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나이팅게일의 간호이념과 업적 개요
나이팅게일은 근대 간호학의 창시자이다. 그녀는 간호를 직업이 아닌 사명이라고 생각했으며, 간호에는 어떠한 타협도 용납될 수 없다고 믿었다. 또한 간호는 질병을 간호하는 것이 아니라 병든 사람을 간호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는 전인간호, 즉 육체, 정신, 감정의 일체의 간호를 의미한다. 나이팅게일은 간호사업은 비종교적이어야 하나 간호사는 신앙인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간호사는 어디까지나 간호사이지 의사는 아니며, 간호의 일체는 간호사에 의해 관리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나이팅게일은 간호사는 자신을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긍지와 가치관에 따라 간호활동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녀는 간호는 더 좋은 것을 원하는 상태라고 보았다. 이러한 그녀의 간호이념은 간호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나이팅게일은 간호사로서 크리미아 전쟁에서 눈부신 활약을 펼쳤다. 그녀는 야전병원에 도착했을 때 위생시설과 간호 공급체계가 미비한 상황을 발견하고, 청소와 세탁, 위생체계 확립, 급식 개선 등 병원 전반을 개선하였다. 이를 통해 환자의 사망률을 42%에서 2%로 낮추는데 성공하였다. 이후 그녀는 군 의료체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의학실험실 배치, 군의학교 설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추진하였고, 정부와 군부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끈질긴 노력 끝에 성과를 거두었다.
나이팅게일은 크리미아 전쟁에서의 공로금과 '나이팅게일 기금'을 활용하여 1859년 '나이팅게일 간호학교'를 설립했다. 이 학교는 세계 최초의 경제적으로 독립한 간호학교로, 비종교적이고 교육적인 커리큘럼을 갖추었다. 나이팅게일 학교 출신들은 영국은 물론 전 세계로 진출하여 간호 혁신을 이끌었다.
나이팅게일은 통계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다. 그녀는 크리미아 전쟁 당시 병원 현황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사망원인별 통계를 시각화한 '장미 도표'를 고안하였다. 이를 통해 열악한 위생 환경이 사망의 주요 원인임을 입증하였고, 정부에 병원 개선 방안을 건의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나이팅게일은 1859년 여성 최초로 왕립 통계학회 회원이 되었다.
그 밖에도 나이팅게일은 여성의 참정권 주장, 적십자사 창설 지원 등 사회개혁에도 힘썼다. 그녀의 이러한 업적은 당시 여성에게 닫혀있던 문을 열고, 간호학의 전문성과 과학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1.2. 간호 비전 수립의 필요성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을 위해 헌신하는 전문직이다. 간호 비전을 수립하는 것은 간호사 개인의 발전뿐만 아니라 간호 전반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다. 나이팅게일의 간호이념과 업적은 간호 비전 수립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
나이팅게일은 '간호는 직업이 아니라 사명'이라고 보았다. 즉, 간호사는 자신의 긍지와 가치관에 따라 간호활동을 해야 하며, 자신을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를 성의껏 돌봐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간호는 질병을 간호하는 것이 아니라 병든 사람을 간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환자 중심의 전인적인 간호를 지향하는 것이다.
나이팅게일의 간호이념은 간호 전문성과 과학성을 제고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그녀는 간호를 비종교적이고 교육적인 배경에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간호의 일체가 간호사에 의해 관리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간호 직업의 독특성과 자율성을 확립하고자 했다.
나이팅게일의 업적은 간호 교육 기관 설립, 군 의료체계 개선, 통계학 분야의 공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드러난다. 이는 간호사가 단순히 환자를 돌보는 것을 넘어서 보건의료 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나이팅게일의 간호이념과 업적은 현대 간호사가 수립해야 할 비전의 근간이 된다고 볼 수 있다. 간호사는 환자 중심의 전인적 간호를 실천하며, 간호 전문성과 과학성을 제고하고, 보건의료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간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나이팅게일의 생애와 간호이념
2.1. 나이팅게일의 출생과 성장 배경
나이팅게일의 부모는 영국 출신이다. 당시 영국은 산업혁명이 진행되어 대규모 공장이 신설되고 상업이 발달하면서 수요가 증가하여 자본주의가 발달하는 시기였다. 또한 선거법 개정으로 도시의 신흥 상공 시민들에게 참정권이 확대되었고, 노예 해방이 이루어졌다. 여성 지도자들의 여성 참정권 운동도 일어났다. 빅토리아 여왕 시대에 중류계층 이상의 여성들은 문학, 예술, 어학 교육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지만, 대부분의 직업여성들은 공장 노동인력으로 일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서 나이팅게일은 1820년 5월 12일 "꽃의 도시"로 불리는 이탈리아의 나폴리 피렌체에서 태어났다. 나이팅게일은 윌리엄 나이팅게일과 패니 사이의 둘째 딸이다. 그녀의 집안은 중류계층 이상의 명문집안으로 재력과 사회적 지위가 높았다. 나이팅게일은 어린 시절부터 희랍어, 라틴어, 불어, 독어, 이태리어, 역사, 철학, 수학 등을 배워 뛰어난 통찰력과 판단력을 갖추게 되었다. 5살 때 영국으로 돌아온 나이팅게일 일가는 햄프셔의 엠블리 공원에 새 집을 짓고 대부분의 시간을 그곳에서 보냈다. 그녀는 중류층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매년 마차를 타고 런던을 방문하여 고급 사교 기술을 배웠다. 어린 시절부터 나이팅게일은 병든 동물을 돌보는 등 간호사적 기질을 보였고, 9살 때는 "병든 사람을 위해 유용한 사람이 되어야겠다"라고 말했으며, 10세 때부터 이웃을 돌보기 시작했다.
2.2. 나이팅게일의 간호이념
나이팅게일의 간호이념이다.
나이팅게일은 간호는 직업이 아니라 사명이라고 주장한다. 그녀는 간호를 사명으로 인식했기에 어떤 타협이나 양보도 인정할 수 없었다. 간호는 조금도 양보할 수 없는 원칙이다.
또한 간호는 질병을 간호하는 것이 아니라 병든 사람을 간호하는 것이라고 본다. 이는 간호대상자를 귀히 여기는 태도이며, 전인간호, 즉 육체, 정신, 감정의 일체의 간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