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1. 중이의 정의
중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중이는 공기로 차 있는 좁고 납작한 모양의 공간으로, 세 개의 이소골이 있다. 이소골(ossicle)은 고막으로부터의 공기 진동을 기계적 진동으로 바꾸어서 소리를 증폭시켜 내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소골은 세 개의 작은 뼈인 추골(malleus), 침골(incus), 등골(stapes)의 순으로 연결되며, 추골은 고막에 부착되어 있고 등골의 발판은 내이 사이에 있는 작은 구멍인 난원창에 부착되어 있다. 이관(eustachian tube)은 비인두와 중이를 연결하는 관으로 내면은 점막으로 덮여 있고 비강 쪽 입구는 평소에 닫혀 있으며 하품이나 연하 시 열린다. 이관을 통하여 고막의 내부와 외부의 기압 평형을 유치한다. 유양돌기(mastoid process)는 측두골에 위치하며 공간은 공기로 차 있고 중이 뒤에 위치한다.
1.2. 만성 중이염
1.2.1. 증상 및 징후
만성 중이염(chronic otitis media)은 농 형성과 관계없이 고막의 여구적인 천공과 중이 내 점막과 이소골들의 파괴를 동반한다. 고막 주변부의 하부천공은 중앙천공보다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주변부천공은 편평상피가 이도에서 중이로 이동하여 조직이 탈락되고 축적되어 진주종(cholesteatoma)을 형성한다. 진주종은 편평상피조각으로 차 있는 물집이나 덩어리이다. 고막 천공 및 이소골 파괴로 인해 청력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진주종은 양성이고 성장이 느리지만 중이 전체를 꽉 채울 만큼 커진다. 치료하지 않으면 점진적으로 이소골이 파괴되고 내이로 침범하여 심각한 청력장애를 일으킨다. 또한 감염과정은 등골 파괴와 악취 나는 분비물을 초래할 수 있다.
1.2.2. 원인
중이염은 중이의 생리학적, 생화학적, 면역학적 요인과 중이의 염증반응 및 감염이 상호작용하여 발병한다. 이 중 특히 중이 기능 유지에 중요한 이관(유스타키오관)의 기능 장애, 미생물에 의한 감염에 따른 염증반응, 염증성 매개체의 역할이 만성 중이염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관의 기계적 또는 기능적 폐쇄로 중이에 분비물이 축적되는데, 감염이나 알레르기로 인한 내인성 폐색, 아데노이드 비후나 비인두 종양으로 인한 외인성 폐색이 그 원인이 된다. 음식물 삼킬 때 일시적으로 이관이 폐쇄되기도 한다. 이관이 폐쇄되면 중이 내 공기가 흡수되어 음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삼출물이 생성된다. 음압 상태가 지속되면 배액과 섬모 운동이 저해되어 감염이 악화된다. 이관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더라도 울음, 재채기, 코풀기, 삼킴 등의 행위로 인해 비인두 분비물이 역류하여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질병의 만성화에는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중이 점막의 병리적 변화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이러스 및 세균이 이관을 통해 중이로 침범하여 점막에 부착되면 염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중이 점막에 다양한 병리적 변화가 발생한다. 또한 염증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여러 염증성 매개체들이 중이 병변의 만성화에 기여한다.
1.2.3. 진단적 검사
만성 중이염을 진단할 때는 우선 병력 청취를 통해 이루, 청력 소실, 이통, 현기증, 안면마비 등의 증상과 과거 중이 수술 경력을 확인한다. 이경, 수술 현미경, 이내시경 검사를 통해 외이도, 고막, 중이 점막의 상태를 직접 관찰하여 고막천공 여부, 이루 발생 여부 등을 확인한다.
이루가 있는 경우에는 세균 배양 검사와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고, 흡인(suction)으로 고름을 제거한 뒤 다시 고막을 관찰한다. 청력 검사를 통해 주로 전음성 난청 소견을 확인하며, 청력 상태는 향후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측두골 전산화 단층촬영(CT)을 통해서는 중이강 내 연조직 음영으로 나타나는 염증 소견과 함께 중이 및 내이의 해부학적 구조, 이소골 및 주변 골조직의 파괴 여부, 유양동과 S상 정맥동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어지럼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누공 검사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