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비누 만들기 실험
1.1. 실험 목적
동물성과 식물성 기름을 이용하여 비누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통해 비누가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고, 어떤 특성을 가지는지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비누는 동물성 지방이나 식물성 기름을 수산화나트륨과 반응시켜 생성된 지방산의 알칼리 염이다. 비누 분자에서 긴 사슬 모양의 알킬기는 소수성을 나타내고, 카복실기는 친수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계면활성제로 작용한다. 이러한 비누의 계면활성 특성을 이용하여 물에 녹지 않는 유기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험을 통해 비누의 제조 과정, 비누의 특성, 비누의 작용 원리 등을 이해할 수 있다.
1.2. 실험 이론
1.2.1. 계면활성제의 정의와 특성
계면활성제는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 부분과 기름에 녹기 쉬운 소수성 부분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비누나 세제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계면활성제는 일정 농도 이상에서 계면활성제 분자들끼리 모여 마이셀이라는 구조를 형성한다. 마이셀은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임계 마이셀 농도 이상이고 온도가 임계 미셀 온도 이상에서 형성된다. 마이셀이 물에서 형성될 때,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부분은 중심부에 모여 핵을 형성하고 친수성 부분은 물과 접촉하는 외곽 부분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기름과 같은 소수성 물질을 안정화시켜 물에 녹게 하는 용해화 현상이 일어나며, 이는 세제 작용의 기본 원리이다. 계면활성제에는 음이온계, 양이온계, 양성, 바이온성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이다.
1.2.2.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물에 녹아 이온으로 해리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이 원자단인 계면활성제로 강한 살균력을 가지며 정전기 방지 효과가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친유기성 부분이 해리되어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낸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기와 음이온성기를 동시에 가지고 있어 향균성을 가진다.
이에 비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온으로 해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계면활성제에 비해 자극성이 낮고 세포 내 효소와 세포벽 부착 효소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가 높다. 또한 반추위 미생물의 효소 활성을 높이는 특성이 있다.
이처럼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각자의 고유한 화학적 특성과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