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경부의 내구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질환이다. 이는 임신 후반기 출혈의 약 20%를 차지할 만큼 주요한 임상적 문제이다. 특히 이전의 제왕절개 수술력이 있는 산모에게서 발생률이 약 12배나 높은데, 자궁내막의 흉터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산모, 전치태반의 과거력, 유산, 자궁을 수술한 경우, 태반 부착 부위가 넓은 다태임신, 35세 이상의 임부 등에서 전치태반의 발생 빈도가 높다. 임신 초기에 발견된 전치태반 대부분은 임신이 진행되면서 자궁저부로 이동하지만 때로는 말기까지 남아 전치태반이 되기도 한다. 이처럼 전치태반은 출혈, 조산, 자궁내 성장지연 등 산모와 태아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고위험 임신 질환이므로, 정확한 진단과 체계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1.2. 문헌 고찰
전치태반(Placenta previa)은 태반이 자궁경부의 내구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것을 말한다.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내구를 덮는 정도에 따라 네 종류로 분류된다.
완전전치태반(total placenta previa)은 태반이 자궁내구를 완전히 덮고 있는 경우이다. 부분전치태반(partial placenta previa)은 자궁내구를 태반이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경우이다. 변연전치태반(marginal placenta previa)은 태반의 변연 부위만 자궁내구에 도달해 있는 경우이다. 하부전치태반(low lying placenta)은 태반이 자궁하부에 위치하나 자궁내구에 닿지 않고 근접해 있는 경우이다.
전치태반의 빈도는 200명의 출산 중 1명의 비율로 발생하고, 임신 후반기 출혈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가장 큰 위험요인은 이전의 제왕절개분만인데, 이는 자궁내막의 흉터와 관련되어 있으며 일반인들에 비해 발생률이 약 12배나 높다.
그 외에도 다산모, 전치태반의 과거력, 유산, 자궁을 수술한 경우, 태반 부착 부위가 넓은 다태임신, 35세 이상의 임부 등에서 전치태반의 빈도가 높다. 또한 흡연은 전치태반의 상대적 위험도가 2배 가량 증가하며, 일산화탄소 저산소혈증 시 태반비대가 발생하여 전치태반 발생에 영향을 준다.
임신 초기에 발견된 전치태반의 대부분은 임신이 진행되면서 자궁저부로 이동하지만, 때로는 말기까지 남아 전치태반이 되기도 한다.
자궁내막 흉터나 상부조직의 손상으로 인해 배아가 흉터 없는 자궁저부에 착상하여 태반이 성장하게 된다. 자궁태반 혈관관류가 넓어진 표면적에 태반 부착을 유도하고 자궁저부에 천천히 잠식되도록 한다. 전치태반은 배아가 자궁저부에 착상되면서 시작된다. 태반이 부착되고 성장하면서 자궁경부의 입구를 덮게 된다. 태반 혈관에 결함으로 태반이 자궁근층에 직접 유착되거나(accreta), 자궁근층으로 침범하거나(increta), 자궁근층을 관통(percreta)하게 된다.
전치태반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약 70%에서 임신 후기에 통증 없는 갑작스런 질출혈이 있고, 20%는 자궁활동과 관련된 질출혈이 있다. 이는 임신 후기에 자궁하부가 길어지고 얇아지며 안쪽 구멍이 확장되면서 태반의 융모가 자궁벽으로부터 찢기고 충분한 자궁수축이 되지 않아 열려진 혈관으로부터 혈액흐름이 멈추지 못하기 때문이다.
출혈의 양상은 저절로 멈추기도 하고 재발할 수도 있으며, 그 양도 소량에서부터 산모와 태아의 생명을 위협할 만한 다량의 출혈까지 다양할 수 있다. 진통이 시작되어야 출혈이 시작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진통 때 경부의 변화가 태반이 부착된 부위를 교란시키기 때문이다.
복부 촉진 시 태위는 사위, 둔위, 횡위 등 이상 태위가 많고, 종위일 때는 자궁저부의 높이가 정상임신 주수보다 높은데 이는 태반의 하부 착상이 태아 선진부의 하강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2. 본론
2.1. 전치태반의 정의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경부의 내구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것이다. 태반이 자궁내구를 덮는 정도에 따라서 완전 전치태반, 부분 전치태반, 변연 전치태반, 하위태반의 네 종류로 분류된다. 완전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내구를 완전히 덮고 있는 경우이며, 부분 전치태반은 자궁내구를 태반이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경우이다. 변연 전치태반은 태반의 변연 부위만 자궁내구에 도달해 있는 경우이며, 하위태반은 태반이 자궁 하부에 위치하나 자궁내구에 닿지 않고 근접해 있는 경우이다.
2.2. 전치태반의 빈도 및 원인
전치태반의 빈도는 200명의 출산 중 1명의 비율로 발생하며, 임신 후반기 ...