 광복군 창설, 일제식 성명 강요 실시 등이 있었다.
1941년 '신민의 길' 발표, 진주만 공격, 태평양 전쟁 발발, 건국 강령 발표 및 대일 선전포고가 있었다. 1945년 얄타 회담, 일본에 원자폭탄 투하, 포츠담선언 수락, 해방 등이 있었다.
1.3. 연표 작성 방법과 참고 문헌
근대 동아시아 정치사 연표(1853-1945년)를 작성하기 위해 다양한 문헌을 참고하였다. 참고 문헌으로는 방송대 강의록, 시니어오늘, 국사편찬위원회 웹사이트, 학술서적 등이 있다. 각 문헌에서 185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동아시아 주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