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간과동물의의사소통의차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2. 인간과 동물의 의사소통 차이 고찰
2. 동물의 의사소통
2.1. 동물의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
2.1.1. 소리로 대화하기
2.1.2. 소리 없이 대화하기
2.2. 동물의사소통 연구 현황
3. 인간 언어의 특성
3.1. 언어의 이원성과 자의성
3.2. 언어의 사회성과 역사성
3.3. 언어의 창조성과 추상성
3.4. 언어의 분절성과 전위성
4. 인간과 동물의 언어 차이
4.1. 소리와 의미의 관계
4.2. 표현 범위와 유연성
4.3. 언어 습득 과정의 차이
5. Chomsky의 언어능력 이론
5.1. 언어 습득 장치(LAD)
5.2. 언어 능력(Linguistic Competence)의 구성요소
6. 결론
6.1. 연구 결과 요약
6.2. 동물 의사소통 연구의 시사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인간의 언어는 인간이 문명을 받아들이고 발전해 나가는 기초가 된다. 인간은 말과 글자를 이용하여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며, 이러한 언어능력은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원동력이 된다. 그렇기에 인간과 동물의 언어 체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그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인간의 언어가 가진 고유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간과 동물의 의사소통 차이에 관한 연구는 언어 습득, 의사소통 기제 등 언어학 분야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동물과 인간의 의사소통 차이를 살펴보고, 인간 언어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동물들도 나름의 의사소통 방법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은 언어라기보다는 단순한 신호에 가깝다. 동물들은 소리, 냄새, 몸짓 등을 통해 제한적인 의사전달을 하지만, 인간의 언어처럼 임의적이고 추상적인 의사표현은 불가능하다. 동물의 의사소통은 현재의 상황 표현에 국한되어 있지만, 인간의 언어는 과거와 미래, 가상의 상황까지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질적인 차이가 있다. 또한 인간은 언어를 통해 무한한 문장과 단어를 창조할 수 있지만, 동물의 의사소통은 정해진 신호에 국한된다. 이러한 차이점을 규명하는 것은 인간 언어의 고유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한편, Chomsky는 인간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언어 습득 장치(LAD)와 언어 능력(Linguistic Competence)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인간이 어떻게 언어를 습득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Chomsky의 언어능력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인간 언어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인간과 동물의 의사소통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Chomsky의 언어능력 이론을 통해 인간 언어의 고유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간 언어의 특성 및 그 근원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이다.
1.2. 인간과 동물의 의사소통 차이 고찰
인간과 동물은 의사소통 방식에 있어 여러 가지 차이를 보인다. 첫째, 인간의 언어는 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자의적이지만 동물의 언어는 소리와 의미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인간은 각각의 언어 공동체에서 사용되는 약속에 따라 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결정되는 반면, 동물의 의사소통은 유전적으로 정해진 소리와 그에 해당하는 의미로 이루어진다.
둘째, 인간의 언어는 무한한 표현 범위와 유연성을 가지고 있지만 동물의 언어는 매우 제한적이다. 인간은 음운과 어휘의 결합을 통해 무수한 문장과 단어를 만들어낼 수 있지만, 동물의 의사소통은 고정된 신호들의 조합에 불과하다.
셋째, 인간의 언어 습득은 문화와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지만, 동물의 경우 유전적으로 결정된 신호들을 본능적으로 사용한다. 인간 아이들은 부모나 주변 사람들의 언어를 모방하고 학습하여 언어를 습득하지만, 동물들은 타고난 의사소통 방식을 그대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차이로 인해 인간의 언어는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와 미래를 나타낼 수 있고, 구체적이고 추상적인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반면 동물의 언어는 주변 환경에 대한 반응이나 현재 상황을 표현하는 데 국한된다.
또한 인간의 언어는 분절성과 체계성을 가지고 있어 무한한 문장 생성이 가능하지만, 동물의 언어는 제한된 신호들의 반복적인 조합에 불과하다. 이처럼 인간과 동물의 의사소통 방식에는 질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2. 동물의 의사소통
2.1. 동물의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
2.1.1. 소리로 대화하기
동물들은 울음소리를 내며 의사소통을 시도한다. 대표적인 동물로는 개와 고양이가 있다. 개는 울음소리를 내어 자신의 기분과 의사를 전달하고, 고양이 또한 울음소리를 통해 의사를 전달한다. 또한 사람의 귀로는 듣기 어려운 초저주파음을 내며 소통하는 동물도 있는데, 하마와 코...
참고 자료
장 디디에 뱅상 저, 이자경 역, ‘생물학적 인간 철학적 인간‘ 푸른숲. 2002
김옥진 저, 인간과 동물, 동일출판사, 2014
찰스 로버트 다윈 저, 김홍표 역,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4
이금영, 언어학 개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2017
홍성심 외4명, Chomsky의 언어과학, 경진문화사, 2006
강현화, 원미진, 한국어 교육학의 이해와 탐구, 한국문화사, 2017
http://www.epicurus.kr/?document_srl=386931&listStyle=viewer&mid=Humanitas&page=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