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복식부기는 같은 금액이 차변과 대변에 동일하게 기입되어 대변과 차변의 총합이 일치하게 하는 회계의 기입 방식이다. 일반 가계나 소규모 기업에서는 단식부기를 사용하지만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은 복식부기가 의무이다. 이처럼 회계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실시되는 바, 이러한 회계의 방식에 대해 이해도를 갖출 필요가 있을 것이다.
2. 회계원리와 회계순환과정
2.1. 회계의 개념 및 종류
회계란 기업이나 개인의 재무정보를 체계적으로 기록, 분류, 요약하여 재무제표 등의 보고서를 작성함으로써 경영 활동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학문이다. 회계는 크게 재무회계, 관리회계, 세무회계로 구분된다. 재무회계는 기업 외부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되는 회계 정보를 다루며, 관리회계는 기업 내부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회계 정보를 다룬다. 세무회계는 세법에 따른 세무신고 업무와 절차를 다룬다. 이처럼 회계는 기업경영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경영활동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2.2. 복식부기와 회계순환과정
복식부기와 회계순환과정은 기업의 회계처리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복식부기는 모든 거래의 대변과 차변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회계순환과정은 이러한 복식부기를 기반으로 하여 회계 정보를 생산하고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회계순환과정은 거래의 인식, 분개, 총계정원장 전기, 시산표 작성, 수정분개, 재무제표 작성, 그리고 계정 마감으로 구성된다. 먼저 거래가 발생하면 거래의 내용을 분개장에 기록하고, 이를 총계정원장에 전기한다. 그 후 시산표를 작성하여 재무제표를 생성하며, 필요 시 수정분개를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손익 계정을 마감하여 최종 재무제표를 완성한다.
이러한 회계순환과정을 통해 기업은 경영성과와 재무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특히 복식부기 방식은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등 재무정보를 체계적으로 기록하여 실제 기업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회계순환과정은 기업이 재무 정보를 생산하고 활용하는 핵심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3. 거래 분개
3.1. 컴퓨터 매매 기업 ㈜한라의 거래 분개
12월 1일, 현금 10,000,000원을 출자하여 컴퓨터 매매 기업인 ㈜한라를 설립하였다. 이는 자본금 계정의 차변에 10,000,000원을 기록하고, 현금 계정의 대변에 10,000,000원을 기록하는 것으로 분개할 수 있다.
12월 2일, 사무용 비품 5,000,000원을 외상으로 구입하였다. 이는 비품 계정의 차변에 5,000,000원을 기록하고, 외상매입금 계정의 대변에 5,000,000원을 기록하는 것으로 분개할 수 있다.
12월 3일, 판매용 컴퓨터 1,500,000원을 외상으로 구입하였다. 이는 재고자산(판매용 컴퓨터) 계정의 차변에 1,500,000원을 기록하고, 외상매입금 계정의 대변에 1,500,000원을 기록하는 것으로 분개할 수 있다.
12월 5일, 1년분 보험료 600,000원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이는 보험비용 계정의 차변에 600,000원을 기록하고,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