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행정직 공무원 자기소개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행정 공무원
1.1. 사회복지행정 공무원의 분류체계 및 개념
1.2. 경력직 사회복지행정 공무원
1.3. 특수경력직 사회복지행정 공무원
2. 우수 공무원 추천 및 포상
2.1. 추천대상자 명부
2.2. 공적조서
2.3. 공적요약서
2.4. 인사기록 요약서
2.5. 장관 표창 동의서
3. 직업인 인터뷰
3.1. 대학교 취업지원본부 상담팀 팀장
3.2. 교육청 wee센터 임상심리사
3.3. 행정복지센터 행정직 공무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행정 공무원
1.1. 사회복지행정 공무원의 분류체계 및 개념
사회복지행정을 담당하는 공무원은 경력직, 특수경력직, 국가공무원, 지방공무원 등에 소속되어 있다. 사회복지행정과 관련된 공무원은 세무행정 분야처럼 전문성이 인정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국가공무원이나 지방공무원으로서 사회복지행정조직이나 부서에 배치된 경력직의 일반직 공무원의 범주에 속한다.
사회복지행정 공무원은 경력직의 일반직으로 행정직군에 속하는 공무원의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나며, 광의의 복지인 교육공무원도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사회복지행정 관련 공무원 중 지방공무원에 포함되는 사회복지 전문요원은 특수경력직에 해당되며, 그 외 사회복지행정 공무원인 보건, 의료 등은 연구직 등으로 세분된다.
사회복지행정 공무원의 체계를 살펴보면, 경력직과 특수경력직에 걸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1.2. 경력직 사회복지행정 공무원
경력직 사회복지행정 공무원은 국가공무원법과 지방공무원에 따라 일반직, 특정직, 기능직 등으로 구분된다. 일반직의 경우, 행정직군과 보건의무직군으로 구분되며, 행정직군에는 행정직렬, 사회복지, 노동, 사서직렬이 포함된다. 보건의무직군에는 의료와 관련된 보건, 의무와 약무, 간호직렬 등이 포함된다. 특정직 공무원 중 교육공무원도 광의의 사회복지행정 공무원에 포함된다.
이들 직렬에 속한 공무원들은 다소의 전문성에 의해 구분되지만, 대체로 9급에서 1급에 이르는 일반적 직급의 적용을 받는다. 보건복지부, 동부, 환경부, 교육과학기술부, 문화관광체육부 등의 중앙정부 사회복지행정 전담조직에서 이들이 사회복지행정을 담당한다. 또한 각 자치단체의 복지전담 부서에 소속된 공무원들도 행정직렬에 속한 지방공무원이다. 보건의무직군의 공무원은 의료와 관련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전담 조직에 배치된다.
1.3. 특수경력직 사회복지행정 공무원
특수경력직 사회복지행정 공무원은 사회복지행정 공무원 중 국가공무원법상 특수경력직에 해당하는 공무원을 말한다. 이들은 복지전담 조직의 장관과 차관 정도에 해당하며, 이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회복지행정공무원은 별정직이거나 전문직에 속한다.
고용직의 경우에도 사회복지행정조직에 속한 고용직 정도가 포함된다. 그 밖에도 연구직과 지도직 등으로 구분되는 전문직 공무원의 경우, 사회복지행정 공무원은 대부분이 연구직에 해당한다.
즉, 특수경력직 사회복지행정 공무원은 상당히 제한적인 범위에 해당하며, 대부분의 사회복지행정 공무원은 일반 경력직 공무원이나 전문직 공무원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사회복지행정 분야에서는 전문성이 인정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회복지행정 공무원은 일반 공무원 체계에 속해 있다고 할 수 있다.
2. 우수 공무원 추천 및 포상
2.1. 추천대상자 명부
추천대상자 명부에는 공직생활을 성실히 수행한 공무원들의 이름과 공적 개요가 기록되어 있다. 해당 명부에는 총 1명의 추천대상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소속은 ○○고등학교, 직위는 주사, 성명은 ○○○이다. 공적기간은 20××.××.××. ~ 20××.××.××.로 나타나며, 공적 개요는 "2000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평소 근면 성실한 자세로 자신의 맡은 바 업무를 성실히 수행했으며 직원들과 따뜻한 동료애를 나누며 원활한 학교 업무에 이바지한 공적이 지대함"이라고...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